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사상을 검토하여 유가 미학의 자질들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논어』의 주요 개념인 정명(正名), 인과 예, 중(中)과 화(和), 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사상을 검토하여 유가 미학의 자질들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논어』의 주요 개념인 정명(正名), 인과 예, 중(中)과 화(和), 견...
이 논문은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사상을 검토하여 유가 미학의 자질들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논어』의 주요 개념인 정명(正名), 인과 예, 중(中)과 화(和), 견(瑞)과 광(狂)의 성격을 살피고 공자 미학의 기초가 된 사상적 특질들을 확인하였다. 공자는 시·예·악에 대한 견해를 밝히는 자리에서 각각의 영역의 특징을 규명하고 예술의 최종 목표는 자유로운 심미 정감의 경계임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유가미학은 현실에 밀착한 윤리 미학이며 유가의 궁극적 이상은 자유로운 심미적 정감 세계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논어』에 나타난 천관(天觀)을 통해 훗날 유가들의 의식세계를 지배하는 사회적 사명감과 숙명적 역사 인식의 근원을 살필 수 있었고, 자연에 대한 언급을 통해서는 자연을 인간의 정신 품격과 연관시키는 전통적인 유가의 자연관의 뿌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fucian-Aesthetics by examining Confucian Thought. A study examines the principal concept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perfect virtue & ceremony, reforming-name, moderation & harmony, stubbor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Confucian-Aesthetics by examining Confucian Thought. A study examines the principal concept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perfect virtue & ceremony, reforming-name, moderation & harmony, stubborness & daring, and ascertains thought-feature of Confucian Aestheticsc. Confucius searched a view of poetryㆍceremonyㆍmusic and emphasis that the end of Art is aesthetic feelings. A Confucian aesthetics is moral aesthetics and the end idea of Confucian is free con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