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退溪의 太極論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08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退溪의 太極觀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橫渠는 虛를
      지극히 善하다고 하고 하였다. 橫渠는 太虛가 인간에게 응하면 神이니
      이 神을 보존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여겼다. 濂溪의 ‘無極而太極’은 動靜
      으로 陰陽을 낳는다. 橫渠와 濂溪가 말하는 太虛와 太極은 天이 인간을
      낳는 시원성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다.
      周濂溪의 動靜論에 朱子는 動靜하게 하는 ‘所以’가 理임을 부가적으로
      설명했다. 朱子는 太極과 陰陽을 形而上과 形而下로 나눈다. 朱子가 만들어 놓은 理氣의 존재론에서 太極은 그 이전의 누렸던 종교적 시원성의
      권위가 상당부분 손상되었다.
      退溪는 太極과 理의 차원에도 體用이 있다고 한다. 退溪의 太極은 합
      리적 理法性을 뛰어 넘어 스스로의 작용을 인정한다. 그리고 太極을 率
      性이라고 말한다. 朱子가 一陰一陽의 道로 이법화 시킨 太極을 退溪는
      天이 命한 性을 따르는 太極으로 자리매김하였다. 天이 부여한 내 삶을
      다 사는 것이 초월성과 신성을 만나는 길이라고 믿는 退溪의 종교성을
      알 수 있다. 또한 退溪는 無極而太極을 ‘지극한 有와 지극한 實이 존재’
      한다고 해석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退溪의 太極觀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橫渠는 虛를 지극히 善하다고 하고 하였다. 橫渠는 太虛가 인간에게 응하면 神이니 이 神을 보존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여겼다. 濂...

      본 논문의 목적은 退溪의 太極觀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橫渠는 虛를
      지극히 善하다고 하고 하였다. 橫渠는 太虛가 인간에게 응하면 神이니
      이 神을 보존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여겼다. 濂溪의 ‘無極而太極’은 動靜
      으로 陰陽을 낳는다. 橫渠와 濂溪가 말하는 太虛와 太極은 天이 인간을
      낳는 시원성을 강조하여 말하고 있다.
      周濂溪의 動靜論에 朱子는 動靜하게 하는 ‘所以’가 理임을 부가적으로
      설명했다. 朱子는 太極과 陰陽을 形而上과 形而下로 나눈다. 朱子가 만들어 놓은 理氣의 존재론에서 太極은 그 이전의 누렸던 종교적 시원성의
      권위가 상당부분 손상되었다.
      退溪는 太極과 理의 차원에도 體用이 있다고 한다. 退溪의 太極은 합
      리적 理法性을 뛰어 넘어 스스로의 작용을 인정한다. 그리고 太極을 率
      性이라고 말한다. 朱子가 一陰一陽의 道로 이법화 시킨 太極을 退溪는
      天이 命한 性을 따르는 太極으로 자리매김하였다. 天이 부여한 내 삶을
      다 사는 것이 초월성과 신성을 만나는 길이라고 믿는 退溪의 종교성을
      알 수 있다. 또한 退溪는 無極而太極을 ‘지극한 有와 지극한 實이 존재’
      한다고 해석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論
      • Ⅱ. 太極論
      • 1. 一陰一陽의 太極
      • 2. 率性之道의 太極
      • 3. 太極과 天命의 관계
      • Ⅰ. 緖論
      • Ⅱ. 太極論
      • 1. 一陰一陽의 太極
      • 2. 率性之道의 太極
      • 3. 太極과 天命의 관계
      • Ⅲ. 無極而太極論
      • 1. 極에 대한 해석
      • 2. 실존하는 無極而太極
      • 3. 無極而太極과 天命
      • Ⅳ. 結論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광호, "林隱 程復心과 退溪 李滉의 太極說 비교 연구" 퇴계학연구원 (134) : 5-43, 2013

      2 "列子"

      3 "呂氏春秋"

      4 "論語"

      5 주희, "태극해의" 소명출판 2009

      6 윤해동, "종교와 식민지 근대" 책과함께 2013

      7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8 조성환, "바깥에서 보는 퇴계의 하늘섬김사상" 영남퇴계학연구원 (10) : 307-333, 2012

      9 김형찬, "내성외왕을 위한 두 가지 길 - 퇴계철학에서의 리와 상제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소 (34) : 3-28, 2007

      10 "通書"

      1 주광호, "林隱 程復心과 退溪 李滉의 太極說 비교 연구" 퇴계학연구원 (134) : 5-43, 2013

      2 "列子"

      3 "呂氏春秋"

      4 "論語"

      5 주희, "태극해의" 소명출판 2009

      6 윤해동, "종교와 식민지 근대" 책과함께 2013

      7 염정삼, "설문해자주 부수자 역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0

      8 조성환, "바깥에서 보는 퇴계의 하늘섬김사상" 영남퇴계학연구원 (10) : 307-333, 2012

      9 김형찬, "내성외왕을 위한 두 가지 길 - 퇴계철학에서의 리와 상제를 중심으로 -" 철학연구소 (34) : 3-28, 2007

      10 "通書"

      11 윤사순, "退溪의 太極生兩儀觀" 퇴계학연구원 28 : 1980

      12 황상희, "退溪의 天觀 硏究" 동양고전학회 (56) : 147-170, 2014

      13 "退溪全書"

      14 許愼, "說文解字" 鳳凰出版社 2007

      15 "詩經"

      16 이황, "聖學十圖" 홍익출판사 2004

      17 "正蒙"

      18 "朱子語類"

      19 정상봉, "朱子形而上學의 深層構造― 太極에 대한 理解 ―" 한국철학사연구회 (33) : 255-278, 2012

      20 "朱子大全"

      21 李泰鎭, "朝鮮王朝의 儒敎政治와 王權"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3 : 1990

      22 "性理大全"

      23 "張載集"

      24 "孟子"

      25 "太極圖說"

      26 "周易"

      27 "二程遺書"

      28 황준연, "(역주)사단칠정" 학고방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0.93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