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진달래’ 이미지의 변화와 그 의미: 북한 시에 나타난 ‘진달래’를 중심으로 = The Changing Image of Azalea in Literary Works and Its Implic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74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zalea provides a raw material for literary works with significant implications to Korea’s modern day literature. While the image of azalea in modern poetry would begin with the <Azalea> by Kim So-wol, azalea had already been used as a raw material for classical poetry such as poetry written in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Korean verse, Sijo, with its unique meaning. Thus, analyzing the image represented by azalea is meaningful in terms of 1) its continued use as a traditional raw material for Korean poetry and 2) the changing image it represents. This paper examined how the image of azalea has been established and how it is used as a raw material in North Korean poetry.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image of azalea as a literary raw material in North Korean poetry displays a notable difference from South Korean poetry in terms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contexts. It was found that azalea in North Korean poetry is not a means for poetic depiction of myths or for the expression of the sorrow of separation. Rather, as a flower that heralds the emergent spring, it represents the image of a messenger and serves as a symbol of North Korea’s “military-first” politics. The literary raw material provided by azalea has turned into a political symbol and historical anecdote in the context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change would constitute another dimension that reveals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Nevertheless, this kind of revelation is also necessary, as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contrasting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requires not only identifying homogeneity but also shedding light on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m.
      번역하기

      Azalea provides a raw material for literary works with significant implications to Korea’s modern day literature. While the image of azalea in modern poetry would begin with the <Azalea> by Kim So-wol, azalea had already been used as a raw mat...

      Azalea provides a raw material for literary works with significant implications to Korea’s modern day literature. While the image of azalea in modern poetry would begin with the <Azalea> by Kim So-wol, azalea had already been used as a raw material for classical poetry such as poetry written in the Chinese language and the Korean verse, Sijo, with its unique meaning. Thus, analyzing the image represented by azalea is meaningful in terms of 1) its continued use as a traditional raw material for Korean poetry and 2) the changing image it represents. This paper examined how the image of azalea has been established and how it is used as a raw material in North Korean poetry.
      This paper confirms that the image of azalea as a literary raw material in North Korean poetry displays a notable difference from South Korean poetry in terms of political and ideological contexts. It was found that azalea in North Korean poetry is not a means for poetic depiction of myths or for the expression of the sorrow of separation. Rather, as a flower that heralds the emergent spring, it represents the image of a messenger and serves as a symbol of North Korea’s “military-first” politics. The literary raw material provided by azalea has turned into a political symbol and historical anecdote in the context of North Korean literature. This change would constitute another dimension that reveals the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Nevertheless, this kind of revelation is also necessary, as the process of comparing and contrasting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requires not only identifying homogeneity but also shedding light on the heterogeneity between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진달래는 우리 현대 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문학적 소재이다. 현대시의 진달래 이미지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에서 시작될 것이지만, 한시와 시조 등의 고전시가에서부터 이미 나름의 의미를 가진 소재로서 존재하였다. 때문에 진달래꽃의 이미지 분석은 우리 시의 지속되는 소재적 전통과 이미지의 변화라는 두 가지 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은 진달래꽃이 북한 시에서는 어떻게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소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을 통해, 시적 소재로서의 진달래 이미지가 정치적, 사상적 여건에 따라 남한의 시 문학과는 판이하게 다름을 확인하였다. 북한 시에 나타난 진달래는 전설의 시적 재현이나 이별의 슬픔을 드러내는 소재가 아니었다. 제일 먼저 봄을 알리는 선구자적인 꽃으로서, 또 선군정치의 상징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진달래라는 문학적 소재는 북한문학 속에서 정치적 상징과 역사적 일화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남북 문학의 이질성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국면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질성 드러내기 또한 필요하다. 남북 문학을 나란히 대조하고 비교하는 작업에는 동질성을 찾는 것은 물론 이질성의 양상을 드러내는 것 역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번역하기

      진달래는 우리 현대 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문학적 소재이다. 현대시의 진달래 이미지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에서 시작될 것이지만, 한시와 시조 등의 고전시가에서부터 ...

      진달래는 우리 현대 문학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문학적 소재이다. 현대시의 진달래 이미지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에서 시작될 것이지만, 한시와 시조 등의 고전시가에서부터 이미 나름의 의미를 가진 소재로서 존재하였다. 때문에 진달래꽃의 이미지 분석은 우리 시의 지속되는 소재적 전통과 이미지의 변화라는 두 가지 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 논문은 진달래꽃이 북한 시에서는 어떻게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소재적으로 활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논문을 통해, 시적 소재로서의 진달래 이미지가 정치적, 사상적 여건에 따라 남한의 시 문학과는 판이하게 다름을 확인하였다. 북한 시에 나타난 진달래는 전설의 시적 재현이나 이별의 슬픔을 드러내는 소재가 아니었다. 제일 먼저 봄을 알리는 선구자적인 꽃으로서, 또 선군정치의 상징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진달래라는 문학적 소재는 북한문학 속에서 정치적 상징과 역사적 일화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화는 남북 문학의 이질성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국면일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질성 드러내기 또한 필요하다. 남북 문학을 나란히 대조하고 비교하는 작업에는 동질성을 찾는 것은 물론 이질성의 양상을 드러내는 것 역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철령의 철쭉이 전하는 이야기(금수강산)" 오늘의 조국사 2006

      2 강승제, "철령의 철쭉아(청년문학)" 문학예술출판사 2005

      3 장용환, "철령의 진달래야" 아동문학 2001

      4 리국석, "철령의 진달래야" 청년문학 2004

      5 리옥순, "철령의 진달래" 천리마 1998

      6 류광치, "철령의 어머니(조선녀성)" 근로단체출판사 2005

      7 "진달래의 유래(문화어 학습)" 과학백과사전 2003

      8 언어문학연구소 문학 연구실, "조선문학통사(하)" 과학원출판사 1959

      9 문예출판사, "조국의 진달래" 문예출판사 1980

      10 김설희, "어머님과 진달래" 청년문학 2004

      1 "철령의 철쭉이 전하는 이야기(금수강산)" 오늘의 조국사 2006

      2 강승제, "철령의 철쭉아(청년문학)" 문학예술출판사 2005

      3 장용환, "철령의 진달래야" 아동문학 2001

      4 리국석, "철령의 진달래야" 청년문학 2004

      5 리옥순, "철령의 진달래" 천리마 1998

      6 류광치, "철령의 어머니(조선녀성)" 근로단체출판사 2005

      7 "진달래의 유래(문화어 학습)" 과학백과사전 2003

      8 언어문학연구소 문학 연구실, "조선문학통사(하)" 과학원출판사 1959

      9 문예출판사, "조국의 진달래" 문예출판사 1980

      10 김설희, "어머님과 진달래" 청년문학 2004

      11 류 만, "소월과 그의 시에 부치는 말 몇 마디(실천문학)" 실천문학사 2005

      12 심상호, "선군의 상징인 철령에 대한 시적 형상(문화어 학습)"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5

      13 안향진, "선군민족진달래로 붉게 피리라(문화어 학습)"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3

      14 "박팔양 시선집"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2

      15 "바우와 진달래" 아동문학 2004

      16 김영황, "민족문화와 언어"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6

      17 엄호석, "김소월론" 조선작가동맹출판사 1958

      18 송은미, "고향의 진달래:고향을 장문한 비전향장기수를 대신하여" 청년문학 2001

      19 리호근, "겨울진달래:비전향장기수 실화서사시집(1)" 평양출판사 2002

      20 "Industry White paper, Rock-Tenn, Norcross Ga, p.5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