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다섯 가지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9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극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톳, 다시마, 미역, 파래, 김을 대상으로 각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을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검색하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 MCF-7 cell과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2-anthramine에 대한 간접작용 돌연변이능 억제효과를 S. Typhimurium TA 98에서 측정한 결과, 톳(100%), 다시마(94.2%)가 3.5 ㎎/plate에서, 파래(68.5%)가 4.5 ㎎/plate에서 효과적인 돌연변이 억제능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파래(100%), 톳 (100%), 다시마(94.1%)가 각각 1.5 ㎎/plate, 2.5 ㎎/plate, 4.5 ㎎/plate의 농도에서 최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미역과 김은 간접작용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작용 항돌연변이능을 S. Typhimurium TA 98로 측정한 결과, 톳, 미역과 파래 모두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83%, 73%, 73%의 저해율을 보여 2-nitroflouoren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 Typhimurium TA 100에서 sodium azid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가 가장 큰 해조류는 톳, 다시마와 파래로 세 가지 해조류 모두 3.5 ㎎/plate의 농도에서 100% 저해율을 보였다. 반면, S. Typhimurium TA 98에서 미역과 김은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73%, 50% 정도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0% 저해율을 보여 직접작용 돌연변이에 대한 저해 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과 MCF-7 cell,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5종 해조류의 에탄올 추출물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HeLa cell의 성장을 90% 이상 저해한 해조류는 톳, 다시마, 미역, 파래였고, 그 효과를 건조무게로 비교하면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다. 김은 56% 저해율을 나타냈다. MCF-7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효과 역시 90% 이상 저해율을 나타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고, 김은 50%의 저해율을 나타냈다. SNU-638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정도는 HeLa cell이나 MCF-7 cell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보다는 다소 낮았다. 저해율이 70% 이상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이었고, 김은 68%로 나타나 해조류 간에 차이는 적었다. 이상에서 Ames test와 MTT assay를 통해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검색한 결과, 톳, 파래와 다시마는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는 각 시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5종의 해조류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조류가 개발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확인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갈조류, 녹조류, 홍조류 등의 해조류에 함유된 암예방 또는 항암작용을 가진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극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톳, 다시마, 미역, 파래, 김을 대상으로 각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을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극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고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톳, 다시마, 미역, 파래, 김을 대상으로 각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을 Ames test를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 억제능을 검색하고,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 MCF-7 cell과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2-anthramine에 대한 간접작용 돌연변이능 억제효과를 S. Typhimurium TA 98에서 측정한 결과, 톳(100%), 다시마(94.2%)가 3.5 ㎎/plate에서, 파래(68.5%)가 4.5 ㎎/plate에서 효과적인 돌연변이 억제능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파래(100%), 톳 (100%), 다시마(94.1%)가 각각 1.5 ㎎/plate, 2.5 ㎎/plate, 4.5 ㎎/plate의 농도에서 최대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미역과 김은 간접작용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작용 항돌연변이능을 S. Typhimurium TA 98로 측정한 결과, 톳, 미역과 파래 모두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83%, 73%, 73%의 저해율을 보여 2-nitroflouoren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율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 Typhimurium TA 100에서 sodium azid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가 가장 큰 해조류는 톳, 다시마와 파래로 세 가지 해조류 모두 3.5 ㎎/plate의 농도에서 100% 저해율을 보였다. 반면, S. Typhimurium TA 98에서 미역과 김은 4.5 ㎎/plate의 농도에서 각각 73%, 50% 정도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S. Typhimurium TA 100에서는 0% 저해율을 보여 직접작용 돌연변이에 대한 저해 능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HeLa cell과 MCF-7 cell, SNU-638 cell에 대한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5종 해조류의 에탄올 추출물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였다. HeLa cell의 성장을 90% 이상 저해한 해조류는 톳, 다시마, 미역, 파래였고, 그 효과를 건조무게로 비교하면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다. 김은 56% 저해율을 나타냈다. MCF-7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효과 역시 90% 이상 저해율을 나타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의 순이었고, 김은 50%의 저해율을 나타냈다. SNU-638 cell에 대한 세포 성장억제 정도는 HeLa cell이나 MCF-7 cell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효과보다는 다소 낮았다. 저해율이 70% 이상인 해조류는 파래, 미역, 다시마, 톳이었고, 김은 68%로 나타나 해조류 간에 차이는 적었다. 이상에서 Ames test와 MTT assay를 통해 해조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를 검색한 결과, 톳, 파래와 다시마는 항돌연변이 효과 및 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암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는 각 시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5종의 해조류 모두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해조류가 개발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 소재임을 확인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갈조류, 녹조류, 홍조류 등의 해조류에 함유된 암예방 또는 항암작용을 가진 새로운 생리활성물질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5 seaweeds on the mutagenic and cytotoxic damage were evaluated. They were separately extracted using ethanol from dri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and freezedried. The inhibition effect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by Ames test and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in HeLa cell, MCF-7 cell and SNU-638 cell by MTT assay were assayed. Seaweed fusiforme, sea tangle and green laver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against 2-nitrofluorene, sodium azide- or 2-anthramine-induced mutagenicitie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at the level of 2.5 mg ethanol extract per plate.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was shown with all of the seaweed extracts. Green laver, sea mustard, sea tangle and seaweed fusiforme showed strong cytotoxicity against HeLa and MCF-7 cells, with inhibiting by 92~93% and 89~92%, respectively. These data show that 5 seaweeds tested in this study might be potent functional foods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sumption of these seaweeds in adequate amount is recommended.
      번역하기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5 seaweeds on the mutagenic and cytotoxic damage were evaluated. They were separately extracted using ethanol from dri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and freezedried. The inhibition effects on the mutage...

