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대체제는 지연유합이나 유합부전 그리고 골절술과 관절고정술 시 골편의 연속성 확립이 필요한 경우 골절의 주요 결손부위를 채우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적골의 다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09282
원상철 ; 이주명 ; 박현정 ; 서종필 ; 정종태 ; Won, Sangcheol ; Lee, Joo-Myoung ; Park, Hyunjung ; Seo, Jongpil ; Cheong, Jongtae
2015
English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410-416(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골대체제는 지연유합이나 유합부전 그리고 골절술과 관절고정술 시 골편의 연속성 확립이 필요한 경우 골절의 주요 결손부위를 채우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적골의 다양...
골대체제는 지연유합이나 유합부전 그리고 골절술과 관절고정술 시 골편의 연속성 확립이 필요한 경우 골절의 주요 결손부위를 채우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적골의 다양한 전처리 후 직경 5 mm 두께 2 mm의 형태로 가공하여 rhBMP-2의 담체로써 골전도력과 골유도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합조직의 두께는 2, 4주차 모두 오적골유래 hydroxyapatite 적용군(CBHA)에서 가장 유의성 있게 얇았다(p < 0.05). Radiologic gray-level histogram의 측정에서는 4주차에서 CBHA군이 산호유래 hydroxyapatite 적용군(CHA)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12주차에서는 CHA군의 변화율이 가장 적었다. 전체 12주 동안의 변화율에서는 CBHA가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폐쇄율에 있어서는 4, 8, 12주차 모두 CHA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8주차에서는 bmp를 적용한 오적골 적용군(CB1bmp)이 CBHA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이상의 결과들은 CBHA가 생체 내에 적용하는 골대체재로서 골유도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BHA는 편평골에 있어 생체적 합성이 뛰어난 골대체재로 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수의 임상에 있어서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ne grafting is widely used to bridge major bone defects or to promote bone union. In the evaluation of bone defect regeneration, 5 mm-diameter defects were created in rabbit calvaria. Concerning biocompatibility, fibrous capsule thickness of CBHA (h...
Bone grafting is widely used to bridge major bone defects or to promote bone union. In the evaluation of bone defect regeneration, 5 mm-diameter defects were created in rabbit calvaria. Concerning biocompatibility, fibrous capsule thickness of CBHA (hydroxyapatite from cuttlebone) was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at of CB (cuttlebone) and CHA (hydroxyapatite from coral) (p < 0.05) at 2 and 4 weeks after implantation. Concerning 12-week total changes of radiologic gray-level histogram, CBH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HA (p < 0.05). In the evaluation of bone defect regeneration, bone formation of CH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B and CBHA (p < 0.05). Based on the clinical and histological results, CBHA would be a safe material for use inside the body and has more effective osteoconduction than CB. It is suggested that CBHA is a valuable bone graft material.
Aloe vera가 Cobalt-60 감마선을 조사한 마우스의 혈액상 및 혈액화학치에 미치는 영향
Aloe vera투여가 Cobalt-60 감마선 조사를 받은 마우스의 생존율과 조혈간세포에 미치는 영향
Rat에서 뇨중 ${\gamma}$-Glutamyltranspeptidase와 N-Acetyl-$\beta$-D-glucosaminidase 측정에 의한 신독성 평가에 관하여
전주근교의 토양에서 분리된 호각화질성 진균의 오염에 관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