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텔레비전의 예능 프로그램에 드러난 음식문화 비교연구 = Food culture as Televised Real Variety Program: A Comparative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022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opular entertainment programs on food in Korea and Fr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ommunication of two countries` Food Culture mediated by television. Analysis is focused on the formal difference between Reality Program and Real Variety Show, the first having the public participants and the second inviting celebrities ; on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of each program that implemented a social dimension on the “eating”, a sensuous experience ; on the way that it is mediated by the different entertainment programs. Korean mediaculture provides many “eating” related programs and food is often object of a nostalgy. Compared to the French < Almost Perfect Diner(Diner Presque Parfait) > doing competion according to the collective and interdependent appreciation, Korean television`s < Take care of your refrigerator > shows real time cooking competition and the invited celebrities choose the winner chef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of cuisine. This program differs from the French one focusing on the cooker : it gives the power to the eater to choose the winner. It has a presupposition on the sexual divide considering creative cooking as men`s work and the everyday reproductive cooking as female work. < Almost Perfect Diner > is mediating different lifestyles in the French Society through the narratives of invited diner, while < Take care of your refrigerator > makes invited celebrities taste special and unique cuisine of which they can`t have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nd induce the audience to learn the language of the taste. The hierarchy of participants` taste can be observed in the process of verbalizing the sensible.
      번역하기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opular entertainment programs on food in Korea and Fr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ommunication of two countries` Food Culture mediated by television. Analysis is focused on the formal diff...

      This paper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opular entertainment programs on food in Korea and Fra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communication of two countries` Food Culture mediated by television. Analysis is focused on the formal difference between Reality Program and Real Variety Show, the first having the public participants and the second inviting celebrities ; on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of each program that implemented a social dimension on the “eating”, a sensuous experience ; on the way that it is mediated by the different entertainment programs. Korean mediaculture provides many “eating” related programs and food is often object of a nostalgy. Compared to the French < Almost Perfect Diner(Diner Presque Parfait) > doing competion according to the collective and interdependent appreciation, Korean television`s < Take care of your refrigerator > shows real time cooking competition and the invited celebrities choose the winner chef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 of cuisine. This program differs from the French one focusing on the cooker : it gives the power to the eater to choose the winner. It has a presupposition on the sexual divide considering creative cooking as men`s work and the everyday reproductive cooking as female work. < Almost Perfect Diner > is mediating different lifestyles in the French Society through the narratives of invited diner, while < Take care of your refrigerator > makes invited celebrities taste special and unique cuisine of which they can`t have experience in everyday life and induce the audience to learn the language of the taste. The hierarchy of participants` taste can be observed in the process of verbalizing the sensi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종석, "후각과 냄새 그리고 언어적 표상" 언어연구소 (56) : 113-132, 2012

      2 홍석경, "프랑스에서 <대장금> 보기" 고려대학교응용문화연구소 (1) : 1998

      3 함 현, "텔레비전 음식 프로그램의 문화적 성찰" 한국산학기술학회 2 : 2011

      4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공사 16 (16): 10-10, 2004

      5 정진홍, "종교와 음식문화"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4 : 1995

      6 김수진, "일상생활과 소비:한국 디지털 세대의 음식문화"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19 : 2004

      7 박재환, "일상과 음식" 한울아카데미 2009

      8 김춘동, "음식의 이미지와 권력: 커피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8 (18): 5-34, 2012

      9 김대군, "음식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 12 : 1999

      10 레이 테너힐, "음식의 역사" 우물이 있는 집 2006

      1 서종석, "후각과 냄새 그리고 언어적 표상" 언어연구소 (56) : 113-132, 2012

      2 홍석경, "프랑스에서 <대장금> 보기" 고려대학교응용문화연구소 (1) : 1998

      3 함 현, "텔레비전 음식 프로그램의 문화적 성찰" 한국산학기술학회 2 : 2011

      4 홍석경, "텔레비전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현실구성 :현실과 허구의 혼합을 통한 텔레비전의 장르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공사 16 (16): 10-10, 2004

