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_프리프린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46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theoretical approach to a method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How to write women's literary history has little been an academic issue in not only Korea but also other countries. It seems to be no wonder because an earnest study of women's literary began in recent years, while some differences among 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ssues of important questions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and to grope for a different method of it.
      Generally speaking,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in European nations started at the same time with feminist movement in the 1960s, which gave rise to an attention to gender identity. Writing a history is an important useful way of identity recognition, including women's literary history. China and Japan have each a few examples of women's literary history, which were accomplished early in comparison of European nations. In these cases, women's literary history was regarded as just one part of national literary history. Unfortunately, there's no example of what so called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in Korea. However, many kinds of books and essays on Korean women's literature were included in investigation for this study, from academic monographs in recent days to short articles of magazines or newspapers in the early 20th.
      To sum up, there have been three important issues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generally. The first issue is what is recognized as women's literary tradition. One of the typical tendencies is trying to find ‘a great tradition’ in women's literary history with the same measure of valuating existing national literature. Another is trying to explain what so called ‘femininity’ as a characteristic of women's literature. The notion of ‘femininity’ has been referred on the one had negative as negative meaning, on the other as affirmative.
      The second issue is how feminist viewpoint is reflected in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Some early Western examples had a tendency of overestimating women's writing and growing sentimental over women writers in the past, due to consciousness for women's emancipation.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a tendency of just confirming objectively historical facts of women writers or literary works. There is no doubt that feminist standpoint has played an important part of excavating and revaluating women's literary past, in spite of some ill effects.
      The third issue is how periods of women's literary history are divided. Examples of China, Japan and Korea followed uncritically the way of each national literary history, criterions of which were a change of dynasties, regime, centuries or literary genres. Western examples in recent days have approached somewhat critically the question of periodization of women's literary history, which reflects some critique on modern knowledge leaded by postmodernism and poststructalism. However, any idea is little found that periodization of women's literary history c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national literary history.
      To solve the problems, this thesis suggested a new direction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and examined its application to Korean women's classical literary history. The new direction means turning from literary history to history of oral and literary life. The concept of ‘oral and literary life’ is substituted for ‘literature’ which doesn't suit the purpose of explaining women's literary history. It could include not only all kinds of written materials but also oral phenomena related to women's activity, not only professional artistic works but also ordinary writing and speaking, not only creative productive activity but also literary consumption like reading books. Discourse of women is included in it, too.
      A history of oral and literary life means a kind of cultural history focusing on language and power relationships among groups such as gender, class, race and etc. Writing history of women's oral and literary life has subjects of elucidating women's oral and literary activity and historical changes of power relationship of gender. It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o analyse patriarchal structure of controlling women's oral and literary life and its changes and continuity. As examples, this thesis analysed a biographical record of a Korean women poet written by her son in the early of 19th. and critiques of men writers in the upper class during four centuries, which valuated the most famous Korean women writer died in 1589.
      In the final chapter,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diversify forms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A new point of viewing literary history could be expressed better through diverse forms. It is why new attempts of historiography have been made in many fields of study inside and outside of country. For example, writing a new history of French literature attempted, what so called, a postmodernistic encyclopedic literary history, expressing a new concept of periodization. To represent a history of Korean women's oral and literary history, we need to examine positively diverse forms applying Microhistory and Macrohistory. This thesis examined an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chronological method.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theoretical approach to a method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How to write women's literary history has little been an academic issue in not only Korea but also other countries. It seems to be no wonder because an earnest stud...

