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혜성,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7
2 정대련, "한국 전래동화의 윤리적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1990
3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1994
4 조단, "한․중 ‘신데렐라’형 민담의 문화형태학적 해석 in 한․중 민간설화 비교 연구" 보고사 229-323, 2006
5 김태준, "조선소설사" 범아문화사 1989
6 박인실, "전래동화의 서술적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89
7 조대현, "전래동화의 가치와 현대적 수용방법" 한국아동문학학회 4 : 57-62, 1995
8 장지영, "전래동화에 대한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1990
9 조화연, "전래동화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 탐구" 301-316, 2006
10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1 박혜성,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7
2 정대련, "한국 전래동화의 윤리적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1990
3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1994
4 조단, "한․중 ‘신데렐라’형 민담의 문화형태학적 해석 in 한․중 민간설화 비교 연구" 보고사 229-323, 2006
5 김태준, "조선소설사" 범아문화사 1989
6 박인실, "전래동화의 서술적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89
7 조대현, "전래동화의 가치와 현대적 수용방법" 한국아동문학학회 4 : 57-62, 1995
8 장지영, "전래동화에 대한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1990
9 조화연, "전래동화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 탐구" 301-316, 2006
10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11 강명상, "재미있는 중국의 이색 풍습" 을유문화사 1995
12 장용걸, "일본어 교사에 있어서, 일본문화교육의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6) : 41-62, 2003
13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1986
14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2" 시공주니어 2000
15 권순희,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외국 사례 비교" 한국어교육학회 12 (12): 129-174, 2009
16 손은주, "신데렐라형 민담의 의미와 역사" 한국뷔히너학회 (14) : 162-182, 2000
17 동화와번역연구소, "신데렐라와 소가 된 어머니" 도서출판 논장 2004
18 주경철,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산처럼 2006
19 오윤선, "세계의 신데렐라유형 이야기군 속에서의 <콩쥐팥쥐 이야기> 고찰" 동화와번역연구소 26 (26): 261-289, 2006
20 유안진, "세계 전래동화의 구조 및 내용 특성 비교 - 아시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지역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2 (42): 77-91, 2004
21 서정록, "백제금동대향로" 학고재 2001
22 바바라케르 윌슨, "물고기 가시" (주)한국삐아제 2003
23 김선미, "문화에 기반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2005
24 정선희,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7
25 황미숙, "그림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에 나타난 현실 반영의 문제" 숙명여자대학교 1988
26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읽기 4-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27 "http://cafe.naver.com/vietinfo.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112"
28 "http://cafe.naver.com/muslin.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276"
29 Erickson,F, "Culture in Society and in Educational Practi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Willey 31-61,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