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조선유학의 理 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성격 연구 -退溪의 理發에서 茶山의 上帝까지-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가) 퇴계학파·성호학파의 理 개념 이해에 나타난 변화 양상
      李滉으로부터 許穆, 尹鑴, 李瀷, 權哲身, 丁若鏞으로 이어지는 퇴계학파와 성호학파(信西派)의 계열에 주목하고 이 계열에서 나타나는 理 개념의 변화 양상을 정리하였다. 이황은 理 개념 안에 실천수양의 지향성을 담아내려 하였고, 그 과정에서 理發, 理動, 理自到 등 그의 철학을 대표하는 명제들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理 개념은 존재론과 가치론적 의미를 겸하는 것으로서 이기론의 개념상 논란을 가져 왔고, 그의 후학들은 이러한 理 개념을 서인들의 비판으로부터 변호하는 한편,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극복할 방법으로 고대 경전의 天(天命, 上帝) 개념을 성리학 체계 내에서 재해석하는 방식을 모색하였다.

      (나) 理와 天 개념에 내재한 조선유학의 종교적 성격
      유학, 특히 성리학에서는 天(天命, 上帝) 개념에서 인격신적 절대자의 요소를 배제하고 나아가 理, 道, 太極 등 원리·법칙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대체하면서, 우주와 자연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도덕적 이상사회를 지향하는 이론체계를 만들어 왔다. 하지만 조선에서는 ‘理’를 가장 적극적·능동적 의미로 해석하였다고 할 수 있는 이황의 경우, 오히려 이기론으로 세계를 설명하고 도덕실천을 설득하는 한편, 실천수양을 위해 天(天命, 上帝)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자기완결성을 가지는 이기론 체계 외에 天(天命, 上帝)의 영역을 인정하는 것으로서 논란의 여지가 큰 문제였다. 허목, 윤휴, 이익, 권철신, 정약용 등은 理 개념의 역할을 축소하는 대신 天(天命, 上帝) 개념이 理의 역할을 포괄하는 이론체계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려 하였다.

      (다) 조선유학의 실천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 규명
      조선의 지식인들은 단순히 주자학을 숭배한 것이 아니라, 당시의 현실에서 가장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이론으로 주자학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주자학을 기반으로 한 조선성리학은 철저한 현실의식과 실천 지향성을 가지고 있었고, 그로 인해 학문과 정치에서 성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四端七情論爭, 禮訟論爭, 人性物性論爭 등이 바로 그러한 것이었고, 이런 이론 논쟁을 통해 이상사회의 구현을 위한 실천적 방안도 지속적으로 함께 모색되었다. 道問學과 함께 尊德性을 겸비한 학문체계를 추구한 이황의 노력은 그러한 문제의식을 담은 것이었고, 천주교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시대의 문제에 대처하려 했던 성호학파 내 신서파는 이황의 理를 天 개념 안에 포괄하여 理氣論的 세계관에 기반한 天 중심의 사상체계를 만들어 천주교라는 새로운 사상적 동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였다.
      번역하기

      (가) 퇴계학파·성호학파의 理 개념 이해에 나타난 변화 양상 李滉으로부터 許穆, 尹鑴, 李瀷, 權哲身, 丁若鏞으로 이어지는 퇴계학파와 성호학파(信西派)의 계열에 주목하고 이 계열에�...

      (가) 퇴계학파·성호학파의 理 개념 이해에 나타난 변화 양상
      李滉으로부터 許穆, 尹鑴, 李瀷, 權哲身, 丁若鏞으로 이어지는 퇴계학파와 성호학파(信西派)의 계열에 주목하고 이 계열에서 나타나는 理 개념의 변화 양상을 정리하였다. 이황은 理 개념 안에 실천수양의 지향성을 담아내려 하였고, 그 과정에서 理發, 理動, 理自到 등 그의 철학을 대표하는 명제들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理 개념은 존재론과 가치론적 의미를 겸하는 것으로서 이기론의 개념상 논란을 가져 왔고, 그의 후학들은 이러한 理 개념을 서인들의 비판으로부터 변호하는 한편,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극복할 방법으로 고대 경전의 天(天命, 上帝) 개념을 성리학 체계 내에서 재해석하는 방식을 모색하였다.