      This thesis is a theoretical approach to a method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How to write women's literary history has little been an academic issue in not only Korea but also other countries. It seems to be no wonder because an earnest study of women's literary began in recent years, while some differences among 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issues of important questions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and to grope for a different method of it.
      Generally speaking,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in European nations started at the same time with feminist movement in the 1960s, which gave rise to an attention to gender identity. Writing a history is an important useful way of identity recognition, including women's literary history. China and Japan have each a few examples of women's literary history, which were accomplished early in comparison of European nations. In these cases, women's literary history was regarded as just one part of national literary history. Unfortunately, there's no example of what so called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in Korea. However, many kinds of books and essays on Korean women's literature were included in investigation for this study, from academic monographs in recent days to short articles of magazines or newspapers in the early 20th.
      To sum up, there have been three important issues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generally. The first issue is what is recognized as women's literary tradition. One of the typical tendencies is trying to find ‘a great tradition’ in women's literary history with the same measure of valuating existing national literature. Another is trying to explain what so called ‘femininity’ as a characteristic of women's literature. The notion of ‘femininity’ has been referred on the one had negative as negative meaning, on the other as affirmative.
      The second issue is how feminist viewpoint is reflected in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Some early Western examples had a tendency of overestimating women's writing and growing sentimental over women writers in the past, due to consciousness for women's emancipation. On the other hand, examples of China, Japan and Korea had a tendency of just confirming objectively historical facts of women writers or literary works. There is no doubt that feminist standpoint has played an important part of excavating and revaluating women's literary past, in spite of some ill effects.
      The third issue is how periods of women's literary history are divided. Examples of China, Japan and Korea followed uncritically the way of each national literary history, criterions of which were a change of dynasties, regime, centuries or literary genres. Western examples in recent days have approached somewhat critically the question of periodization of women's literary history, which reflects some critique on modern knowledge leaded by postmodernism and poststructalism. However, any idea is little found that periodization of women's literary history c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national literary history.
      To solve the problems, this thesis suggested a new direction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and examined its application to Korean women's classical literary history. The new direction means turning from literary history to history of oral and literary life. The concept of ‘oral and literary life’ is substituted for ‘literature’ which doesn't suit the purpose of explaining women's literary history. It could include not only all kinds of written materials but also oral phenomena related to women's activity, not only professional artistic works but also ordinary writing and speaking, not only creative productive activity but also literary consumption like reading books. Discourse of women is included in it, too.
      A history of oral and literary life means a kind of cultural history focusing on language and power relationships among groups such as gender, class, race and etc. Writing history of women's oral and literary life has subjects of elucidating women's oral and literary activity and historical changes of power relationship of gender. It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o analyse patriarchal structure of controlling women's oral and literary life and its changes and continuity. As examples, this thesis analysed a biographical record of a Korean women poet written by her son in the early of 19th. and critiques of men writers in the upper class during four centuries, which valuated the most famous Korean women writer died in 1589.
      In the final chapter, it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diversify forms of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A new point of viewing literary history could be expressed better through diverse forms. It is why new attempts of historiography have been made in many fields of study inside and outside of country. For example, writing a new history of French literature attempted, what so called, a postmodernistic encyclopedic literary history, expressing a new concept of periodization. To represent a history of Korean women's oral and literary history, we need to examine positively diverse forms applying Microhistory and Macrohistory. This thesis examined an application of a conventional chronological metho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 서론 1
      1.1. 문제제기 1
      1.2. 연구의 목적과 방법 4

      2. 예비적 고찰 10
      2.1. 여성문학사의 개념과 범주 10
      2.1.1. 여성문학 개념의 사적 고찰 10
      2.1.2. 여성문학사의 서술범위 21
      2.2. 여성문학사의 필요성에 관한 논란 29
      2.2.1. 성별 정체성의 인식 29
      2.2.2. 기존 문학사와의 관계 34

      3.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 41
      3.1. 전통 인식의 문제 41
      3.1.1. 정전화 작업 42
      3.1.2. 여성문학특질론 52
      3.2. 여성주의 시각의 문제 64
      3.2.1. 감상주의와 목적의식 64
      3.2.2. 객관적 서술의 딜레마 71
      3.3. 시대구분의 문제 80
      3.3.1. 시대구분론의 쟁점 80
      3.3.2. 여성문학사 시대구분의 독자성 87


      4. 한국고전여성문학사에서 찾는 해결방향 97
      4.1. 어문생활사로의 전환 97
      4.1.1. 어문생활사의 개념과 범주 97
      4.1.2. 어문생활사의 구조 104
      4.2. 젠더권력관계의 해명 113
      4.2.1. 어문생활의 젠더권력관계 114
      4.2.2. 관계의 변화와 지속 122
      4.3. 여성어문생활사의 체계와 형식 128
      4.3.1. 서술형식의 다변화 128
      4.3.2. 조직화의 원리 134

      5. 결론 144

      <참고문헌> 148
      <Abstract> 159
      번역하기

      1. 서론 1 1.1. 문제제기 1 1.2. 연구의 목적과 방법 4 2. 예비적 고찰 10 2.1. 여성문학사의 개념과 범주 10 2.1.1. 여성문학 개념의 사적 고찰 10 2.1.2. 여성...

