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경미, "현대공연예술의 수행성과 그 의미" 한국연극학회 31 (31): 135-167, 2007
2 리차드 쉐크너, "퍼포먼스 이론 I, II" 현대 미학사 2001
3 린다 허치언, "패로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4 사라 살리, "주디스 버틀러의 철학과 우울" 앨피 2004
5 표원섭, "쟝 루이 바로의 총체연극 연구" 9 : 169-189, 1997
6 루츠 무스너, "우리는 어떻게 행동하는가: 문화학과 퍼포먼스" 유로서적 2009
7 대지, "오브제와 제스처로 표현된 ‘맥베스’"
8 김방옥, "물, 불, 흙, 그리고 몸: 무대 위의 ‘물질’과 ‘몸’으로서의 관객의 가능성에 관하여" 22 : 72-93, 1994
9 김대준, "맥베스: 죄의식과의 지속적인 대화"
10 국립극장기자단, "맥베스: 인간의 욕망과 파괴"
1 이경미, "현대공연예술의 수행성과 그 의미" 한국연극학회 31 (31): 135-167, 2007
2 리차드 쉐크너, "퍼포먼스 이론 I, II" 현대 미학사 2001
3 린다 허치언, "패로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4 사라 살리, "주디스 버틀러의 철학과 우울" 앨피 2004
5 표원섭, "쟝 루이 바로의 총체연극 연구" 9 : 169-189, 1997
6 루츠 무스너, "우리는 어떻게 행동하는가: 문화학과 퍼포먼스" 유로서적 2009
7 대지, "오브제와 제스처로 표현된 ‘맥베스’"
8 김방옥, "물, 불, 흙, 그리고 몸: 무대 위의 ‘물질’과 ‘몸’으로서의 관객의 가능성에 관하여" 22 : 72-93, 1994
9 김대준, "맥베스: 죄의식과의 지속적인 대화"
10 국립극장기자단, "맥베스: 인간의 욕망과 파괴"
11 도연화, "맥베스"
12 김낙형, "맥베드 연출노트" 37 (37): 193-198, 2010
13 노근우, "강도높은 비극"
14 심재민, "‘몸의 연극’에서의 수행적인 것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드라마학회 30 (30): 35-55, 2009
15 Fischer-Lichte, Erika, "The Transformative Power of Performance: A New Aesthetics" Routledge 2008
16 Kim Daehwan, "The Taming of the Shrew. By William Shakespeare"
17 Counsell, Colin, "Signs of Performance: An Introduction to Twentieth-Century Theatre" Oxford UP 1997
18 Jung Bumcheol, "Romeo and Juliet Are Killed. By William Shakespeare"
19 Lehmann,Hans-Thies, "Postdramatic Theatre" Routledge 2006
20 Rose, Margaret A, "Parody: Ancient, Modern, and Post-modern" Cambridge UP 1993
21 Kim Nackhyoung, "Macbeth. By William Shakespeare"
22 Yeo Giya, "Comic Show, Romeo and Juliet. By William Shakespeare"
23 Warner, William Beatty, "Chance and the Text of Experience: Freud, Nietzsche, and Shakespeare’s Hamlet" Cornell UP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