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파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기호학적 분석을 통한 의미 연구 -Greimas의 구조주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 A Study on Brand Identity of Apartment through Semiotical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panies grant specific values on their products through branding, and Brand Identities are symbols that visualize those values. The values are come from consumers who want to possess the values, also from companies trying to send them to consumers as messages. Especially High-Involvement-products, highly expensive and influential to the customer, show strong tendency of reflecting the brands' characters on the buyers. So, analysing Brand Identities of Apartment houses, one of the High-Involvement-products, can be interpreted as analysing the meaning of 'Apartment houses to Koreans'.
      Nowadays in Korea, where the value of house is special, competition between Brand of Apartment houses is unprecedentedly fierce. In western society, Apartment houses have negative meanings of crime-ridden district of lower classes. Also in Asian society except Korea, Apartment houses are for rent, not for possess. Even in Korea itself, people dislike living in Apartment houses before 1970s. Why do Koreans are enthusiastic about Apartment houses? What is the meaning of Apartment houses to Koreans now? Using the method of Greimas' Semiotic rectangles, I analyzed each Apartment brands' meaning structure, and visualized meaning of Apartment houses to Koreans now. As a result, the values of past-toward and future-headed habitation are coexisted between Apartment brands now. That reflects relatively short history of the Apartment brands and hybrid trend of modern Korean society.
      번역하기

      Companies grant specific values on their products through branding, and Brand Identities are symbols that visualize those values. The values are come from consumers who want to possess the values, also from companies trying to send them to consumers a...

      Companies grant specific values on their products through branding, and Brand Identities are symbols that visualize those values. The values are come from consumers who want to possess the values, also from companies trying to send them to consumers as messages. Especially High-Involvement-products, highly expensive and influential to the customer, show strong tendency of reflecting the brands' characters on the buyers. So, analysing Brand Identities of Apartment houses, one of the High-Involvement-products, can be interpreted as analysing the meaning of 'Apartment houses to Koreans'.
      Nowadays in Korea, where the value of house is special, competition between Brand of Apartment houses is unprecedentedly fierce. In western society, Apartment houses have negative meanings of crime-ridden district of lower classes. Also in Asian society except Korea, Apartment houses are for rent, not for possess. Even in Korea itself, people dislike living in Apartment houses before 1970s. Why do Koreans are enthusiastic about Apartment houses? What is the meaning of Apartment houses to Koreans now? Using the method of Greimas' Semiotic rectangles, I analyzed each Apartment brands' meaning structure, and visualized meaning of Apartment houses to Koreans now. As a result, the values of past-toward and future-headed habitation are coexisted between Apartment brands now. That reflects relatively short history of the Apartment brands and hybrid trend of modern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은 상품에 브랜드를 통해 특정한 가치를 부여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그 가치를 이미지로 상징한 기호이다. 가치란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원하는 메시지이기도 하지만,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이기도 하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관여상품은 소비를 통한 브랜드의 자기 투영적 성격이 강하기에, 아파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분석은 현대사회에서 ‘아파트’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과 같다.
      집의 가치가 타 국가들에 비해 특별한 한국의 경우, 아파트 브랜드 간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서구에서 아파트는 도시의 문제를 일으키는 중하위층의 주거공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아시아 지역에서도 소유보다 임대의 개념이 강한 상황에서 현재 한국의 아파트 열풍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특수한 상황이다. 심지어 한국에서도 1960년대 말까지는 아파트보다 개인 주택을 선호하였다. 현재 아파트의 의미와 가치가 무엇이기에 한국인들은 아파트에 열광하고 있는지를 브랜드의 의미구조 분석을 통해 시각화해 보았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을 통해 각 아파트 브랜드의 의미구조를 분석하고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았을 때, 현재의 아파트 브랜드에는 ‘과거 지향적 주거 공간’ 과 ‘미래 지향적 주거 공간’ 의 의미가 혼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아파트 브랜드의 역사가 짧아 브랜드 발전 단계의 과도기적 상황인 것과 현 시대의 하이브리드적 성격과도 일맥상통한다.
      번역하기

      기업은 상품에 브랜드를 통해 특정한 가치를 부여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그 가치를 이미지로 상징한 기호이다. 가치란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원하는 메시지이기도 하지만, 소비자가 추...

