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방언 격조사의 담화 기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434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t with the grammar and discourse functions of nominative, locative, directive and dative case markers in the Jeju Dialect. The four nominative case markers -i ,-ga, -iseo and -eseo in the Jeju dialect have the grammatical function similar to those of standard Korean and the latter two of them indicate the meaning of group. The discourse meaning of the four markers is to emphasize, confirm and conclude the meaning of a noun phrase preceding those markers. The one locative marker -e shows the discourse meaning concretizing, confirming, stressing a thing or a place in which an act of the predicate occurs. The discourse meaning of the other locative marker -di includes confirmation, designation and emphasis in addition to its grammatical meaning of place. The directive case marker -eorae whose grammatical meaning is location and direction signifies the discourse meaning of confirmation, conclusion, designation and emphasis and its function is to specifically determine the scope of agent's action. There are four dative case markers -sindi, -sinderae, -anti and -antirae in the Jeju dialect and their discourse meaning includes confirmation, conclusion, designation and emphasis.
      번역하기

      This paper dealt with the grammar and discourse functions of nominative, locative, directive and dative case markers in the Jeju Dialect. The four nominative case markers -i ,-ga, -iseo and -eseo in the Jeju dialect have the grammatical function simil...

      This paper dealt with the grammar and discourse functions of nominative, locative, directive and dative case markers in the Jeju Dialect. The four nominative case markers -i ,-ga, -iseo and -eseo in the Jeju dialect have the grammatical function similar to those of standard Korean and the latter two of them indicate the meaning of group. The discourse meaning of the four markers is to emphasize, confirm and conclude the meaning of a noun phrase preceding those markers. The one locative marker -e shows the discourse meaning concretizing, confirming, stressing a thing or a place in which an act of the predicate occurs. The discourse meaning of the other locative marker -di includes confirmation, designation and emphasis in addition to its grammatical meaning of place. The directive case marker -eorae whose grammatical meaning is location and direction signifies the discourse meaning of confirmation, conclusion, designation and emphasis and its function is to specifically determine the scope of agent's action. There are four dative case markers -sindi, -sinderae, -anti and -antirae in the Jeju dialect and their discourse meaning includes confirmation, conclusion, designation and empha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제주방언 격조사의 담화 기능
      • 2.1 주격조사
      • 2.2 처격조사
      • Abstract
      • 1. 서론
      • 2. 제주방언 격조사의 담화 기능
      • 2.1 주격조사
      • 2.2 처격조사
      • 2.3 방향격조사
      • 2.4 여격조사
      • 3. 결론
      • 참고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익환, "화용론" 한신문화사 1992

      2 김민국,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 국어학회 (78) : 165-219, 2016

      3 문순덕, "제주방언문법 연구" 세림 2003

      4 고동호, "제주방언 연구의 어제와 내일" 제주발전연구원 2014

      5 문순덕, "제주방언 담화표지 ‘계메’ 연구" 한국언어연구학회 17 (17): 27-42, 2012

      6 이숭녕, "제주도 방언의 형태론적 고찰" 탑출판사 1978

      7 김지홍,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경진출판 2014

      8 강정희, "제주 방언 연구" 한남대출판부 1988

      9 우창현, "제주 방언 격조사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격조사 의미 해석 방법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70) : 29-50, 2016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78

      1 이익환, "화용론" 한신문화사 1992

      2 김민국, "한국어의 격조사와 초점 - 주격과 대격을 중심으로 -" 국어학회 (78) : 165-219, 2016

      3 문순덕, "제주방언문법 연구" 세림 2003

      4 고동호, "제주방언 연구의 어제와 내일" 제주발전연구원 2014

      5 문순덕, "제주방언 담화표지 ‘계메’ 연구" 한국언어연구학회 17 (17): 27-42, 2012

      6 이숭녕, "제주도 방언의 형태론적 고찰" 탑출판사 1978

      7 김지홍,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경진출판 2014

      8 강정희, "제주 방언 연구" 한남대출판부 1988

      9 우창현, "제주 방언 격조사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격조사 의미 해석 방법을 중심으로 -" 국제어문학회 (70) : 29-50, 2016

      10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78

      11 양창용, "언어교육에서 담화의 역할" 6 : 151-168, 2001

      12 Fraser, B., "What are Discourse Markers?" 31 : 931-952, 1999

      13 Brinton, L. J., "Pragmatic Markers in English Grammaticalization and Discourse Functions. Topics in English Linguistics" Mouton de Gruyter 1996

      14 Jucker, A., "Discourse Markers : Descriptions and Theory" John Benjamins Publishing Co 1998

      15 Fraser, B., "An Approach to Discourse Markers" 14 (14): 383-398, 1990

      16 양창용, "A Discourse Marker keymey in the Language of Jeju: Its pragmatically-controlled functions and use" 한국언어연구학회 21 (21): 149-164,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5-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제주국제언어학회 -> 한국언어연구학회
      영문명 :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Society of Jeju -> The Korean Association of Language Studies
      2008-04-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제주언어학회 -> 제주국제언어학회
      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Cheju -> The International Linguistics Society of Jeju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39 0.788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