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there 존재구문의 논리 주어인 후치 명사구(post verbal NP)의 담화 기능을 주제 진행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there 구문의 의미상의 주어는 정보성 위주의 설명에서는 관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there 존재구문의 논리 주어인 후치 명사구(post verbal NP)의 담화 기능을 주제 진행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there 구문의 의미상의 주어는 정보성 위주의 설명에서는 관찰...
이 연구의 목적은 there 존재구문의 논리 주어인 후치 명사구(post verbal NP)의 담화 기능을 주제 진행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there 구문의 의미상의 주어는 정보성 위주의 설명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던 담화 기능을 수행하는데,이는 논리 주어의 정보성이나 단순한 의미 해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담화 흐름과 주제 응집성에 따라 그 기능을 달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접근 방식은 학교 문법에서 there 구문의 의미 해석보다는 논리 주어가 후행 담화에서는 어떤 명사구로 연결되어 나타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는 계기를 제공해 줄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담화의 기본이 되는 문장과 나아가서는 담화를 구성하는 요소의 정보성,그 요소와 선, 후행 발화와의 관련성,그리고 화자와 청자의 상호 관계 등 담화에 관여한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한다는 담화 전개의 관점을 통해 there 존재구문에 나타난 후치 명사구의 담화 기능이 ‘주제 도입’임을 제시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analysis discourse functions of English existential there constructions, which are called marked sentence types, with the focus on topic development.' It is argued that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postverbal NP (henceforth PVNP)...
This study aims to reanalysis discourse functions of English existential there constructions, which are called marked sentence types, with the focus on topic development.' It is argued that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postverbal NP (henceforth PVNP) of there constructions is 'topic introduction.'
1 have examined the discourse functions considering not only the common grammaticality of PVNPs but also the more detailed aspects such as the informational status, location of discourse, discourse processing and connections of the PVNPs in there constructions. In 'topic development,' the topic is introduced by types of definite NPs and indefinite NPs. It candinues as formed co-referential NP, deletion and anaphoric expressions, and when the different topical elements are introduced in discourse, then topic re-identification occurs. Also, the topics are realized as forming a 'topic coherence chain.' Based on these assumptions, I have proposed the discourse functions of PVNPs for there existential constru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iscourse functions in English marked constructions apply not only to the word expressions of natural language in general but also to their discourse coherence, topic-chain and discourse topic management. Furthermore, topic-chain, it is helpful for students (readers) to identify pronouns, referring expressions in the discourse and to give logical thinking for the effective writings.
참고문헌 (Reference)
1 Jeanne-Marie Le Prince de Beaumont,
2 이성범,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서 2001
3 정희자, "주제의 담화 기능에 대하여" 19 (19): 563-598, 1994
4 박승윤, "동사구 전치는 주제화이다" 24 (24): 557-577, 1999
5 정희자, "담화와 추론" 한신문화서 2002
6 김태옥, "담화․텍스트 언어학 입문" 양영각 1991
7 박승윤, "기능 문법론" 한신문화사 1990
8 Milsark,G, "Toward an Explanation of Certain Peculiarities of the Existential Construction in English" 3 : 1-30, 1977
9 Givón,T, "Topic Continuity Discourse" John Benjamins 1983
10 Beatrix Potter, "The tale of Peter Rabbit"
1 Jeanne-Marie Le Prince de Beaumont,
2 이성범, "추론의 화용론" 한국문화서 2001
3 정희자, "주제의 담화 기능에 대하여" 19 (19): 563-598, 1994
4 박승윤, "동사구 전치는 주제화이다" 24 (24): 557-577, 1999
5 정희자, "담화와 추론" 한신문화서 2002
6 김태옥, "담화․텍스트 언어학 입문" 양영각 1991
7 박승윤, "기능 문법론" 한신문화사 1990
8 Milsark,G, "Toward an Explanation of Certain Peculiarities of the Existential Construction in English" 3 : 1-30, 1977
9 Givón,T, "Topic Continuity Discourse" John Benjamins 1983
10 Beatrix Potter, "The tale of Peter Rabbit"
11 Prince,E, "The ZPG letters: subjects, definiteness, and information-status"
12 Penguin Books, "The Masks of God: Primitive Mythology" Penguin Books 1959
13 Mark Twain, "The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14 YBM, "TOEFL Test"
15 Van Dijk,T, "Studies in the Pragmatics of Discourse" Mouton Publishers 1981
16 Dowell,C, "Royal Delights" Morning Calm 2003
17 Green,G, "Pragmatics and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89
18 Breivik,L.E, "On the interpretation of existential there" 57 : 1-25, 1981
19 Givón,T, "On Understanding Grammar" Academic Press 1979
20 Bolinger,D, "Meaning and Form" Longman 1977
21 Larson,R, "Light Predicate Raising" 1988
22 Giora,R, "Language comprehension as structure building" 26 : 417-436, 1996
23 Chafe,W.L, "Givenness, constrastiveness, definiteness, Subjects, Topics and Points of View" Subject and Topic 25-55, 1976
24 Geluykens,R, "From Discourse Process to Grammatical Construction: on Left-Dislocation in English" John Benjamins 1992
25 Stockwell,R, "Foundation of Syntactic Theory" Prentice-Hall 1977
26 Givón,T, "English Grammar: A Function-based Introduction. Vol.1 and 2" John Benjamins 1993
27 Grosz, B., "Discourse structure and the paper treatment of interruptions" IJCAI 832-839, 1985
28 Ackerman,P.L, "Determinants of individual differences during skill acquisition: Cognitive abiliti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117 : 288-318, 1998
29 Giora, R., "Degree of narrativity and strategies of semantic reduction" 22 : 447-458, 1994
30 Rando, E., "Definites in there-sentences" 54 (54): 300-313, 1978
31 Ward G., "Definiteness and the English existential" 71 : 722-742, 1995
32 The Wall Street Journal, "Corporate Tax Cuts Are Proposed In Place of Disputed Export Credit"
33 Grosz, B., "Centering: a framework for modeling the local coherence of discourse" 21 : 203-225, 1995
34 McNally,L, "An Interpretation for the English Existential Constr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ta Cruz 1992
35 Giora,R, "A text-based analysis of non-narrative discourse" 12 (12): 115-135, 1985
36 Allan,K, "A note on the source of there in existential sentences" 7 : 1-18, 1971
37 Ward,G, "A comparison of postposed subjects in English and Italian"
초등 미술에서 미술의 개념 이해를 위한 미학적 접근 방안 연구
초등학교 영어교육 활성화를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 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초등학교의 일반학생과 영재학생들의 ‘곤충’에 대한 개념 인식 비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6-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3 | 1.544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