      5 정진홍, "종교와 음식문화"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14 : 1995

      6 김수진, "일상생활과 소비:한국 디지털 세대의 음식문화" 부산대학교 사회조사연구소 19 : 2004

      7 박재환, "일상과 음식" 한울아카데미 2009

      8 김춘동, "음식의 이미지와 권력: 커피를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소 18 (18): 5-34, 2012

      9 김대군, "음식의 윤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 12 : 1999

      10 레이 테너힐, "음식의 역사" 우물이 있는 집 2006

      11 김광억, "음식의 생산과 문화의 소비" 한국문화인류학회 26 : 1994

      12 린다 시비텔로, "음식에 담긴 문화, 요리에 담긴 역사" 대가 2011

      13 캐롤 M. 코니한, "음식과 몸의 인류학" 갈무리 2005

      14 김기홍, "음식 스토리텔링과 만화: 일본 음식만화의 무협서사적 특징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8) : 25-55, 2012

      15 최수웅, "요리만화의 스토리텔링 양상 연구" 인문콘텐츠학회 (18) : 147-166, 2010

      16 스콧, 루이스 A. 틸리, "여성, 노동, 가족" 후마니타스 2008

      17 장미혜, "소비양식에 미치는 문화자본과 경제자본의 상대적 효과 : 서울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8 구보름, "미·일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음식장면의 상징적 속성 비교-가족 구성의 애니메이션 <심슨>과 <아따신찌>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79-86, 2013

      19 박형신, "메뉴의 사회학" 한울 2010

      20 이지은, "먹는 미술: 현대미술에 나타난 음식의 사회적 역할과 양상들" 현대미술사학회 (29) : 265-290, 2011

      21 김호연, "대중영상매체를 통해 바라본 한국 음식문화의 재인식" 인문과학연구소 31 (31): 221-243, 2012

      22 홍석경, "다큐픽션 속 재연의 문제 : ‘그럴듯함(verisimilitude)’과 ‘현실정합성(authenticity)’ 사이의 혼종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공사 23 (23): 105-130, 2011

      23 우문호, "글로벌 시대의 음식과 문화" 학문사 2006

      24 김중현, "국어 공감각 표현의 인지 언어학적 연구" 담화인지언어학회 (8) : 2001

      25 이주은, "『달콤 쌉싸름한 초콜릿』을 통해 본 음식과 몸의 상징성" 한국영상문화학회 (23) : 371-405, 2013

      26 강윤희, "“커피 배우기”: 언어, 향미, 그리고 감식안의 습득과정" 비교문화연구소 21 (21): 5-41, 2015

      27 McIntosh, W. A., "Women as Gatekeepers of Food Consumption:A Sociological Critique" 3 (3): 1989

      28 Cavanaugh, J., "What Words Brings to the Table : The Linguistic Anthropolgical Toolkit as Applied to the Study of Food" 24 (24): 2014

      29 박신자, "TV음식프로그램의 포맷과 서사성의 의미구조 : KBS 〈한국인의 밥상〉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3

      30 Harkness, N., "Softer Soju in South Korea" 13 (13): 2011

      31 Beardsworth, A., "Sociology on the Menu: An Invitation to the Study of Food and Society" Routledge 1997

      32 Silverstein, Michael, "Old Wine, New Ethnographic Lexicography" 35 : 35-, 2006

      33 Laplantine, F., "Le social et le sensible : Introduction à une anthroplogie modale" Téraèdre 2005

      34 Appadurai, A., "How to Make a National Cuisine: Cookbooks in ContemporaryIndia" 30 (30): 1-, 1988

      35 Counihan, "Food and Culture" Routledge 2007

      36 Bourdieu, P., "Distinc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84

      37 Harkness, N., "Culture and Interdiscursivity in Korean Fricative Voice Gestures" 21 (21): 2011

      38 Agha, A., "Commodity Registers" 21 (21): 1-, 2011

      39 Probyn, E., "Beyond Food/Sex-Eating and an Ethics of Existence" 16 : 1999

      40 김동식, "1920년대 중반의 한국문학과 ‘끼니’의 무의식 : 김기진과 최서해, 그리고 ‘밥’의 유물론" 문학과환경학회 11 (11): 175-205,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5-1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parative Korean Studies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9 0.818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