      The 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5 seaweeds on the mutagenic and cytotoxic damage were evaluated. They were separately extracted using ethanol from dried samples at room temperature, and freezedried. The inhibition effect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by Ames test and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in HeLa cell, MCF-7 cell and SNU-638 cell by MTT assay were assayed. Seaweed fusiforme, sea tangle and green laver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 against 2-nitrofluorene, sodium azide- or 2-anthramine-induced mutagenicities in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and TA 100 at the level of 2.5 mg ethanol extract per plate. Cancer cell inhibitory effect was shown with all of the seaweed extracts. Green laver, sea mustard, sea tangle and seaweed fusiforme showed strong cytotoxicity against HeLa and MCF-7 cells, with inhibiting by 92~93% and 89~92%, respectively. These data show that 5 seaweeds tested in this study might be potent functional foods for cancer prevention, and consumption of these seaweeds in adequate amount is recommen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nutrients with cancer prevention properties" 505-510, 1986

      2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1-6, 1994

      3 "block structure and some related properties of alginic acid" 29-36, 1985

      4 "The effect of algal polysaccharides on the depressing of plasma cholesterol levels in rat" Univ Tokyo Press -561, 1972

      5 "Studies on the blood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hot water extracts on Hijikia fusiforme" 1204-1210, 1998

      6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effects from marine algae" 95-101, 2002

      7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173-215, 1983

      8 "Physiochemical proper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dietary fiber" 37 916-925, 1990

      9 "Micronutrients and their influence on mutagenicity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229-234, 1993

      10 "Identification of heterogenous antimutagenic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edible brown seaweeds by the ume gene expression system in Salmonella typhimurium" 63-70, 1993

      1 "nutrients with cancer prevention properties" 505-510, 1986

      2 "natural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1-6, 1994

      3 "block structure and some related properties of alginic acid" 29-36, 1985

      4 "The effect of algal polysaccharides on the depressing of plasma cholesterol levels in rat" Univ Tokyo Press -561, 1972

      5 "Studies on the blood anticoagulant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hot water extracts on Hijikia fusiforme" 1204-1210, 1998

      6 "Screening of radical scavenging effects from marine algae" 95-101, 2002

      7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173-215, 1983

      8 "Physiochemical proper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dietary fiber" 37 916-925, 1990

      9 "Micronutrients and their influence on mutagenicity and malignant transformation" 229-234, 1993

      10 "Identification of heterogenous antimutagenic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edible brown seaweeds by the ume gene expression system in Salmonella typhimurium" 63-70, 1993

      11 "Identification of antimutagenic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an edible brown algae by ume gene expression system in Salmonella typhimurium" 103-109, 1994

      12 "Funahashi H, Imai T, Mase T, Sekiya M, Yokoi K, Hayashi H, Shibata A, Hayashi T, Nishikawa M, Suda N, Hibi Y, Mizuno Y, Tsukamura K, Hayakawa A, Tanuma S." 483-487, 2001

      13 "Funahashi H, Imai T, Mase T, Sekiya M, Yokoi K, Hayashi H, Shibata A, Hayashi T, Nishikawa M, Suda N, Hibi Y, Mizuno Y, Tsukamura K, Hayakawa A, Tanuma S." 483-487, 2001

      14 "Factors modulating mutagenicity in microbial test systems for detecting carcinogens" (rphth kh) : -275, 1980

      15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1069-1077, 1996

      16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936-941, 1987

      17 "Elucidation of anti-tumor initiator and promoter derived from seaweed-4 desmutagenic principles of Ecklonia stolonifera extracts against carcinogenic heterocyclic amines" 537-542, 1998

      18 "Effects of the feeding Hijikia fusiforme Okamura on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718-723, 1998

      19 "Effects of Porphyra tenera extracts on formation of collagen cross-link in ovariectomiz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324-330, 2004

      20 "Effect of pH on the in vitro absorption of mutagens to dietary fibers" 1100-1105, 1992

      21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1288-1294, 1997

      22 "Desmutagenic of seaweed and vegetable extracts against mutagenicity of Maillard reacting products" 139-141, 1994

      23 "Desmutagenic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seaweeds" 502-508, 1986

      24 "Bacterial systems for carcinogenicity testing" 1981191-210

      25 "Antitumor effect of seaweeds Antitumor effect of an extract from Sargassum" 1981187-189

      26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345-352, 1990

      27 "Antitumor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a fucan extracted from Ascophyllum nodosum against a non-small-cell bronchopulmonary carcinoma line" Pinczon du Sel D Sinquin C 1213-1218, 1996

      28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595-600, 1989

      29 "Antitumor activity of low molecular weight fucans extracted from brown seaweed Ascophyllum nodosum" 2011-2019, 1993

      30 "Antitumor activity of edible marine algae Effect of crude fucoidan fraction prepared from edible brown seaweeds L-1210 leukemia" 145-116 150, 1984

      31 "Antithrombotic activity of fucoidin with heparin cofactor II" 361-375, 1989

      32 "Antimutagenicity screening of water extracts from Chinese herbs with SOS Chromotest with several direct mutagens" 214-218, 1997

      33 "Antimutagenic action of vegetable factors on the mutagenic principle of tryptophan pyrolysate" 351-353, 1978

      34 "Antimutagenesis by factors affecting DNA repair in bacteria" 387-391, 1988

      35 "Anticoagulant properties of a fucoidan fraction" 143-154, 1991

      36 "An influence of the structure of alginate on the chemotatic activity of macrophages and antitumor activity" 211-216, 1993

      37 "An anticoagulant fucoidan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ea kurome" 535-539,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