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창작동화를 ‘일제강점 및 해방혼미기(1910-1949)-전란 및 복구기(1950-1961)-경제개발이기 이후(1962-2010)로 구분하여 죽음의식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 및 해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9722
-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창작동화를 ‘일제강점 및 해방혼미기(1910-1949)-전란 및 복구기(1950-1961)-경제개발이기 이후(1962-2010)로 구분하여 죽음의식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 및 해방...
본 연구는 창작동화를 ‘일제강점 및 해방혼미기(1910-1949)-전란 및 복구기(1950-1961)-경제개발이기 이후(1962-2010)로 구분하여 죽음의식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일제강점 및 해방기(1910-1949) 작품으로 방정환(「벚꽃 이야기」,1926/「삼부자의 곰 잡기」,1930), 마해송(「바위나리와 아기별」,1926(?))을 검토한 결과 죽어서 벚꽃으로 환생하거나, 죽음을 무릅쓰는 사랑의 힘, 죽음에 이르는 사랑의 힘 등 초월적인 죽음의식의 형상화가 두드러졌다. 이는 암울한 시대의 극복의지로 이해되었다.
전란 및 복구기(1950-1961)에서는 김요섭(「은하수」,1953), 이원수(『꼬마 옥이』, 1954), 마해송(『사슴과 사냥개』(1954))를 검토하였다. 이 시기 동화에서는 슬픔, 그리움, 치유, 성장 등의 정서와 가치, 생명력의 회복을 간절하게 기원하는 죽음의식을 볼 수 있었다.
경제개발 초기(1962-1990)의 작품으로는 권정생(『강아지똥』,1969/ 「하느님의 눈물」,1984), 김옥애(「종달새야 종달새야」(1980),「소나무와 흙의 약속」(1987),「무덤 앞에서」(1987))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물질만능과 이데올로기의 대결 환경에서 인간성의 회복과 구원으로서 죽음의식이 돋보였다. 경제개발 후기(1991-2010)는 해빙과 산업의 고도화, 세계화, 정보화가 특징인 시대로 황선미(『마당을 나온 암탉』,2000), 유은실(『마지막 이벤트』,2010), 고정욱(『여름캠프에서 무슨 일이』,2012) 등 장편동화가 주류를 이루었다. 이들 작품은 죽음을 잊은 사회에 대하여 죽음의식의 고양을 전면에 내세우고, 죽음의식의 고도화를 모색하는 특징이 감지되었다.
창작동화의 죽음의식의 형상화 양상은 적극성이 높아지고, 죽음의식이 다양해지며, 문예미학적 양상도 고도화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적극성이 높아진 것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어린이 죽음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진 때문이다. 즉 죽음이 어린이에게 무겁고 부담스런 것이 아니라 더 나은 삶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는 인식의 확장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죽음의식의 내용이 점차 풍부해진 현상 또한 사회의 병리가 깊어지는 정도에 따른 대응의 다양성으로 이해된다. 죽음의식에 관한 작가의 인식이 높아지고 표현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작품에서 죽음관련 미학적 형상화 양상도 다양해지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eal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children’s story written between 1910 and 2010. This study divided object period for this literal project into three terms and selected nine writers and works such as Bang Jungwhan’s, ...
This study is designed to reveal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children’s story written between 1910 and 2010. This study divided object period for this literal project into three terms and selected nine writers and works such as Bang Jungwhan’s, Ma Haesong’s, Kim Yoseph’s, Lee Wonsu’s, Kwon Jungsaeng’s, Kim Ogae’s, Whang Sunmi’s, Lyu Eunsil’s, Go Jungwook’s.
There were many death cases in korean children’s story likely a nation’s literature of turbulent history. Sometimes the cases of death were used to accuse the brutality of war and irrationality of ideology. Another cases were used to cure mind hurted and console for grief.
This study took three viewpoints which are aesthetic aspect of death, relative aspect of death, essentialism of death for literal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various cognition and psychological aspects related death in Korean children’s story were revealed.
1. Children’s story writer’s aesthetical intension to describe consciousness of death in their story became positive.
2.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Korean children’s story became diverse and rich.
3. The aesthetic aspects of children’s story such as ‘structure’, ‘metaphor’, ‘meaning’ were improved. Depending on Death motif in narrative one story become tragic or not. It influence not only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