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王陽明의 실천론과 萬物一體 사상을 기반으로 한 武道의 道德性 탐색 = An Exploration of morality of Mu-Do based on Wang Yang-ming`s knowledge as action and the philosophy of all thing as one bo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891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follow-up of "An Explorative Study of Morality in Mu-do grounded in Wang, Yang-Ming's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Kim, Si-yeon and Kim, Dong-kyu, 2009)." which was conducted for conceptual unific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Through this research, I intend to unify knowledge and action to enhance theory of practice. For this purpose, I explored how ‘Everyday life-Training(事上磨鍊)'and 'Cut root-Hole in pond(拔本塞源)', unified action theory of Wang Yang-ming's, can be realized as 'Mu-Do'`s action theory and I tried to figure out eventual meaning of 'Mu-Do' through 'all thing as one body(萬物一體)'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ory of practice. As a result, I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事上磨鍊 is reached regardless of living and breathing instances, namely time, space, form and method. Even though 'Training(磨鍊)' of 'movement time(動時)' is more important than 'no movement time(靜時)', these two cannot be divided, and should be conducted pleasantly. Second, 拔本塞源 of martial artist is to reveal innate knowledge by removing selfish interest and desire. Thus the beginning of 'Mu' is 'Do', and the completion of 'Do' is 'Mu', which can bring us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 (知行合一)' of 'Mu-Do'. This is an action to become aware of Existence, which is a training method to distinguish true and false of 'Mu-Do'. Third, 萬物一體 means that morality of 'Mu-Do' is morally connected to all the living creature in the organic network of universe for co-existence. Moreover, 萬物一體 of 'Mu-Do' means that the reason of universe circulates in the form of intangibility and form repeatedly through 'Noumenon(本體)', by which morality of 'Mu-Do' is revealed.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follow-up of "An Explorative Study of Morality in Mu-do grounded in Wang, Yang-Ming's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Kim, Si-yeon and Kim, Dong-kyu, 2009)." which was conducted for conceptual unific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This study is a follow-up of "An Explorative Study of Morality in Mu-do grounded in Wang, Yang-Ming's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Kim, Si-yeon and Kim, Dong-kyu, 2009)." which was conducted for conceptual unification of knowledge and action. Through this research, I intend to unify knowledge and action to enhance theory of practice. For this purpose, I explored how ‘Everyday life-Training(事上磨鍊)'and 'Cut root-Hole in pond(拔本塞源)', unified action theory of Wang Yang-ming's, can be realized as 'Mu-Do'`s action theory and I tried to figure out eventual meaning of 'Mu-Do' through 'all thing as one body(萬物一體)' which is the final destination of theory of practice. As a result, I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事上磨鍊 is reached regardless of living and breathing instances, namely time, space, form and method. Even though 'Training(磨鍊)' of 'movement time(動時)' is more important than 'no movement time(靜時)', these two cannot be divided, and should be conducted pleasantly. Second, 拔本塞源 of martial artist is to reveal innate knowledge by removing selfish interest and desire. Thus the beginning of 'Mu' is 'Do', and the completion of 'Do' is 'Mu', which can bring us 'Ideology of Knowledge - Action Unity (知行合一)' of 'Mu-Do'. This is an action to become aware of Existence, which is a training method to distinguish true and false of 'Mu-Do'. Third, 萬物一體 means that morality of 'Mu-Do' is morally connected to all the living creature in the organic network of universe for co-existence. Moreover, 萬物一體 of 'Mu-Do' means that the reason of universe circulates in the form of intangibility and form repeatedly through 'Noumenon(本體)', by which morality of 'Mu-Do' is reveal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내적으로 앎과 행위의 관념적 일원화를 위해 시행되었던「王陽明의 지행합일 사상에 비춰진 무도의 도덕성 탐색(김시연·김동규, 2009)」의 후속연구로서 앎과 행위의 관계를 실천적으로 일원화하기 위해 구상되었다. 이를 위해서 王陽明의 앎과 행위에 있어서의 일원적 실천론인 ‘事上磨鍊’과 ‘拔本塞源’이 무도의 실천론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실천론의 궁극적 종착점인 萬物一體사상을 통해 무도가 갖는 궁극적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도의 사상마련은 살아 숨 쉬는 모든 순간, 즉 시간·장소·형태·방식과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靜時’보다는 ‘動時’의 마련이 중요하지만 이 둘은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이며 항상 쾌활한 마음으로 행해야 한다. 둘째, 무도의 발본색원은 私慾과 物慾을 제거하여 良知를 발현시키는 것이며, 이로써 武의 시작이 道이며, 道의 완성이 武가 되는 무도의 지행합일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實存의 내적 깨달음을 위한 행위로서 무도의 진위를 구별하게 하는 수양방법이 된다. 셋째, 무도의 만물일체사상은 사상마련과 발본색원을 통해서 구현된 무도의 도덕성이 우주의 모든 생명체와 유기적인 관계망 내에서 도덕적으로 연결되어 공존․공생하고 있음을 말한다. 또한 무도의 만물일체 사상은 우주의 이치가 본체를 통해 무형과 유형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무도의 도덕성이 발현하게 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내적으로 앎과 행위의 관념적 일원화를 위해 시행되었던「王陽明의 지행합일 사상에 비춰진 무도의 도덕성 탐색(김시연·김동규, 2009)」의 후속연구로서 앎과 행위의 관계를 실천...