      기업은 상품에 브랜드를 통해 특정한 가치를 부여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그 가치를 이미지로 상징한 기호이다. 가치란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원하는 메시지이기도 하지만, 소비자가 추구하는 가치이기도 하다. 특히 아파트와 같은 고관여상품은 소비를 통한 브랜드의 자기 투영적 성격이 강하기에, 아파트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분석은 현대사회에서 ‘아파트’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과 같다.
      집의 가치가 타 국가들에 비해 특별한 한국의 경우, 아파트 브랜드 간의 경쟁은 매우 치열하다. 서구에서 아파트는 도시의 문제를 일으키는 중하위층의 주거공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아시아 지역에서도 소유보다 임대의 개념이 강한 상황에서 현재 한국의 아파트 열풍은 전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특수한 상황이다. 심지어 한국에서도 1960년대 말까지는 아파트보다 개인 주택을 선호하였다. 현재 아파트의 의미와 가치가 무엇이기에 한국인들은 아파트에 열광하고 있는지를 브랜드의 의미구조 분석을 통해 시각화해 보았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을 통해 각 아파트 브랜드의 의미구조를 분석하고 전체적으로 종합해 보았을 때, 현재의 아파트 브랜드에는 ‘과거 지향적 주거 공간’ 과 ‘미래 지향적 주거 공간’ 의 의미가 혼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아파트 브랜드의 역사가 짧아 브랜드 발전 단계의 과도기적 상황인 것과 현 시대의 하이브리드적 성격과도 일맥상통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책들 2005

      2 김성도, "현대 기호학 강의" 민음사 1998

      3 전중옥, "트렌드 창출을 통한 삼성물산 래미안의 브랜드 마케팅전략" 한국마케팅학회 6 (6): 123-142, 2004

      4 데이비드 A.라우어, "조형의 원리" 예경 2004

      5 최길열, "이미지 리터러시:시각이미지 읽고 쓰기" 미담북스 2005

      6 최열, "아파트 브랜드의 변화에 관한 연구" 18 : 2005

      7 발레리 줄레조, "아파트 공화국" 후마니타스 2007

      8 김성도, "시각적 정체성의 기호학적 연구- 기업 로고의 구조와 의미 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1 (1): 101-145, 2004

      9 박여성, "브랜드 기호학의 체계이론적 정초" 한국기호학회 1 (1): 109-142, 2005

      10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1 김운찬, "현대 기호학과 문화 분석" 열린책들 2005

      2 김성도, "현대 기호학 강의" 민음사 1998

      3 전중옥, "트렌드 창출을 통한 삼성물산 래미안의 브랜드 마케팅전략" 한국마케팅학회 6 (6): 123-142, 2004

      4 데이비드 A.라우어, "조형의 원리" 예경 2004

      5 최길열, "이미지 리터러시:시각이미지 읽고 쓰기" 미담북스 2005

      6 최열, "아파트 브랜드의 변화에 관한 연구" 18 : 2005

      7 발레리 줄레조, "아파트 공화국" 후마니타스 2007

      8 김성도, "시각적 정체성의 기호학적 연구- 기업 로고의 구조와 의미 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1 (1): 101-145, 2004

      9 박여성, "브랜드 기호학의 체계이론적 정초" 한국기호학회 1 (1): 109-142, 2005

      10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4

      11 데이빗 크로우, "기호학으로 읽는 시각이미지" 안그라픽스 2005

      12 이지은, "그레마스의 기호학과 서술이론" 1999

      13 IRI연구소, "감성만족 컬러마케팅" 영진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