      (나) 理와 天 개념에 내재한 조선유학의 종교적 성격
      유학, 특히 성리학에서는 天(天命, 上帝) 개념에서 인격신적 절대자의 요소를 배제하고 나아가 理, 道, 太極 등 원리·법칙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대체하면서, 우주와 자연에 대한 합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도덕적 이상사회를 지향하는 이론체계를 만들어 왔다. 하지만 조선에서는 ‘理’를 가장 적극적·능동적 의미로 해석하였다고 할 수 있는 이황의 경우, 오히려 이기론으로 세계를 설명하고 도덕실천을 설득하는 한편, 실천수양을 위해 天(天命, 上帝)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는 자기완결성을 가지는 이기론 체계 외에 天(天命, 上帝)의 영역을 인정하는 것으로서 논란의 여지가 큰 문제였다. 허목, 윤휴, 이익, 권철신, 정약용 등은 理 개념의 역할을 축소하는 대신 天(天命, 上帝) 개념이 理의 역할을 포괄하는 이론체계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려 하였다.

      (다) 조선유학의 실천적 특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 규명
      조선의 지식인들은 단순히 주자학을 숭배한 것이 아니라, 당시의 현실에서 가장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이론으로 주자학을 선택하였다. 따라서 주자학을 기반으로 한 조선성리학은 철저한 현실의식과 실천 지향성을 가지고 있었고, 그로 인해 학문과 정치에서 성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치열한 논쟁을 벌였다. 四端七情論爭, 禮訟論爭, 人性物性論爭 등이 바로 그러한 것이었고, 이런 이론 논쟁을 통해 이상사회의 구현을 위한 실천적 방안도 지속적으로 함께 모색되었다. 道問學과 함께 尊德性을 겸비한 학문체계를 추구한 이황의 노력은 그러한 문제의식을 담은 것이었고, 천주교를 능동적으로 수용하여 시대의 문제에 대처하려 했던 성호학파 내 신서파는 이황의 理를 天 개념 안에 포괄하여 理氣論的 세계관에 기반한 天 중심의 사상체계를 만들어 천주교라는 새로운 사상적 동향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1) Understanding of li (理) in Toegye School and Seongho School
      I paid attention to Toegye School and Seongho School, particularly Yi Hwang, Heo Mok, Yun Hyu, Yi Ik, Gwon Cheol-sin, Jeong Yak-yong, and explained the changes of the concept li in their scholarly succession. Yi Hwang tried to comprehend the intention of the practice and cultivation in the concept li, and the propositions representing Yi Hwang's philosophy-"li issues", "li moves", and "li approached by itself"-were made in the process of that. However, this li including the ontological and axiological meanings caused debates on the concepts of the li-gi theory. On the one hand his followers defended this li from the opposite party called Seo-in, on the other hand they groped for the way that could reinterpret the concepts Cheon (Heaven), Cheonmyeong (the Mandate of Heaven), and Sangje (the Lord on High) of the ancient scriptures in the system of Neo-Confucianism to get over this issue.

      (2) The Religious Character of Korean Confucianism Contained in Li and Cheon
      In Confucianism, especially in Neo-Confucianism scholars had made the theoretical system that aimed for the ethically idealistic society on the basis of the rational understanding about the universe and nature, excluding the elements of the personalized absolute from the concepts Cheon (Cheonmyeong, Sangje), or substituting li (do, taegeuk) that mean principle or rule for Cheon. Even though Yi Hwang argued that the concept li had very positive meaning, on the one hand he explained the world with the li-gi theory and persuaded people to practice the ethical life by the theory,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s Cheon (Cheonmyeong, Sangje) for the practice and cultivation. It was a very disputable problem because it might approve the realm of Cheon outside the system of the li-gi theory. Heo Mok, Yun Hyu, Yi Ik, Gwon Cheol-sin, Jeong Yak-yong tried to overcome this difficult by making their theoretical systems in which Cheon comprehends the role of li.

