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콩쥐팥쥐’류 동화의 문화 맥락 탐구학습과 다문화 이해 교육 = Analysis of the Culture Context of ‘Kongjwi and Patjwi' Type Children's Story and Suggestion of Teaching Method for Understanding Multiculture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fairy tale like 'Kongjwi and Patjwi' type was studied in the knowledge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is important. Traditional fairy tale is the old story reflecting children's childlike innocence and containing ethnic characteristics. Educatio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should not give students the superiority or the inferiority complex of their own country. It should give students open point of view through evoking sympathy and understanding about culture of different countries. If children are guid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different countries,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realized. Traditional fairy tale plays the major role in passing down the style of living, traditional values, and religions from mouth to mouth, forming social and cultural consensus among country members, and preserving and reinventing cultural values. Traditional fairy tale is one of the excellent teaching material, because it ha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values and style of living of the day to children by showing them the lives of ordinary citizen.
      ‘Kongjwi and Patjwi', ‘Mulgogi Gasi', and ‘Cinderella' were selected as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fairy tales having similar story structure. Each country's 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were appreciated by analyzing the three stories. An example of listening and writing education was suggested using a Chinese fairy tale, ‘Seophan' as the educational method for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Through this study education for enlarging cultural schema was suggested as a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education.
      번역하기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fairy tale like 'Kongjwi and Patjwi' type was studied in the knowledge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is important. Traditional fairy tale is the old story reflecting children's childlike innocence and containin...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fairy tale like 'Kongjwi and Patjwi' type was studied in the knowledge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is important. Traditional fairy tale is the old story reflecting children's childlike innocence and containing ethnic characteristics. Educatio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should not give students the superiority or the inferiority complex of their own country. It should give students open point of view through evoking sympathy and understanding about culture of different countries. If children are guid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different countries,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realized. Traditional fairy tale plays the major role in passing down the style of living, traditional values, and religions from mouth to mouth, forming social and cultural consensus among country members, and preserving and reinventing cultural values. Traditional fairy tale is one of the excellent teaching material, because it ha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values and style of living of the day to children by showing them the lives of ordinary citizen.
      ‘Kongjwi and Patjwi', ‘Mulgogi Gasi', and ‘Cinderella' were selected as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fairy tales having similar story structure. Each country's 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were appreciated by analyzing the three stories. An example of listening and writing education was suggested using a Chinese fairy tale, ‘Seophan' as the educational method for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Through this study education for enlarging cultural schema was suggested as a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전래동화와 다문화 이해 교육 가능성
      • Ⅲ. ‘콩쥐팥쥐’류 동화에 나타난 문화요소 탐구
      • Ⅳ. 교수 학습 활동 사례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전래동화와 다문화 이해 교육 가능성
      • Ⅲ. ‘콩쥐팥쥐’류 동화에 나타난 문화요소 탐구
      • Ⅳ. 교수 학습 활동 사례
      •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혜성,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7

      2 정대련, "한국 전래동화의 윤리적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1990

      3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1994

      4 조단, "한․중 ‘신데렐라’형 민담의 문화형태학적 해석 in 한․중 민간설화 비교 연구" 보고사 229-323, 2006

      5 김태준, "조선소설사" 범아문화사 1989

      6 박인실, "전래동화의 서술적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89

      7 조대현, "전래동화의 가치와 현대적 수용방법" 한국아동문학학회 4 : 57-62, 1995

      8 장지영, "전래동화에 대한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1990

      9 조화연, "전래동화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 탐구" 301-316, 2006

      10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1 박혜성, "한국전래동화에 나타난 도덕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7

      2 정대련, "한국 전래동화의 윤리적 탐구" 이화여자대학교 1990

      3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의 이해" 문학아카데미 1994

      4 조단, "한․중 ‘신데렐라’형 민담의 문화형태학적 해석 in 한․중 민간설화 비교 연구" 보고사 229-323, 2006

      5 김태준, "조선소설사" 범아문화사 1989

      6 박인실, "전래동화의 서술적 특성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89

      7 조대현, "전래동화의 가치와 현대적 수용방법" 한국아동문학학회 4 : 57-62, 1995

      8 장지영, "전래동화에 대한 유아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1990

      9 조화연, "전래동화를 통한 다문화 교육의 가능성 탐구" 301-316, 2006

      10 최운식, "전래동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11 강명상, "재미있는 중국의 이색 풍습" 을유문화사 1995

      12 장용걸, "일본어 교사에 있어서, 일본문화교육의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6) : 41-62, 2003

      13 이상금, "유아문학론" 교문사 1986

      14 브루노 베텔하임, "옛이야기의 매력 2" 시공주니어 2000

      15 권순희,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을 위한 외국 사례 비교" 한국어교육학회 12 (12): 129-174, 2009

      16 손은주, "신데렐라형 민담의 의미와 역사" 한국뷔히너학회 (14) : 162-182, 2000

      17 동화와번역연구소, "신데렐라와 소가 된 어머니" 도서출판 논장 2004

      18 주경철, "신데렐라 천년의 여행" 산처럼 2006

      19 오윤선, "세계의 신데렐라유형 이야기군 속에서의 <콩쥐팥쥐 이야기> 고찰" 동화와번역연구소 26 (26): 261-289, 2006

      20 유안진, "세계 전래동화의 구조 및 내용 특성 비교 - 아시아, 유럽, 미주, 아프리카 지역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2 (42): 77-91, 2004

      21 서정록, "백제금동대향로" 학고재 2001

      22 바바라케르 윌슨, "물고기 가시" (주)한국삐아제 2003

      23 김선미, "문화에 기반한 한국어 교재의 단원 구성 방안" 부산외국어대학교 2005

      24 정선희,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과 실태조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7

      25 황미숙, "그림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에 나타난 현실 반영의 문제" 숙명여자대학교 1988

      26 교육과학기술부, "국어: 읽기 4-2" (주)미래엔컬처그룹 2010

      27 "http://cafe.naver.com/vietinfo.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112"

      28 "http://cafe.naver.com/muslin.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276"

      29 Erickson,F, "Culture in Society and in Educational Practices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Willey 31-61,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1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4 1.1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