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지리에서 아프리카 지역 학습을 위한 수업 전략의 모색 = Exploring Teaching Strategies for African Region Learning in Elementary Geograph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50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 지리에서 아프리카 지역의 인식 개선을 도모하는 수업 전략을 모색한다. 사회에 널리 퍼져있는 아프리카에 대한 고정 관념을 극복하려면, 초등학생부터 아프리카 지역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고, 아프리카 지역 학습의 문제점과 대안을 논의한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과 함께 수업 아이디어를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지역 학습을 위한 수업전략을 구체화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인물의 사례를 조사하는 수업 전략이다. 둘째, 오해와 편견을 유발하는 사례와 이를 반박하는 사례를 비교하는 수업 전략이다. 셋째, 주민들이 지역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스스로 노력하는 사례를 탐구하는 수업 전략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초등 지리에서 아프리카 지역의 인식 개선을 도모하는 수업 전략을 모색한다. 사회에 널리 퍼져있는 아프리카에 대한 고정 관념을 극복하려면, 초등학생부터 아프리카 지역...

      본 연구에서는 초등 지리에서 아프리카 지역의 인식 개선을 도모하는 수업 전략을 모색한다. 사회에 널리 퍼져있는 아프리카에 대한 고정 관념을 극복하려면, 초등학생부터 아프리카 지역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고, 아프리카 지역 학습의 문제점과 대안을 논의한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예비교사들과 함께 수업 아이디어를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프리카 지역 학습을 위한 수업전략을 구체화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인물의 사례를 조사하는 수업 전략이다. 둘째, 오해와 편견을 유발하는 사례와 이를 반박하는 사례를 비교하는 수업 전략이다. 셋째, 주민들이 지역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스스로 노력하는 사례를 탐구하는 수업 전략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explore teaching strategies that aim to enhance awareness of the African region in elementary geography. To effectively challenge the prevailing stereotype of Africa in society, it is necessary to gu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s develop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tinent.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Africa among preservice teachers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regional learning about Africa. In addition, after discussing lesson ideas with preservice teachers, we identified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for learning the African region and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a teaching strategy to investigate examples of African people who excel in diverse fields. Second, it is a teaching strategy to compare cases that cause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of Africa with cases that refute them. Third, it is a teaching strategy to explore cases in which African residents attempt to solve local issues by themselve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explore teaching strategies that aim to enhance awareness of the African region in elementary geography. To effectively challenge the prevailing stereotype of Africa in society, it is necessary to gu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

      In this study, we explore teaching strategies that aim to enhance awareness of the African region in elementary geography. To effectively challenge the prevailing stereotype of Africa in society, it is necessary to gui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wards developing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ontinent. For this, we conducted a survey on the awareness of Africa among preservice teachers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that discussed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regional learning about Africa. In addition, after discussing lesson ideas with preservice teachers, we identified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for learning the African region and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is a teaching strategy to investigate examples of African people who excel in diverse fields. Second, it is a teaching strategy to compare cases that cause misunderstandings and prejudices of Africa with cases that refute them. Third, it is a teaching strategy to explore cases in which African residents attempt to solve local issues by themsel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재,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 -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9 (29): 33-52, 2021

      2 네이버 지식백과, "피에르 은쿠룬지자"

      3 Sharp, Joanne, "포스트식민주의의 지리 : 권력과 재현의 공간" 여이연 2011

      4 데일리투머로우, "케냐를 뒤집는 조용한혁명 엠페사 M-PESA"

      5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 6-2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2019

      6 KBS 세계는 지금, "차별에 대한 미국의 워크(Woke) 논쟁, 정치권을 달구다"

      7 네이버 지식백과, "지속가능발전목표"

      8 이영민, "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 아날로그 2023

      9 조철기,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푸른길 2015

      10 이코노믹 리뷰, "여의도 10배, 모로코 세계최대 태양열 발전소 완공"

      1 김이재,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 -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9 (29): 33-52, 2021

      2 네이버 지식백과, "피에르 은쿠룬지자"

      3 Sharp, Joanne, "포스트식민주의의 지리 : 권력과 재현의 공간" 여이연 2011

      4 데일리투머로우, "케냐를 뒤집는 조용한혁명 엠페사 M-PESA"

