1 서종석, "후각과 냄새 그리고 언어적 표상" 언어연구소 (56) : 113-132, 2012
2 홍석경, "프랑스에서 <대장금> 보기" 고려대학교응용문화연구소 (1) : 1998
3 함 현, "텔레비전 음식 프로그램의 문화적 성찰" 한국산학기술학회 2 : 2011
4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공사 16 (16): 10-10, 2004
5 정진홍, "종교와 음식문화"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4 : 1995
6 김수진, "일상생활과 소비:한국 디지털 세대의 음식문화"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19 : 2004
7 박재환, "일상과 음식" 한울아카데미 2009
8 김춘동, "음식의 이미지와 권력: 커피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8 (18): 5-34, 2012
9 김대군, "음식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 12 : 1999
10 레이 테너힐, "음식의 역사" 우물이 있는 집 2006
1 서종석, "후각과 냄새 그리고 언어적 표상" 언어연구소 (56) : 113-132, 2012
2 홍석경, "프랑스에서 <대장금> 보기" 고려대학교응용문화연구소 (1) : 1998
3 함 현, "텔레비전 음식 프로그램의 문화적 성찰" 한국산학기술학회 2 : 2011
4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공사 16 (16): 10-10, 2004
5 정진홍, "종교와 음식문화"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4 : 1995
6 김수진, "일상생활과 소비:한국 디지털 세대의 음식문화"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19 : 2004
7 박재환, "일상과 음식" 한울아카데미 2009
8 김춘동, "음식의 이미지와 권력: 커피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8 (18): 5-34, 2012
9 김대군, "음식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 12 : 1999
10 레이 테너힐, "음식의 역사" 우물이 있는 집 2006
11 김광억, "음식의 생산과 문화의 소비" 한국문화인류학회 26 : 1994
12 린다 시비텔로, "음식에 담긴 문화, 요리에 담긴 역사" 대가 2011
13 캐롤 M. 코니한, "음식과 몸의 인류학" 갈무리 2005
14 김기홍, "음식 스토리텔링과 만화: 일본 음식만화의 무협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8) : 25-55, 2012
15 최수웅, "요리만화의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18) : 147-166, 2010
16 스콧, 루이스 A. 틸리, "여성, 노동, 가족" 후마니타스 2008
17 장미혜, "소비양식에 미치는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상대적 효과 : 서울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8 구보름, "미·일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음식장면의 상징적 속성 비교-가족 구성의 애니메이션 <심슨>과 <아따신찌>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9-86, 2013
19 박형신, "메뉴의 사회학" 한울 2010
20 이지은, "먹는 미술: 현대미술에 나타난 음식의 사회적 역할과 양상들" 현대미술사학회 (29) : 265-290, 2011
21 김호연, "대중영상매체를 통해 바라본 한국 음식문화의 재인식" 인문과학연구소 31 (31): 221-243, 2012
22 홍석경, "다큐픽션 속 재연의 문제 : ‘그럴듯함(verisimilitude)’과 ‘현실정합성(authenticity)’ 사이의 혼종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공사 23 (23): 105-130, 2011
23 우문호, "글로벌 시대의 음식과 문화" 학문사 2006
24 김중현, "국어 공감각 표현의 인지 언어학적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8) : 2001
25 이주은,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을 통해 본 음식과 몸의 상징성" 한국영상문화학회 (23) : 371-405, 2013
26 강윤희, "“커피 배우기”: 언어, 향미, 그리고 감식안의 습득과정" 비교문화연구소 21 (21): 5-41, 2015
27 McIntosh, W. A., "Women as Gatekeepers of Food Consumption:A Sociological Critique" 3 (3): 1989
28 Cavanaugh, J., "What Words Brings to the Table : The Linguistic Anthropolgical Toolkit as Applied to the Study of Food" 24 (24): 2014
29 박신자, "TV음식프로그램의 포맷과 서사성의 의미구조 : KBS 〈한국인의 밥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3
30 Harkness, N., "Softer Soju in South Korea" 13 (13): 2011
31 Beardsworth, A., "Sociology on the Menu: An Invitation to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 Routledge 1997
32 Silverstein, Michael, "Old Wine, New Ethnographic Lexicography" 35 : 35-, 2006
33 Laplantine, F., "Le social et le sensible : Introduction à une anthroplogie modale" Téraèdre 2005
34 Appadurai, A., "How to Make a National Cuisine: Cookbooks in ContemporaryIndia" 30 (30): 1-, 1988
35 Counihan, "Food and Culture" Routledge 2007
36 Bourdieu, P., "Distin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37 Harkness, N., "Culture and Interdiscursivity in Korean Fricative Voice Gestures" 21 (21): 2011
38 Agha, A., "Commodity Registers" 21 (21): 1-, 2011
39 Probyn, E., "Beyond Food/Sex-Eating and an Ethics of Existence" 16 : 1999
40 김동식, "1920년대 중반의 한국문학과 ‘끼니’의 무의식 : 김기진과 최서해, 그리고 ‘밥’의 유물론" 문학과환경학회 11 (11): 175-205,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