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은 대개 이것, 저것을 하느라고 공부외의 다른 일에 시간을 낭비해 버리거나, 아르바이트 등으로 인하여 실제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며, 또한 막상 공부를 할려고 해도 무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11839
1991
Korean
372
학술저널
53-70(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생들은 대개 이것, 저것을 하느라고 공부외의 다른 일에 시간을 낭비해 버리거나, 아르바이트 등으로 인하여 실제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며, 또한 막상 공부를 할려고 해도 무슨 ...
학생들은 대개 이것, 저것을 하느라고 공부외의 다른 일에 시간을 낭비해 버리거나, 아르바이트 등으로 인하여 실제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며, 또한 막상 공부를 할려고 해도 무슨 과목부터 해야 할지 망설이게 된다는 것이다(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81; Brown & Holtzman, 1972; Locke, 1975). 특히 학사경고를 받은 학생들(academic high-risk student)은 대개 학습시간을 조직적이고 계획성있게 활용하지 못할 뿐 아니라 공부도 주당 10시간 정도, 그것도 주로 저녁에만 공부를 하며 복습도 거의 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McCoy, 1978).
이러한 현상을 고려해 볼 때 이들에게 있어서의 문제는 능력부족이 아니라 학습 기술이나 학습습관에 잘못이 있다는 것이다(Prather, 1983). 특히 다른 어느 학습기술보다도 시간관리 기술이 학업에 대한 노력을 가장 잘 예언해 주며(Bowman, 1981), 짧은 기간의 훈련만으로도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며, 학업성적이나 학습습관의 향상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학습에 대한 동기형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ranney & Kirby, 1980; Mussano, 1977; Driskell & Kelly, 1980; Walter & Sibert, 1981). 그리하여 미국에서는 학생들에게 이와 관련된 각종 훈련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학습기술과 관련된 훈련 프로그램의 59.1%가 시간관리 기술을 하위기술이나 혹은 단독기술로 취급하고 있다(김남옥, 1982).
목차 (Table of Contents)
시험에 대한 자기효능이 학업성적과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