      1. 서론 1
      1.1. 문제제기 1
      1.2. 연구의 목적과 방법 4

      2. 예비적 고찰 10
      2.1. 여성문학사의 개념과 범주 10
      2.1.1. 여성문학 개념의 사적 고찰 10
      2.1.2. 여성문학사의 서술범위 21
      2.2. 여성문학사의 필요성에 관한 논란 29
      2.2.1. 성별 정체성의 인식 29
      2.2.2. 기존 문학사와의 관계 34

      3.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 41
      3.1. 전통 인식의 문제 41
      3.1.1. 정전화 작업 42
      3.1.2. 여성문학특질론 52
      3.2. 여성주의 시각의 문제 64
      3.2.1. 감상주의와 목적의식 64
      3.2.2. 객관적 서술의 딜레마 71
      3.3. 시대구분의 문제 80
      3.3.1. 시대구분론의 쟁점 80
      3.3.2. 여성문학사 시대구분의 독자성 87


      4. 한국고전여성문학사에서 찾는 해결방향 97
      4.1. 어문생활사로의 전환 97
      4.1.1. 어문생활사의 개념과 범주 97
      4.1.2. 어문생활사의 구조 104
      4.2. 젠더권력관계의 해명 113
      4.2.1. 어문생활의 젠더권력관계 114
      4.2.2. 관계의 변화와 지속 122
      4.3. 여성어문생활사의 체계와 형식 128
      4.3.1. 서술형식의 다변화 128
      4.3.2. 조직화의 원리 134

