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귀환과 월남 이주민의 ‘서울’ 형성과 그 인식 = Recognition of the Refomation of 'Seoul' as a Community by North Korean returnees to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해방기 이주민들이 서울이란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서울을 형성,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탐색한다. 해방기 이주민들은 귀환, 월남 등의 과정을 거쳐 조국에 도착했다. 그리고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하고 실천했다. 해방기 소설 속 이주민은 독립에의 기대감에 매몰되어 공간을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다수의 두려움을 촉발하는 소수자로서 공간을 전회하고 역전하여 새로운 장소를 발견하는 것으로, 적극적으로 근대의 공간 속 비장소(적)의 경험을 지속하는 것으로 서울을 구성했다. 이는 이주민이 서울을 혼돈과 무질서가 침투하는 공간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궁핍과 혼돈, 경계와 배제, 소외와 경쟁 등이 경합하며 소멸되는 공간으로서 서울의 성격을 구성한 것이다.


      주제어: 해방기, 서울, 공간, 장소, 비장소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해방기 이주민들이 서울이란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서울을 형성,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탐색한다. 해방기 이주민들은 귀환, 월남 등의 과정을 거쳐 조국에 도...

      본 연구는 해방기 이주민들이 서울이란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서울을 형성,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탐색한다. 해방기 이주민들은 귀환, 월남 등의 과정을 거쳐 조국에 도착했다. 그리고 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기를 기대하고 실천했다. 해방기 소설 속 이주민은 독립에의 기대감에 매몰되어 공간을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다수의 두려움을 촉발하는 소수자로서 공간을 전회하고 역전하여 새로운 장소를 발견하는 것으로, 적극적으로 근대의 공간 속 비장소(적)의 경험을 지속하는 것으로 서울을 구성했다. 이는 이주민이 서울을 혼돈과 무질서가 침투하는 공간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궁핍과 혼돈, 경계와 배제, 소외와 경쟁 등이 경합하며 소멸되는 공간으로서 서울의 성격을 구성한 것이다.


      주제어: 해방기, 서울, 공간, 장소, 비장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양호, "해방기 동포의 궁핍과 사상의 갈등-해방기문학에 나타난 ‘서울’의 두 문제" 한국현대소설학회 71-86, 1994

      2 장석홍, "해방 후 한인 귀환의 역사적 과제" 역사공간 2012

      3 황선익, "해방 후 귀환구호운동의 전개와 미군정의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85) : 117-149, 2018

      4 김제정, "해방 직후 수도 명칭의 결정과 1950년대 개정 논의" 서울학연구소 (56) : 81-104, 2014

      5 이연식, "해방 직후 서울로 유입된 귀환동포의 주택문제" 서울시립대학교국사학과 91-138, 2003

      6 이연식, "해방 직후 서울 소재 ‘적산요정’ 개방운동의 원인과 전개과정 - 1946∼1947년 제1·2차 개방을 중심으로 -" 서울역사편찬원 (84) : 203-242, 2013

      7 이연식, "해방 직후 ‘우리 안의 난민·이주민 문제’에 관한 시론" 역사문제연구소 20 (20): 117-166, 2016

      8 오태영, "해방 공간의 재편과 접경/연대의 상상력 ―이광수의 『서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79) : 47-78, 2018

      9 이양숙, "트랜스모던 공간으로서의 서울, 1948년-염상섭 『효풍』의 현대적 의미" 도시인문학연구소 10 (10): 69-97, 2018

      10 정용욱, "점령의 시간" 푸른역사 2018

      1 오양호, "해방기 동포의 궁핍과 사상의 갈등-해방기문학에 나타난 ‘서울’의 두 문제" 한국현대소설학회 71-86, 1994

      2 장석홍, "해방 후 한인 귀환의 역사적 과제" 역사공간 2012

      3 황선익, "해방 후 귀환구호운동의 전개와 미군정의 대응" 한국근현대사학회 (85) : 117-149, 2018

      4 김제정, "해방 직후 수도 명칭의 결정과 1950년대 개정 논의" 서울학연구소 (56) : 81-104, 2014

      5 이연식, "해방 직후 서울로 유입된 귀환동포의 주택문제" 서울시립대학교국사학과 91-138, 2003

      6 이연식, "해방 직후 서울 소재 ‘적산요정’ 개방운동의 원인과 전개과정 - 1946∼1947년 제1·2차 개방을 중심으로 -" 서울역사편찬원 (84) : 203-242, 2013

      7 이연식, "해방 직후 ‘우리 안의 난민·이주민 문제’에 관한 시론" 역사문제연구소 20 (20): 117-166, 2016

      8 오태영, "해방 공간의 재편과 접경/연대의 상상력 ―이광수의 『서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79) : 47-78, 2018

      9 이양숙, "트랜스모던 공간으로서의 서울, 1948년-염상섭 『효풍』의 현대적 의미" 도시인문학연구소 10 (10): 69-97, 2018

      10 정용욱, "점령의 시간" 푸른역사 2018

      11 에드워드 랄프,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2 아르준 아파두라이, "소수에 대한 두려움" 에코리브로 2011

      13 전영택, "새봄의 노래" 2 (2): 1950

      14 질 밸런타인, "사회를 읽는 공간" 한울아카데미 2014

      15 마르크 오제, "비장소" 아카넷 2017

      16 박영준, "부로-커" (3) : 1947

      17 차희정, "바깥의 경험과 역동하는 공동체-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이주민 갈등과 통합의 한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56) : 581-607, 2014

      18 임세화, "모리배의 탄생 :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빈자(貧者)’의 도덕과 ‘경제적 인간’의 정치학" 상허학회 50 : 339-385, 2017

      19 김제정, "근대 ‘京城’의 용례와 그 의미의 변화" 서울학연구소 (49) : 2-29, 2012

      20 이 푸 투안, "공간과 장소" 대윤 2007

      21 황순원, "검부러기" 1949

      22 李文雄, "都市地域의 形成 및 生態的 過程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1967

      23 김동리, "穴居部族" 3 (3): 1947

      24 김광주, "白民(창간4주년기념호)" 1950

      25 안수길, "密會" 1 (1): 1949

      26 김송, "外套" 4 (4): 19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