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최근 개발압력이 증가하여 생태자산 관리에 대한 많은 과제가 있는 경기도 파주시를 대상으로,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지역 주민 인식평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생태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94434
2021
Korean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31-41(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개발압력이 증가하여 생태자산 관리에 대한 많은 과제가 있는 경기도 파주시를 대상으로,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지역 주민 인식평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생태자...
본 연구는 최근 개발압력이 증가하여 생태자산 관리에 대한 많은 과제가 있는 경기도 파주시를 대상으로, 국립생태원에서 실시한 지역 주민 인식평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생태자산에 대한 거주민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에서는 가치관의 차이를 밝히는데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생태자산에 대한 주민들의 평가 성향을 구분하였으며, 성향에 따른 그룹별로 생태자산 훼손 취약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파주시 주민 중에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는 습지나 기수역, 산림 등 자연자산을 우선 보전하고자 하는 ‘자연보전 그룹’과 왕릉 및 묘역 등 문화유산과 연계된 생태자산을 우선 보전하고자 하는 ‘유산보전 그룹’ 등 크게 두 성향이 구분되었다. 두 설명그룹은 각 생태자산의 보전 인식, 활용 인식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었지만, 훼손도 평가에서는 비슷한 성향으로 답했으며, 특히 25개의 생태자산 중 2개 자산을 제외하고 모두 개발압력을 받고 있다고 인식했다. 또한, 전반적으로 ‘자연보전 그룹’이 ‘유산보전 그룹’보다 생태자산의 훼손에 대해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생태자산 중에서는 산남습지, 특히 공릉천, 공릉천 기수지역, 심학산의 관리에 대해서 ‘자연보전 그룹’이 훼손 가능성에 대해서 문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각 생태자산에 대한 거주민들의 가치관의 차이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했으며, 연구의 결과는 파주시 생태자산 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argets the city of Paju, Gyeonggi-do, where many challenges are facing ecological assets management due to the increase in recent development. Using the survey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Korea, the study analysed...
This study targets the city of Paju, Gyeonggi-do, where many challenges are facing ecological assets management due to the increase in recent development. Using the survey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in Korea, the study analysed the differences in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local ecological assets. The Q methodology, which is useful for revealing differences in opinions, was applied to classify the narrative groups, which had different points of view in evaluating each asset. Next, the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vulnerability of ecological asse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ity of Paju was divided into two main narrative groups: a 'Nature Conservation Group' and a 'Heritage Conservation Group'. The Nature Conservation Group wanted to prioritize ecologically valuable assets, such as wetlands, brackish zones, and forests. The Heritage Conservation Group preferred preserving ecological assets having a cultural contexts, such as royal tombs, graves, and the surrounding landscape. Evaluating the ecological assets, the two groups identified 23 ecological sites under threat from development among the 25 ecological sites considered. The Nature Conservation Group noted the importance of sites such as the Sannam Wetlands, Gongneungcheon, Gongneungcheon Brackish Zone, and Simhak Mountain. These were considered to be the most vulnerable ecological assets in the city. The study found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values for each ecological asset by residents. The results can serve as useful data for decision-making on ecological asset management in the city of Paju.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환, "파주 장릉(長陵)의 공간 및 경관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8 (38): 1-9, 2020
2 김정호, "파주 갈대 샛강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구조 모니터링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18 (18): 99-111, 2009
3 김무한, "탄천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통한 생태계서비스의 트레이드오프 관계 고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31-40, 2018
4 김벼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생태자산 연구 경향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6 (26): 303-314, 2017
5 김벼리, "지역 이해당사자 참여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1, 2019
6 안소은,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생태계서비스의 정의와 분류" 한국환경연구원 12 (12): 3-16, 2013
7 김일권,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이용한 경기도 도시의 유형화"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8 (28): 201-214, 2019
8 전성우,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산림 유형 분류 방안 - 임상도와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31-39, 2013
9 송철호, "산림의 수자원 공급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InVEST Water Yield 모형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120-134, 2015
10 이한용, "덕진산성 보존과 활용의 기본방향" 백제문화연구소 (56) : 255-270, 2017
1 이창환, "파주 장릉(長陵)의 공간 및 경관구성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8 (38): 1-9, 2020
2 김정호, "파주 갈대 샛강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구조 모니터링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18 (18): 99-111, 2009
3 김무한, "탄천 이용자의 인식조사를 통한 생태계서비스의 트레이드오프 관계 고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1 (21): 31-40, 2018
4 김벼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생태자산 연구 경향 분석"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6 (26): 303-314, 2017
5 김벼리, "지역 이해당사자 참여 생태계서비스 간이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2 (22): 1-11, 2019
6 안소은, "의사결정지원을 위한 생태계서비스의 정의와 분류" 한국환경연구원 12 (12): 3-16, 2013
7 김일권, "생태계서비스 번들을 이용한 경기도 도시의 유형화"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8 (28): 201-214, 2019
8 전성우,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산림 유형 분류 방안 - 임상도와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6 (16): 31-39, 2013
9 송철호, "산림의 수자원 공급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InVEST Water Yield 모형의 적용" 한국지리정보학회 18 (18): 120-134, 2015
10 이한용, "덕진산성 보존과 활용의 기본방향" 백제문화연구소 (56) : 255-270, 2017
11 류호상, "경기도 접경지역 환경부하의 공간적 특성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 7 (7): 157-170, 2004
12 Grimsrud, K., "Using the generalised Q method in ecological economics: A better way to capture representative values and perspectives in ecosystem service management" 170 : 106588-, 2020
13 Nhem, S., "Using Q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views of local experts on the sustainability of community-based forestry in Oddar Meanchey province, Cambodia" 106 : 101961-, 2019
14 Larondelle, N., "Urban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along a rural–urban gradient: A cross-analysis of European cities" 29 : 179-190, 2013
15 Martín-López, B, "Uncovering ecosystem service bundles through social preferences" 7 (7): e38970-, 2012
16 Chan, K. M., "Rethinking ecosystem services to better address and navigate cultural values" 74 : 8-18, 2012
17 Kerr, G. N., "Identifying cultural service values of a small river in the agricultural landscape of Canterbury, New Zealand, using combined methods" 25 (25): 1330-1339, 2012
18 Park, E, "Funding for nature conservation of the DMZ area:Focusing on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5 : 111-112, 2009
19 Song, I.,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Ecosystem Service Assessment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of Research on Policy Issues 2019
20 Hein, L., "Defining ecosystem assets for natural capital accounting" 11 (11): e0164460-, 2016
21 Lee, J, "Conflict mapping toward ecotourism facility foundation using spatial Q methodology" 72 : 69-77, 2019
22 Forrester, J., "Combining participatory mapping with Q-methodology to map stakeholder perceptions of complex environmental problems" 56 : 199-208, 2015
23 Buchel, S., "Citizens' voice: A case study about perceived ecosystem services by urban park users in Rotterdam, the Netherlands" 12 : 169-177, 2015
24 Brown, S. R., "A primer on Q methodology" 16 (16): 91-138, 1993
25 NIER, "2006 National Survey of Natural Landscape : Paju" MOE 2006
공동주택 건설사업에서 조경 감리의 품질관리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대학 내 조경전공 교육과정에 있어 새로운컴퓨터 미디어 수업의 필요와 개선방향
72시간 프로젝트로 본 소규모 유휴공간 재생 프로젝트의 경관적 개선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4 | 0.74 | 0.7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6 | 0.74 | 1.022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