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미시적인 수준에서 유권자 개인들의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회고적 평가가 유권자들의 투표선택과 집권정당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부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9434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시적인 수준에서 유권자 개인들의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회고적 평가가 유권자들의 투표선택과 집권정당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부의 ...
본 연구는 미시적인 수준에서 유권자 개인들의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회고적 평가가 유권자들의 투표선택과 집권정당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해서 좋은 평가를 한 유권자가 좋지 못한 평가를 한 유권자 보다 집권정당 후보에 투표할 확률이 더 높을 것이라고 본 연구는 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이러한 복지정책 평가의 투표선택에 대한 영향력은 다른 투표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인 출신지역, 정당일체감, 이념, 소득, 연령 등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유의미하게 나올 것인지를 검증한다.
이를 분석하기 본 연구는 2016년 4월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와 한국선거학회가 공동으로 조사한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 관련 유권자 정치의식조사 데이터를 사용한다. 이와 더불어 추가적으로 2018년 6월 실시예정인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동일한 질문을 포함한 설문조사를 한 번 더 실시하여 제시된 연구가설을 검증하려고 한다.
이에 덧붙여 본 연구는 개인의 복지정책 평가와 투표선택의 상관관계가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정치적 이념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가정하고 검증을 한다. 특히 이념적 성향, 소득 수준, 연령 등이 개인 수준에서의 회고적복지투표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정부의 복지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인의 투표선택의 상관관계는 유권자 개인이 정부의 복지정책이나 복지지출을 얼마만큼 중요하게 생각하는가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한다. 통계적 분석방법으로는 다항명목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며, 이념, 소득, 연령이 개인수준의 복지투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조건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념, 소득, 연령 변수들과 개인의 정부 복지정책에 대한 평가 변수를 결합한 결합변수(interaction variables)를 모델에 포함하여 모델을 검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