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안현진, "재생사업지구 내 공가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일시적 활용‘ 및 ’전술적 도시론‘의 사례 고찰을 통해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347-366, 2013
2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03-112, 2011
3 여화선, "도심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87-96, 2012
4 김지은,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리노베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705-714, 2014
5 송대호,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43-250, 2006
6 서주환,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32 (32): 57-68, 2004
7 변재상,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20, 2006
8 주신하, "국토계획 l 49경관형용사를 이용한 도시하천 경관특성 분석 - 청계천과 양재천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49-63, 2012
9 주소희, "국내 일시적 조경 사업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72시간 도시 생생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0 허주연, "관계미학을 중심으로 본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127-138, 2016
1 안현진, "재생사업지구 내 공가 및 공터 활용을 통한 유연적인 도시재생 방안 연구 - '일시적 활용‘ 및 ’전술적 도시론‘의 사례 고찰을 통해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8 (48): 347-366, 2013
2 김현주,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7 (27): 103-112, 2011
3 여화선, "도심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 - 신사동 가로수길을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2 (12): 87-96, 2012
4 김지은,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 산업시설의 리노베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4 (14): 705-714, 2014
5 송대호, "도시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243-250, 2006
6 서주환,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 32 (32): 57-68, 2004
7 변재상,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7-20, 2006
8 주신하, "국토계획 l 49경관형용사를 이용한 도시하천 경관특성 분석 - 청계천과 양재천을 중심으로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7 (47): 49-63, 2012
9 주소희, "국내 일시적 조경 사업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 '72시간 도시 생생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4
10 허주연, "관계미학을 중심으로 본 유휴공간의 예술적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5 (25): 127-138, 2016
11 Tallon, A., "Urban Regeneration in the UK" Routledge 2016
12 Lee, J., "Tactical Utilization System of Vacant Urban Space" AURI 2016
13 Lydon, M., "TACTICAL URBANISM (short-term action for long-term change)" Island Press 2015
14 Son, D., "Street Revitalization Basedon Tactical Urbanism" AURI 2017
15 Lim, Y., "Neighborhood Regeneration Policy Proposal on the Revitalization and Reclamation of Vacant Urban Spaces" AURI 2012
16 Cho, W.,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preference and visitors’ satisfaction in Bukhansan Dulegil" 4 (4): 1-11, 2013
17 Jeong, S., "A study on the platform feature of space appearing in complex cultural space –Focusedon cases using idle facilities" 29 (29): 73-83, 2020
18 Joo, S.,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for the Urban Landscape Analysis : Focused on the GwaCheon and Yaksoo District A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3
19 Lee, S., "A Handbook for Uban Public Spaces in Daily Life" AURI 2011
20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Revive remnant space!" SMG 2014
21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Joyful sahde with flaming ideas!" SMG 2015
22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From Empty Space to Sympathetic Space with Flaming Ideas!" SMG 2017
23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Energetic resting place with flaming ideas!" SMG 2016
24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with SMG" SMG 2018
25 SMG, "72 Hours Urban Saeng Saeng Project" SMG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