      5. 결론 144

      <참고문헌> 148
      <Abstract> 15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국내외 여성문학사 서술의 성과와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고전여성문학사에서 그 해결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이 연구는 여성문학사 서술에 관한 일반론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한국여성문학사 서술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20세기 한국․중국․일본․영미의 여성문학사 서술과 영어권에서 출간된 유럽 각 국의 여성문학사 서술이다. 한국에서는 외국의 사례에 비견될 만한 여성문학사 서술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으나, 20세기초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글들을 논의에 포괄하여 한국여성문학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연구의 현 단계를 함께 검토하는 기회로 삼았다. 외국의 모든 사례를 다루지 못한 것은 근본적인 한계라 하겠지만,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국가 간의 여성문학사 서술 경과를 비교하는 데 있지는 않았다. 그보다 여성문학사 서술에서 일반적으로 문제될 수 있는 지점들을 찾아 쟁점화하는 작업을 본 연구의 긴요한 과제로 삼았다.
      여성문학사 서술의 일반적 문제점을 검토하기에 앞서, 기존에 여성문학사의 개념과 범주가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가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의 문학활동 및 여성담론의 역사를 광의의 여성문학사로 재규정하였다. 외국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여성문학사 서술은 대개 여성작가문학을 중심으로 한 협의의 문학사로, 문학의 범주 설정에 따라 서술 범위가 가변적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역사 서술과 집단 정체성의 관계, 여성문학사와 자국문학사와의 관계 속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문학사 서술의 일반적 문제점을 크게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여성문학사에서 전통인식의 문제, 문학사를 해석하는 기준으로서 여성주의 시각의 문제, 여성문학사 시대구분의 독자성 문제가 그것이다. 기존의 여성문학사 서술이 이 문제들을 어떻게 취급해 왔는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곧 여성문학사 서술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의의를 갖는다.
      첫째, 여성문학사에서 전통을 인식하는 태도는 과거의 여성문학을 현재 여성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 하는가의 문제인 동시에 여성문학의 미래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여성문학사적 가치를 평가하는 관점의 문제이다. 3.1장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전개된 여성문학전통론의 경과와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하나는 과거 여성문학의 일부를 자국문학사의 ‘위대한 전통’으로 정전화하는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문학만의 특질을 규명하려는 노력이다. 전자의 경우, 정전이 내포하는 문학성에 대한 전제가 여성문학전통의 다양성을 은폐시키는 한계가 있었다. 후자의 경우, ‘여성성’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문학특질론은 그 해석이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여성문학에 관한 논의를 비역사화하는 위험을 내포한 것이었다.
      둘째, 문학사 서술에 있어서 여성주의적 해석은 근본적으로 역사 서술의 객관성 문제와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3.2장에서는 여성주의 시각이 각 국 여성문학사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가를 살피고, 그 부정적․긍정적 측면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미에서 이루어진 초기의 여성문학사 서술에서는 불운한 여성작가의 상징, 여성문학전통의 독자성과 연속성에 대한 강조 등 여성해방의식에서 비롯된 해석의 과도함이나 감상적 태도가 적지 않게 드러났다. 반면 서술자의 시선이 너무 ‘객관적’이기만 한 경우, 여성문학사에 관한 사실전달 이상의 역할을 스스로 제한하기도 한다.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기 이전 한․중․일에서 이루어진 여성문학사 서술은 대개 자국문학사의 일부로서만 기능할 뿐 여성문학사에 대한 특별한 문제의식을 찾기 어려웠으며, 여성문학사가 여성문학을 소재적 차원에서 특화하는 데 그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문학사 서술에서 시대구분의 문제는 역사를 인식하는 기본관점에 따라 그 위상이 크게 다르다. 3.3장에서는 국내외 자국문학사 서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시대구분론의 쟁점을 정리하고 기존의 여성문학사 서술이 시대구분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 고찰하였다. 중국과 일본을 비롯하여 대체로 각 국의 자국문학사 서술에서 마련된 시대구분 결과를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에 씌어진 유럽의 여성문학사에서는 서술체제의 변화를 통해 문학사 시대구분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접근을 보였는데, 이것은 20세기 후반 서구학계에서 진행된 근대학문의 비판적 성찰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성문학사의 전개를 해명하기 위해 자국문학사와는 다른 시대구분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시각은 거의 마련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고, 4장에서는 한국고전여성문학사를 대상으로 여성문학사 서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여성문학전통의 다양성 재현을 위하여 문학사에서 어문생활사로의 전환을 주장하였다. 기존의 문학 개념이 자국문학사에서 오랫동안 주변부에 속했던 여성문학사의 전개를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어문생활 개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문학사 서술의 여성주의적 접근을 어문생활에 내재한 젠더권력관계의 구조적 이해로 재규정하였다. 젠더권력관계가 여성의 어문생활을 일정한 형태로 틀 지우는 방식을 몇 가지 사례를 들어서 논의하였다. 셋째, 문학사 인식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여성어문생활사의 서술형식을 다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 마지막 장의 내용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학사 및 역사 일반에서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시도들을 검토하고, 한국고전여성문학사를 사건 중심의 연대기적 어문생활사로 서술하는 모델을 시험하였다. 요컨대 여성어문생활사 서술은 여성의 어문활동 및 여성담론의 역사를 젠더권력관계의 변화와 지속으로 해명하는 작업이다. 미시적 단면사와 거시적 통사 등 다양한 형식을 동원할 때 그 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국내외 여성문학사 서술의 성과와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고전여성문학사에서 그 해결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이 연구는 여성문학사 서술에 관한 일반론에 해당하며, ...

