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문화 교육 현황과 개선 방안 = Toward Korean teachers equipped with intercultural compet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37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teach culture for Korean teachers to enha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odel(Byram, 1997) and following research, the cor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defined as critical cultural awarenes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t teacher should take a role of intercultural speaker who could transfer information and build a relation with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discover the method to develop such compet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assessment for teacher of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eacher as well as Korean teachers a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eaching skills should be added to the current intercultural communicative model of Byram(1997) in order to train Korean teachers. The syllabus and sample teaching material is also provided and problem-based teaching methodology is recommended for this cours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pare Korean teachers dealing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ve problems and teach culture effectivel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teach culture for Korean teachers to enha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odel(Byram, 1997) and following research, the core of intercul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teach culture for Korean teachers to enha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ased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odel(Byram, 1997) and following research, the cor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defined as critical cultural awareness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t teacher should take a role of intercultural speaker who could transfer information and build a relation with students from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discover the method to develop such competence,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assessment for teacher of Japanese, Chinese and English teacher as well as Korean teachers are analyzed.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eaching skills should be added to the current intercultural communicative model of Byram(1997) in order to train Korean teachers. The syllabus and sample teaching material is also provided and problem-based teaching methodology is recommended for this cours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pare Korean teachers dealing with intercultural communicative problems and teach culture eff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모델과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에게 요구되는 상호문화 능력의 정의와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외국어로서 일본어, 중국어, 영어 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 능력과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양성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상호문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능력을 ‘교육 기술’임을 도출하고, 이를 교육하는 방법으로 자문화를 낯설게 보는 연습과 타문화를 해석하고 수용하는 태도, 그리고 문화 간 차이로 인한 문제 상황에 대한 사례 연구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한국 문화 교육 방법은 다양한 문화의 접경선에서 일하는 한국어 교사들의 상호문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문화 능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모델과 구성 요소에 대한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사의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위한 한국 문화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모델과 구성 요소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교사에게 요구되는 상호문화 능력의 정의와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 외국어로서 일본어, 중국어, 영어 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 능력과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사 양성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상호문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능력을 ‘교육 기술’임을 도출하고, 이를 교육하는 방법으로 자문화를 낯설게 보는 연습과 타문화를 해석하고 수용하는 태도, 그리고 문화 간 차이로 인한 문제 상황에 대한 사례 연구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한국 문화 교육 방법은 다양한 문화의 접경선에서 일하는 한국어 교사들의 상호문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문화 능력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한국문학언어학회 (45) : 389-432, 2006

      2 이정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4) : 121-156, 2016

      3 박선옥, "한국어 교원에 대한 한국문화 능력 평가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30) : 61-85, 2011

      4 김정숙,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변천과 그 개선 방안" 국립국어원 21 (21): 2011

      5 민현식, "한국어 교원 자격 인증 제도 시행 방안 개발 최종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재단 2001

      6 원미진,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85-105, 2009

      7 홍현정,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분석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64) : 469-496, 2015

      8 이승연, "한국어 교사 문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국내 대학 부설기관의 경력 교사 대상 초점집단면접을 기반으로 -" 우리어문학회 (55) : 487-522, 2016

      9 양민애,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이문화(異文化)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중언어학회 (38) : 235-262, 2008

      10 강승혜,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38, 2012

      1 권오경, "한국어교육에서의 한국문화교육의 방향" 한국문학언어학회 (45) : 389-432, 2006

      2 이정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환경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 Byram(1997)의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4) : 121-156, 2016

      3 박선옥, "한국어 교원에 대한 한국문화 능력 평가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소 (30) : 61-85, 2011

      4 김정숙, "한국어 교원 자격 제도의 변천과 그 개선 방안" 국립국어원 21 (21): 2011

      5 민현식, "한국어 교원 자격 인증 제도 시행 방안 개발 최종 보고서" 한국어세계화재단 2001

      6 원미진, "한국어 교사의 이문화간 소통능력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 (20): 85-105, 2009

      7 홍현정,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과정에 대한 일 고찰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문화 영역 분석을 중심으로 -" 동악어문학회 (64) : 469-496, 2015

      8 이승연, "한국어 교사 문화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국내 대학 부설기관의 경력 교사 대상 초점집단면접을 기반으로 -" 우리어문학회 (55) : 487-522, 2016

      9 양민애, "한국어 교사 교육에서의 이문화(異文化)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이중언어학회 (38) : 235-262, 2008

      10 강승혜, "한국문화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주제와 방법론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9 (9): 1-38, 2012

      11 김해옥, "한국 문화 교육 관련 교재 개발 황과 과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12

      12 이승연, "한국 문화 교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이중언어학회 (52) : 347-369, 2013

      13 Hall, E., "침묵의 언어" 한길사 2013

      14 하혜민, "일본어중등교원임용고사와 일본어교육능력검정시험 연구 분석: 교수법출제문항을 중심으로" 한일일어일문학회 11 : 159-167, 2007

      15 송향근,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대한 한국어교사의 인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8 (28): 113-139, 2017

      16 유수연, "언어, 문화, 상호문화 의사소통" 한국문화사 2008

      17 이성희, "‘화성인류학자’를 활용한 예비 한국어 교사의상호 문화 능력 교육 방안 -‘정의적 능력’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10 (10): 225-246, 2013

      18 Kramsch, C., "Why should language teachers teach culture? Language" 9 (9): 99-107, 1996

      19 Byram, M,, "Twenty-five years on – from cultural studies to intercultural citizenship" 27 (27): 209-225, 2014

      20 Deardorff, D. K.,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Sage Publications 2009

      21 Byram, M, "Teaching and assess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Multilingual matters 1997

      22 서영지, "Michael Byram의 ‘문화적 전환’에 관한 연구: 사회문화능력에서 상호문화의사소통능력으로" 한국프랑스문화학회 36 (36): 149-172, 2018

      23 Lazaraton, A., "Incidental Displays of Cultural Knowledge in the Nonnative-English-Speaking Teacher's Classroom" 37 (37): 213-245, 2003

      24 Sercu, L., "Foreign Language Teacher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 An Investigation in 7 Countries of Foreign Language Teachers'Views and Teaching Practices" Multilingual Matters 2005

      25 Byram, M, "Developing the intercultural dimension in language teaching" Council of Europe 2002

      26 Hofstede, G.,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McGraw-Hill 1991

      27 Liu, J., "Confession of a non-native English-speaking professional" 13 : 53-67, 2001

      28 김중섭, "CIS 지역 재외동포 대상 한국 문화 교육 항목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연구" 이중언어학회 (45) : 51-7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1 0.97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