      (3)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Practical Features of Korean Confucianism
      The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did not just worship the philosophy of Zhuxi, but chose it as the optimum theory to realize the most idealistic society in the reality of their age. Therefore, Korean Confucianism based on the philosophy of Zhuxi included the thorough recognition of their reality and the inclination for practice, which made them debate fiercely in the studies and politics. In the process of those debates - the Four-Seven Debate, the Decorum Debate, and the Debate on the Human and Animal Nature etc. -, the intellectuals continuously explored the practical ways for realizing the idealistic society. Yi Hwang's efforts that sought for the philosophical system combine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道問學)" and "honoring the good inborn qualities of one's nature (尊德性)" contained such a critical mind. Moreover, Sinseopa (Pro-Western Faction) of Seongho School that positively adopted Catholicism and tried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their age made the philosophical system that comprised Yi Hwang's li in the concept Cheon (Cheonmyeong, Sangje) and positively faced Catholicism as a new trend of philosophy.
      번역하기

      (1) Understanding of li (理) in Toegye School and Seongho School I paid attention to Toegye School and Seongho School, particularly Yi Hwang, Heo Mok, Yun Hyu, Yi Ik, Gwon Cheol-sin, Jeong Yak-yong, and explained the changes of the concept li in th...

      (1) Understanding of li (理) in Toegye School and Seongho School
      I paid attention to Toegye School and Seongho School, particularly Yi Hwang, Heo Mok, Yun Hyu, Yi Ik, Gwon Cheol-sin, Jeong Yak-yong, and explained the changes of the concept li in their scholarly succession. Yi Hwang tried to comprehend the intention of the practice and cultivation in the concept li, and the propositions representing Yi Hwang's philosophy-"li issues", "li moves", and "li approached by itself"-were made in the process of that. However, this li including the ontological and axiological meanings caused debates on the concepts of the li-gi theory. On the one hand his followers defended this li from the opposite party called Seo-in, on the other hand they groped for the way that could reinterpret the concepts Cheon (Heaven), Cheonmyeong (the Mandate of Heaven), and Sangje (the Lord on High) of the ancient scriptures in the system of Neo-Confucianism to get over this issue.

      (2) The Religious Character of Korean Confucianism Contained in Li and Cheon
      In Confucianism, especially in Neo-Confucianism scholars had made the theoretical system that aimed for the ethically idealistic society on the basis of the rational understanding about the universe and nature, excluding the elements of the personalized absolute from the concepts Cheon (Cheonmyeong, Sangje), or substituting li (do, taegeuk) that mean principle or rule for Cheon. Even though Yi Hwang argued that the concept li had very positive meaning, on the one hand he explained the world with the li-gi theory and persuaded people to practice the ethical life by the theory,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s Cheon (Cheonmyeong, Sangje) for the practice and cultivation. It was a very disputable problem because it might approve the realm of Cheon outside the system of the li-gi theory. Heo Mok, Yun Hyu, Yi Ik, Gwon Cheol-sin, Jeong Yak-yong tried to overcome this difficult by making their theoretical systems in which Cheon comprehends the role of li.

      (3) The Theoretical Base for the Practical Features of Korean Confucianism
      The intellectuals in Joseon Dynasty did not just worship the philosophy of Zhuxi, but chose it as the optimum theory to realize the most idealistic society in the reality of their age. Therefore, Korean Confucianism based on the philosophy of Zhuxi included the thorough recognition of their reality and the inclination for practice, which made them debate fiercely in the studies and politics. In the process of those debates - the Four-Seven Debate, the Decorum Debate, and the Debate on the Human and Animal Nature etc. -, the intellectuals continuously explored the practical ways for realizing the idealistic society. Yi Hwang's efforts that sought for the philosophical system combined "following the path of inquiry and study (道問學)" and "honoring the good inborn qualities of one's nature (尊德性)" contained such a critical mind. Moreover, Sinseopa (Pro-Western Faction) of Seongho School that positively adopted Catholicism and tried to cope with the problems of their age made the philosophical system that comprised Yi Hwang's li in the concept Cheon (Cheonmyeong, Sangje) and positively faced Catholicism as a new trend of philosoph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