      이 논문은 국내외 여성문학사 서술의 성과와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국고전여성문학사에서 그 해결방향을 모색한 것이다. 이 연구는 여성문학사 서술에 관한 일반론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한국여성문학사 서술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분석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20세기 한국․중국․일본․영미의 여성문학사 서술과 영어권에서 출간된 유럽 각 국의 여성문학사 서술이다. 한국에서는 외국의 사례에 비견될 만한 여성문학사 서술이 아직 본격화되지 않았으나, 20세기초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글들을 논의에 포괄하여 한국여성문학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연구의 현 단계를 함께 검토하는 기회로 삼았다. 외국의 모든 사례를 다루지 못한 것은 근본적인 한계라 하겠지만,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 국가 간의 여성문학사 서술 경과를 비교하는 데 있지는 않았다. 그보다 여성문학사 서술에서 일반적으로 문제될 수 있는 지점들을 찾아 쟁점화하는 작업을 본 연구의 긴요한 과제로 삼았다.
      여성문학사 서술의 일반적 문제점을 검토하기에 앞서, 기존에 여성문학사의 개념과 범주가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가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여성의 문학활동 및 여성담론의 역사를 광의의 여성문학사로 재규정하였다. 외국에서 이루어진 기존의 여성문학사 서술은 대개 여성작가문학을 중심으로 한 협의의 문학사로, 문학의 범주 설정에 따라 서술 범위가 가변적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역사 서술과 집단 정체성의 관계, 여성문학사와 자국문학사와의 관계 속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여성문학사 서술의 일반적 문제점을 크게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여성문학사에서 전통인식의 문제, 문학사를 해석하는 기준으로서 여성주의 시각의 문제, 여성문학사 시대구분의 독자성 문제가 그것이다. 기존의 여성문학사 서술이 이 문제들을 어떻게 취급해 왔는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곧 여성문학사 서술의 방향성을 점검하는 의의를 갖는다.
      첫째, 여성문학사에서 전통을 인식하는 태도는 과거의 여성문학을 현재 여성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자리매김 하는가의 문제인 동시에 여성문학의 미래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 여성문학사적 가치를 평가하는 관점의 문제이다. 3.1장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전개된 여성문학전통론의 경과와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하나는 과거 여성문학의 일부를 자국문학사의 ‘위대한 전통’으로 정전화하는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문학만의 특질을 규명하려는 노력이다. 전자의 경우, 정전이 내포하는 문학성에 대한 전제가 여성문학전통의 다양성을 은폐시키는 한계가 있었다. 후자의 경우, ‘여성성’ 개념을 중심으로 전개된 여성문학특질론은 그 해석이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여성문학에 관한 논의를 비역사화하는 위험을 내포한 것이었다.
      둘째, 문학사 서술에 있어서 여성주의적 해석은 근본적으로 역사 서술의 객관성 문제와 관련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3.2장에서는 여성주의 시각이 각 국 여성문학사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어 왔는가를 살피고, 그 부정적․긍정적 측면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미에서 이루어진 초기의 여성문학사 서술에서는 불운한 여성작가의 상징, 여성문학전통의 독자성과 연속성에 대한 강조 등 여성해방의식에서 비롯된 해석의 과도함이나 감상적 태도가 적지 않게 드러났다. 반면 서술자의 시선이 너무 ‘객관적’이기만 한 경우, 여성문학사에 관한 사실전달 이상의 역할을 스스로 제한하기도 한다. 페미니즘의 영향을 받기 이전 한․중․일에서 이루어진 여성문학사 서술은 대개 자국문학사의 일부로서만 기능할 뿐 여성문학사에 대한 특별한 문제의식을 찾기 어려웠으며, 여성문학사가 여성문학을 소재적 차원에서 특화하는 데 그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문학사 서술에서 시대구분의 문제는 역사를 인식하는 기본관점에 따라 그 위상이 크게 다르다. 3.3장에서는 국내외 자국문학사 서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시대구분론의 쟁점을 정리하고 기존의 여성문학사 서술이 시대구분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고 있는가 고찰하였다. 중국과 일본을 비롯하여 대체로 각 국의 자국문학사 서술에서 마련된 시대구분 결과를 그대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최근에 씌어진 유럽의 여성문학사에서는 서술체제의 변화를 통해 문학사 시대구분에 대해 다소 비판적인 접근을 보였는데, 이것은 20세기 후반 서구학계에서 진행된 근대학문의 비판적 성찰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성문학사의 전개를 해명하기 위해 자국문학사와는 다른 시대구분의 기준이 필요하다는 시각은 거의 마련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고, 4장에서는 한국고전여성문학사를 대상으로 여성문학사 서술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여성문학전통의 다양성 재현을 위하여 문학사에서 어문생활사로의 전환을 주장하였다. 기존의 문학 개념이 자국문학사에서 오랫동안 주변부에 속했던 여성문학사의 전개를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어문생활 개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문학사 서술의 여성주의적 접근을 어문생활에 내재한 젠더권력관계의 구조적 이해로 재규정하였다. 젠더권력관계가 여성의 어문생활을 일정한 형태로 틀 지우는 방식을 몇 가지 사례를 들어서 논의하였다. 셋째, 문학사 인식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하여 여성어문생활사의 서술형식을 다변화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 마지막 장의 내용이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학사 및 역사 일반에서 진행되고 있는 새로운 시도들을 검토하고, 한국고전여성문학사를 사건 중심의 연대기적 어문생활사로 서술하는 모델을 시험하였다. 요컨대 여성어문생활사 서술은 여성의 어문활동 및 여성담론의 역사를 젠더권력관계의 변화와 지속으로 해명하는 작업이다. 미시적 단면사와 거시적 통사 등 다양한 형식을 동원할 때 그 작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