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柳夢寅(유몽인) 散文(산문)에 나타난 孤獨(고독)의 양상과 그 의미 = A Study on Ryu, Mong-in(柳夢寅(유몽인))`s prose -Focused on aspects and the meaning of lonel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70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유몽인의 산문에 나타난 孤獨의 내외적 요건과 그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지닌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이를 세밀하게 고찰하기 위해 고독의 조건으로서 己見, 西湖, 晩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각각 개인 적, 공간적, 시간적 조건에 부합하는 항목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유몽인의 고독은 내외적 요인 모두에 의해 유발된 것이었다. 이 중 특히 내적 조건으로서 스스로의 견해[己見]를 고수하려고 했던 태도를 지적할 수 있다. 이것은 남에게 고개를 숙이기보다 스스로의 견해를 고수하겠다는 태도인데, 스스로의 글에 대한 자부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고독의 공간적 조건으로서 서호를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정계나 은거지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던 서 호라는 공간의 지정학적 위치가 그에게 있어 판단을 지연하고 분명하게 스스로의 견해를 피력하지 못하게 만든 주요한 요소였다. 다 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그가 지키고자 하는 최소한의 線은 지키고자 하였는데, 감추면서 보여주는 寓意와 諷刺가 서 호라는 공간에서 부각되고 있는 것이 그가 견지한 태도의 발로라고 하겠다. 셋째, 고독의 시간적 조건으로 만년을 지적할 수 있다. 서호에서 보여주었던 태 도에서 선명하게 드러나듯이 만년의 유몽인 역시 선택의 기로에 서서 고민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金剛山 이후의 모습에서도 여전히 산견된다. 다만 결국 그는 스스로에게 떳떳하고자 했으며 그로 인해 그는 죽음을 맞이하였다. 따라서 그의 죽음은 그에게 갑자기 닥친 불운이기보다 그의 선택으로 인해 도출된 결과였던 것이다. 이로써 볼 때, 유몽인은 고독 속에서 浮動하며 살았지만 스스로의 삶에 대해 반성하고, 죽은 이후 자신의 모습에 책임지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결국 이것이 그의 명성을 일깨운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무수한 좌절을 겪으면서도 자신의 길을 가려고 했던 태도 역시 고독 속에서 외롭게 하루하루를 견뎌내는 현대인들에 게도 작지 않은 의미가 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유몽인의 산문에 나타난 孤獨의 내외적 요건과 그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지닌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이를 세밀하게 고찰하기 위해 고독의 조건으로서 己...

      본고는 유몽인의 산문에 나타난 孤獨의 내외적 요건과 그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지닌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이를 세밀하게 고찰하기 위해 고독의 조건으로서 己見, 西湖, 晩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각각 개인 적, 공간적, 시간적 조건에 부합하는 항목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첫째, 유몽인의 고독은 내외적 요인 모두에 의해 유발된 것이었다. 이 중 특히 내적 조건으로서 스스로의 견해[己見]를 고수하려고 했던 태도를 지적할 수 있다. 이것은 남에게 고개를 숙이기보다 스스로의 견해를 고수하겠다는 태도인데, 스스로의 글에 대한 자부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둘째, 고독의 공간적 조건으로서 서호를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정계나 은거지 어디에도 속하지 않았던 서 호라는 공간의 지정학적 위치가 그에게 있어 판단을 지연하고 분명하게 스스로의 견해를 피력하지 못하게 만든 주요한 요소였다. 다 만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그가 지키고자 하는 최소한의 線은 지키고자 하였는데, 감추면서 보여주는 寓意와 諷刺가 서 호라는 공간에서 부각되고 있는 것이 그가 견지한 태도의 발로라고 하겠다. 셋째, 고독의 시간적 조건으로 만년을 지적할 수 있다. 서호에서 보여주었던 태 도에서 선명하게 드러나듯이 만년의 유몽인 역시 선택의 기로에 서서 고민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金剛山 이후의 모습에서도 여전히 산견된다. 다만 결국 그는 스스로에게 떳떳하고자 했으며 그로 인해 그는 죽음을 맞이하였다. 따라서 그의 죽음은 그에게 갑자기 닥친 불운이기보다 그의 선택으로 인해 도출된 결과였던 것이다. 이로써 볼 때, 유몽인은 고독 속에서 浮動하며 살았지만 스스로의 삶에 대해 반성하고, 죽은 이후 자신의 모습에 책임지기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결국 이것이 그의 명성을 일깨운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무수한 좌절을 겪으면서도 자신의 길을 가려고 했던 태도 역시 고독 속에서 외롭게 하루하루를 견뎌내는 현대인들에 게도 작지 않은 의미가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aspects and the meaning of loneliness in Ryu, Mong-in``s prose. Most of all for this aim, I focused on his own view(己見), seoho(西湖), and his latter year(晩年). These items are correspond to personal, spatial, and temporal condition respectively.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Ryu, Mong-in`s loneliness is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specially, internal factor is based on his own view. He didn``t want to bow his head, he want to stick to his own view. This feature showed on his prose. Second, I point out seoho as the spatial condition. Especially, seoho didn`t belong to neither the political place nor the retiring place. This geopolitical factor made him hesitate. But he wanted to hold on his line in this condition, and Allegory and satire in his prose are the features. Third, I point out his latter year as the temporal condition. He agonized about his life at a crossroads. But he want to act honorably, and he faced death because of this attitude. So his death came from his choice. Judging from these, though Ryu, Mong-in was in loneliness, he had time to reflect on himself, and made his best to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ife. Finally, this attitude served as a moment to arouse his fame. And also his attitude is meaningful to contemporary men.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on aspects and the meaning of loneliness in Ryu, Mong-in``s prose. Most of all for this aim, I focused on his own view(己見), seoho(西湖), and his latter year(晩年). These items are correspond to personal, spatial, and tempora...

      This study focused on aspects and the meaning of loneliness in Ryu, Mong-in``s prose. Most of all for this aim, I focused on his own view(己見), seoho(西湖), and his latter year(晩年). These items are correspond to personal, spatial, and temporal condition respectively. With the result that there are following features. First, Ryu, Mong-in`s loneliness is based on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Especially, internal factor is based on his own view. He didn``t want to bow his head, he want to stick to his own view. This feature showed on his prose. Second, I point out seoho as the spatial condition. Especially, seoho didn`t belong to neither the political place nor the retiring place. This geopolitical factor made him hesitate. But he wanted to hold on his line in this condition, and Allegory and satire in his prose are the features. Third, I point out his latter year as the temporal condition. He agonized about his life at a crossroads. But he want to act honorably, and he faced death because of this attitude. So his death came from his choice. Judging from these, though Ryu, Mong-in was in loneliness, he had time to reflect on himself, and made his best to take responsibility for his life. Finally, this attitude served as a moment to arouse his fame. And also his attitude is meaningful to contemporary m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