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72시간 프로젝트로 본 소규모 유휴공간 재생 프로젝트의 경관적 개선 효과 = Visual Improvement Analysis of Small Scal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ocusing on ‘72 Hour Pro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4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visual improvement of “72 Hour Project” that has regenerated small scale derelict spaces in Seoul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29 projects built form 2016 to 2019 were analyzed. The research analyzed landscape image preference of before and after status of projects using 12 pairs of landscape adjectives.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i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s compared with the before-condition was 3.63 higher than 3.00,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as an meaningful effect of visual improvement after completion of the projects.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landscape adjective pairs were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harmony and aesthetic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four clusters were forme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of rhe cluster analysis, the cluster with the high harmony level and the aesthetics level showed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level. Comparing each cluster,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factor of harmon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factor of aesthetics in evaluat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projects. Analyzing qualitative aspects of project groups, spatially well-balanced design with generous vegetation areas was more effective in landscape improvement than artistic design with visually strong installations. Further researches based on behavior studies of actual users are required to compensate the limits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 improved direction of policies to regenerate various types of small scale derelict spaces.
      번역하기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visual improvement of “72 Hour Project” that has regenerated small scale derelict spaces in Seoul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29 projects built form 2016 to 2019 were analyzed. The research analyzed landscape...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visual improvement of “72 Hour Project” that has regenerated small scale derelict spaces in Seoul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29 projects built form 2016 to 2019 were analyzed. The research analyzed landscape image preference of before and after status of projects using 12 pairs of landscape adjectives.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Si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s compared with the before-condition was 3.63 higher than 3.00,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re was an meaningful effect of visual improvement after completion of the projects.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landscape adjective pairs were categorized into two factors: harmony and aesthetic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four clusters were formed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were identified. As the result of rhe cluster analysis, the cluster with the high harmony level and the aesthetics level showed the highest overall satisfaction level. Comparing each cluster,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factor of harmon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factor of aesthetics in evaluat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projects. Analyzing qualitative aspects of project groups, spatially well-balanced design with generous vegetation areas was more effective in landscape improvement than artistic design with visually strong installations. Further researches based on behavior studies of actual users are required to compensate the limits of this research.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to establish the improved direction of policies to regenerate various types of small scale derelict spa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소규모 유휴공간을 시민참여의 방식으로 재생하는 ”72시간 프로젝트“ 사업의 경관적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조성된 29개소의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12개의 경관형용사 쌍을 활용한 작품 조성 전․후의 경관 이미지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 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성 후의 만족도는 3.63으로 프로젝트의 결과, 경관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조화성과 심미성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네 가지 군집 별 작품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군집분석의 결과, 조화성과 심미성이 모두 높은 군집이 종합만족도 평균도 가장 높았다. 다른 군집의 특성을 비교할 때 만족도 평가 시 조화성이 심미성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작품군의 정성적인 특징을 분석한 결과, 식재 면적이 풍부하며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시설물 중심의 설계보다는 공간적으로 균형감이 있는 설계가 경관 개선 효과가 크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이용자 행태 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성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소규모 유휴공간 재생 사업의 발전적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소규모 유휴공간을 시민참여의 방식으로 재생하는 ”72시간 프로젝트“ 사업의 경관적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조성된 29개소의 작품을 연구의 ...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소규모 유휴공간을 시민참여의 방식으로 재생하는 ”72시간 프로젝트“ 사업의 경관적 개선 효과를 분석하였다.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조성된 29개소의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12개의 경관형용사 쌍을 활용한 작품 조성 전․후의 경관 이미지 선호도를 분석하였으며,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 통계량 분석, 상관관계 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성 후의 만족도는 3.63으로 프로젝트의 결과, 경관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조화성과 심미성이라는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네 가지 군집 별 작품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군집분석의 결과, 조화성과 심미성이 모두 높은 군집이 종합만족도 평균도 가장 높았다. 다른 군집의 특성을 비교할 때 만족도 평가 시 조화성이 심미성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작품군의 정성적인 특징을 분석한 결과, 식재 면적이 풍부하며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시설물 중심의 설계보다는 공간적으로 균형감이 있는 설계가 경관 개선 효과가 크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이용자 행태 연구를 통해 보완될 필요성이 있으며, 향후 다양한 소규모 유휴공간 재생 사업의 발전적 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현진, "재생사업지구 내 공가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일시적 활용‘ 및 ’전술적 도시론‘의 사례 고찰을 통해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347-366, 2013

      2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03-112, 2011

      3 여화선, "도심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87-96, 2012

      4 김지은,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리노베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705-714, 2014

      5 송대호,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43-250, 2006

      6 서주환,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32 (32): 57-68, 2004

      7 변재상,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20, 2006

      8 주신하, "국토계획 l 49경관형용사를 이용한 도시하천 경관특성 분석 - 청계천과 양재천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49-63, 2012

      9 주소희, "국내 일시적 조경 사업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72시간 도시 생생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0 허주연, "관계미학을 중심으로 본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127-138, 2016

      1 안현진, "재생사업지구 내 공가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일시적 활용‘ 및 ’전술적 도시론‘의 사례 고찰을 통해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347-366, 2013

      2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03-112, 2011

      3 여화선, "도심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87-96, 2012

      4 김지은,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리노베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705-714, 2014

      5 송대호,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43-250, 2006

      6 서주환,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32 (32): 57-68, 2004

      7 변재상,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20, 2006

      8 주신하, "국토계획 l 49경관형용사를 이용한 도시하천 경관특성 분석 - 청계천과 양재천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49-63, 2012

      9 주소희, "국내 일시적 조경 사업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72시간 도시 생생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0 허주연, "관계미학을 중심으로 본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127-138, 2016

      11 Tallon, A.,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Routledge 2016

      12 Lee, J., "Tactical Utilization System of Vacant Urban Space" AURI 2016

      13 Lydon, M., "TACTICAL URBANISM (short-term action for long-term change)" Island Press 2015

      14 Son, D., "Street Revitalization Basedon Tactical Urbanism" AURI 2017

      15 Lim, Y., "Neighborhood Regeneration Policy Proposal on the Revitalization and Reclamation of Vacant Urban Spaces" AURI 2012

      16 Cho, W.,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eference and visitors’ satisfaction in Bukhansan Dulegil" 4 (4): 1-11, 2013

      17 Jeong, S., "A study on the platform feature of space appearing in complex cultural space –Focusedon cases using idle facilities" 29 (29): 73-83, 2020

      18 Joo, S.,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for the Urban Landscape Analysis : Focused on the GwaCheon and Yaksoo District A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19 Lee, S., "A Handbook for Uban Public Spaces in Daily Life" AURI 2011

      20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Revive remnant space!" SMG 2014

      21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Joyful sahde with flaming ideas!" SMG 2015

      22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From Empty Space to Sympathetic Space with Flaming Ideas!" SMG 2017

      23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Energetic resting place with flaming ideas!" SMG 2016

      24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with SMG" SMG 2018

      25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SMG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