      5 교육부, "초등학교 사회 6-2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2019

      6 KBS 세계는 지금, "차별에 대한 미국의 워크(Woke) 논쟁, 정치권을 달구다"

      7 네이버 지식백과, "지속가능발전목표"

      8 이영민, "지리학자의 열대 인문여행" 아날로그 2023

      9 조철기, "지리 교재 연구 및 교수법" 푸른길 2015

      10 이코노믹 리뷰, "여의도 10배, 모로코 세계최대 태양열 발전소 완공"

      11 조성욱, "아프리카에 대한 지역인식 변화를 위한 지리교육과정 구성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 (26): 73-87, 2018

      12 연합뉴스, "아프리카 ‘쿠데타 벨트’"

      13 연합뉴스, "세네갈 대통령 “내년 대선 출마안 한다”…3선 도전 포기"

      14 김기남 ; 성정원, "세계지리 평가가 학생들의 지역 편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학회 12 (12): 335-346, 2023

      15 김기남 ; 김민성, "세계지리 시험 문항이 추동하는 지역 편견의 문제와 대안적 문항 구성 전략"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9 (29): 119-132, 2021

      16 컨선월드와이드 한국, "세계기아지수 : 식량시스템 변혁과 지역 거버넌스" 컨선월드와이드 2022

      17 이경한,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교육과학사 2016

      18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별책7: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19 김민성,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 교과서 재구성 전략: 르완다를 사례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2 (52): 59-72, 2013

      20 연합뉴스, "민심에 ‘무릎’…알제리 부테플리카 대통령 “28일까지 사임”"

      21 이동민 ; 최재영, "다중스케일적 접근의 지리교육적 의의와 가능성 - 초등사회과 세계지리 영역에서의 지역 인식 문제를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1-17, 2015

      22 YTN, "논란의 ‘인어공주’, 극명하게 갈린평가...개봉 후에도 설왕설래 계속"

      23 김유아, "나의 첫 아프리카 수업" 초록비책공방 2021

      24 성정원, "‘아프리카 자세히 들여다보기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 아프리카에 대한 편견 감소와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31 (31): 89-103, 2023

      25 김다원 ; 한건수, "‘사실’과 ‘재현’의 관점에서 아프리카 다시 보기 -초·중학교 사회 교과서 아프리카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47 (47): 440-458, 2012

      26 Adichie, C. N., "The danger of a single story"

      27 Hotchkiss, C. W., "Some points to emphasize in teaching the geography of Africa" 10 (10): 177-184, 1912

      28 Kitchen, H. A., "Six misconceptions of Africa" 5 : 167-174, 1982

      29 "Senses Atlas, Maasai Villages, an Architecture Designed by the Traditional Pastoral Way of Life"

      30 Tanner, J., "Progression in geographical fieldwork experiences" 104 : 13-15, 2021

      31 Beck, H. E., "Present and futur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maps at 1-km resolution" 5 : 1-12, 2018

      32 The Nobel Prize, "Nobel Prizes & Laureates"

      33 African Union, "Member States"

      34 The World Bank, "Making Social Safety Nets a Priority in Gabon"

      35 The Pritzker Architecture Prize, "Laureates"

      36 WIKIPEDIA, "Joseph Kabila"

      37 Myers, G. A., "Introductory human geography textbook representations of Africa" 53 (53): 522-532, 2001

      38 Faloyin, D., "Interview with … : Dipo Faloyin, author of Africa Is Not A Country" 108 (108): 25-28, 2023

      39 AP, "Growing African mangrove forests aim to combat climate woes"

      40 UNCCD, "Great Green Wall"

      41 Roberts, M., "Geography Through Enquiry :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econdary School" Geographical Association 2013

      42 BBC, "Didier Drogba : How Ivory Coast striker helped to halt civil war in his home nation"

      43 Corrado, E., "Decolonising geography to unshackle the representation of Africa" 108 : 8-10, 2022

      44 OECD, "Data tables : Level of urbanisation"

      45 Jarosz, L., "Constructing the dark continent : Metaphor as geographic representation of Africa" 74 (74): 105-115, 1992

      46 WIKIPEDIA, "Charlize Theron"

      47 Faloyin, D., "Africa Is Not a Country : Breaking Stereotypes of Modern Africa" Vintage 2022

      48 Robinson, H., "Africa Is Not A Country by Dipo Faloyin" 108 (108): 29-32, 20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