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esearch on the Value Shift of Ne zha’s Character Image in Different Periods : Take Ne Zha : I am the destiny(2019) and Ne Zha Conquers the Dragon King(1979) as Exam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52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시대별과 배경에서 나타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로서, 〈나타지마동강세(2019)〉와 〈나타요해1979)〉는 나타의 각기 다른 예술 이미지의 가치와 중요성을 반영하였다. 나타 인물 이미지...

      시대별과 배경에서 나타를 주제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로서, 〈나타지마동강세(2019)〉와 〈나타요해1979)〉는 나타의 각기 다른 예술 이미지의 가치와 중요성을 반영하였다. 나타 인물 이미지의 가치 전향 연구는 나타 예술 이미지의 다른 스타일을 보여준다. 본 논문은 영화 속 나타 캐릭터의 예술적 표현에 따라 그 뒤에 나타나는 가치의 변화를 해석하다. 나타의 ‘선’에서‘악’이미지로의 전환은 물론, 아버지의 뜻을 거스르기 어렵다 관념에서 운명이 자신의 손에 있다는 관념으로 옮겨가는 것은 나타 이미지의 다른 가치와 의미를 시대별 배경에서 반영한다. 모든 작품에는 선명한 시대성이 있다. <나타지마동강세(2019)>는 새로운 시기 나타 캐릭터의 영화적 혁신과 내용 깊이가 새롭게 드러난 작품이다. 예술적 표현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는데, 이러한 차별화가 애니메이션을 주름잡는 매력을 크게 증가시켜 중국 애니메이션 영화가 더 많은 발전 공간과 가치를 갖도록 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e Zha: I am the destiny(2019)and Ne Zha Conquers the Dragon King(1979)as animated films based on the theme of Ne zha in different eras and contexts, reflect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different artistic images of Ne zha, The study of th...

      Ne Zha: I am the destiny(2019)and Ne Zha Conquers the Dragon King(1979)as animated films based on the theme of Ne zha in different eras and contexts, reflecting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different artistic images of Ne zha, The study of the value turn in the character image of Ne zha reflects the different styles of artistic images of Ne zha. This thesis attempts to interpret the changing values behind the different artistic expressions of the Ne zha character in different films. The transformation of Ne zha"s image from good to evil, and the shift from the idea of "submit to the will of heaven" to the idea of "taking one"s destiny into one"s own hands" reflect the different values and meanings of Ne zha"s image in different eras. Each film is distinctly contemporary, and Ne Zha: I am the destiny is an innovative and in-depth look at the character of Ne zha in the new era of cinema. There are many forms of artistic expression, and these differences greatly increase the appeal of Ne zha"s artistic image, making Chinese animation films more space and value for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Introduction
      • II. The Deconstruction and Reshaping of the Shift from Grand Narratives to Personal Narratives
      • III. Different times have different images of Ne zha
      • IV. Reflection of the aesthetic concept and value change in different times
      • ABSTRACT
      • I. Introduction
      • II. The Deconstruction and Reshaping of the Shift from Grand Narratives to Personal Narratives
      • III. Different times have different images of Ne zha
      • IV. Reflection of the aesthetic concept and value change in different times
      • V. Conclusion
      • References
      • 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