      본 연구는 내적으로 앎과 행위의 관념적 일원화를 위해 시행되었던「王陽明의 지행합일 사상에 비춰진 무도의 도덕성 탐색(김시연·김동규, 2009)」의 후속연구로서 앎과 행위의 관계를 실천적으로 일원화하기 위해 구상되었다. 이를 위해서 王陽明의 앎과 행위에 있어서의 일원적 실천론인 ‘事上磨鍊’과 ‘拔本塞源’이 무도의 실천론으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실천론의 궁극적 종착점인 萬物一體사상을 통해 무도가 갖는 궁극적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도의 사상마련은 살아 숨 쉬는 모든 순간, 즉 시간·장소·형태·방식과 무관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靜時’보다는 ‘動時’의 마련이 중요하지만 이 둘은 분리될 수 없는 하나이며 항상 쾌활한 마음으로 행해야 한다. 둘째, 무도의 발본색원은 私慾과 物慾을 제거하여 良知를 발현시키는 것이며, 이로써 武의 시작이 道이며, 道의 완성이 武가 되는 무도의 지행합일이 일어나게 된다. 이는 實存의 내적 깨달음을 위한 행위로서 무도의 진위를 구별하게 하는 수양방법이 된다. 셋째, 무도의 만물일체사상은 사상마련과 발본색원을 통해서 구현된 무도의 도덕성이 우주의 모든 생명체와 유기적인 관계망 내에서 도덕적으로 연결되어 공존․공생하고 있음을 말한다. 또한 무도의 만물일체 사상은 우주의 이치가 본체를 통해 무형과 유형이 반복적으로 순환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무도의 도덕성이 발현하게 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부찬, "한국 전통무예 철학으로서 '무도(武道)'에 대한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927-936, 2005

      2 홍성민, "주자 수양론의 구조와 실천적 성격" 고려대학교 2008

      3 정인재, "전습록" 청계출판사 2001

      4 최진덕, "인문학 철학 그리고 유학" 청계출판사 2004

      5 EBS 다큐프라임, "아이의 사생활 1, 제2부 도덕성"

      6 양광규, "무도의 정신과 스포츠" 6 (6): 35-48, 1998

      7 이경명, "무도 발전을 위한 무도적 학문화의 역할" 6 (6): 1-8, 2004

      8 류병관, "동양무도의 정신성 고찰" 8 (8): 41-62, 2006

      9 "네이버 백과사전"

      10 김시연, "王陽明의‘知行合一’사상에 비춰진 무도의 도덕성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17 (17): 131-146, 2009

      1 김부찬, "한국 전통무예 철학으로서 '무도(武道)'에 대한 고찰" 한국스포츠리서치 16 (16): 927-936, 2005

      2 홍성민, "주자 수양론의 구조와 실천적 성격" 고려대학교 2008

      3 정인재, "전습록" 청계출판사 2001

      4 최진덕, "인문학 철학 그리고 유학" 청계출판사 2004

      5 EBS 다큐프라임, "아이의 사생활 1, 제2부 도덕성"

      6 양광규, "무도의 정신과 스포츠" 6 (6): 35-48, 1998

      7 이경명, "무도 발전을 위한 무도적 학문화의 역할" 6 (6): 1-8, 2004

      8 류병관, "동양무도의 정신성 고찰" 8 (8): 41-62, 2006

      9 "네이버 백과사전"

      10 김시연, "王陽明의‘知行合一’사상에 비춰진 무도의 도덕성 탐색" 한국체육철학회 17 (17): 131-146, 2009

      11 김정곤, "王陽明의 수양론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2001

      12 김세정, "王陽明의 생명철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8

      13 "春秋左氏傳"

      14 孔孫丑章 句 上, "孟子"

      15 "傳習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04-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and Martial Arts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3-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Philosophy of Sport, Dance & Martial Art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Philosophy of Movement : The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1.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0.947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