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현재 고령화, 저성장, 양극화 등의 주요 사회경제 문제들이 서로 악순환 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차원과 수준에서 사회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무한히 확대, 심화, 재생산시켜가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70870
최태욱 (한림국제대학원대학교)
2016
-
generation politics ; youth politics ; gerontocracy ; youth party ; proportional representation ; 세대정치 ; 청년정치 ; 노인정치 ; 청년당 ; 비례대표제
KCI등재
학술저널
259-285(2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은 현재 고령화, 저성장, 양극화 등의 주요 사회경제 문제들이 서로 악순환 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차원과 수준에서 사회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무한히 확대, 심화, 재생산시켜가고 있...
한국은 현재 고령화, 저성장, 양극화 등의 주요 사회경제 문제들이 서로 악순환 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차원과 수준에서 사회구성원들 간의 갈등을 무한히 확대, 심화, 재생산시켜가고 있는 매우 심각한 상황에 처해 있다. 최근에는 ‘신종’ 사회갈등이라할 수 있는 세대 간 갈등마저 첨예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개개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분배 및 재분배 정책에 대한 민감도가 모든 연령층에 걸쳐 높아져가면서 세대간의 정치 선호 차이, 정확히 말하자면, 정당정치에 대한 선호 차이 역시 점점 더 뚜렷해져가고 있다. 이른바 ‘세대정치’의 부상 조짐인 것이다. 그런데, 이 세대정치의 부상은 주로 청년세대들에 의해 추동되고 있다. 좋은 일자리는 계속 줄어드는데 고령화에따른 복지 부담은 줄곧 늘기만 한다는 상황 인식, 보다 일반화하여 말하자면, 분배및 재분배 상황이 점점 더 자신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인식이 청년들사이에 확산되면서 이 ‘세대 간 불평등 문제’ 혹은 ‘청년문제’는 결국 정치적 해법으로풀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기 때문인 듯하다.
사실 청년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의 상당부분은 소위 ‘노인정치’(gerontocracy)의 위력에 따른 세대 불균형적 분배 정책의 소산이다. 따라서 청년세대의 저항과 반발이 그정책, 더 정확히는 그러한 정책을 양산해내는 정부 혹은 정치에 대하여 일어나는 것은당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의 경우에는 기성 정치에 대한 청년들의그러한 불만이 청년정치의 부상, 그리고 나중에는 정당체계의 변화로까지 이어졌다.
최근 감지되고 있는 세대정치 활성화 움직임은 종국에 한국 정당체계의 실질적 변화로까지 이어질 것인가? 요컨대, 유력한 청년 대표 정당이 부상할 수 있을까?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질문이다. 결론을 먼저 말하자면, 한국에서 청년정치의 수요가증대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나 그것이 청년당의 부상과 같은 정당체계의 유의미한 변화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은 매우 낮다는 것이다. 그 핵심 원인은 제도 조건의 미성숙이라고 진단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태욱,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 시장의 우위에 서는 정치를 위하여" 책세상 2014
2 이재경, "한국의 세대불평등과 세대정치: 일자리영역에서 나타나는 정책주도 불평등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8) : 15-44, 2015
3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4 금민, "포데모스, 좌파 포퓰리즘의 가능성과 한계" 사회과학연구원 12 (12): 268-313, 2015
5 강준만, "청년이여, 정당으로 쳐들어가라!: ‘정치 사랑’ 외에 탈출구는 없다" 인물과사상사 2015
6 김종휘, "청년들아 너희들을 위한 나라는 없다"
7 박종훈, "지상최대의 경제 사기극, 세대전쟁" 21세기북스 2013
8 고원, "정치 균열의 전환과 2012년 대통령선거 세대와 계층 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8) : 143-176, 2013
9 정명진, "세대충돌" 부글북스 2012
10 윤상철, "세대정치와 정치균열* 1997년 이후 출현과 소멸의 동학" 비판사회학회 (81) : 61-88, 2009
1 최태욱, "한국형 합의제 민주주의를 말하다 : 시장의 우위에 서는 정치를 위하여" 책세상 2014
2 이재경, "한국의 세대불평등과 세대정치: 일자리영역에서 나타나는 정책주도 불평등을 중심으로"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8) : 15-44, 2015
3 박재흥, "한국사회의 세대갈등 : 권력‧이념‧문화갈등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3 (33): 75-99, 2010
4 금민, "포데모스, 좌파 포퓰리즘의 가능성과 한계" 사회과학연구원 12 (12): 268-313, 2015
5 강준만, "청년이여, 정당으로 쳐들어가라!: ‘정치 사랑’ 외에 탈출구는 없다" 인물과사상사 2015
6 김종휘, "청년들아 너희들을 위한 나라는 없다"
7 박종훈, "지상최대의 경제 사기극, 세대전쟁" 21세기북스 2013
8 고원, "정치 균열의 전환과 2012년 대통령선거 세대와 계층 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8) : 143-176, 2013
9 정명진, "세대충돌" 부글북스 2012
10 윤상철, "세대정치와 정치균열* 1997년 이후 출현과 소멸의 동학" 비판사회학회 (81) : 61-88, 2009
11 박권일, "세대와 정당정치: 정치적 세대동맹의 역사와 의미" 2012
12 이진순, "듣도 보도 못한 정치" 문학동네 2016
13 최기홍, "국민연금의 세대 간 회계" 국민연금연구원 2012
14 Berry, Craig, "The Rise of Gerontocracy? : Addressing the International Democratic Deficit" Intergenerational Foundation 2012
15 Kotlikoff, Laurence J., "The Clash of Generations" MIT 2012
16 Geddes, Barbara, "Politicians Dilemma: Building State Capacity in Latin Ameri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4
17 Frohlich, Norman, "Political Leadership and Collective Good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1
18 Downs, Anthony,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Harper & Row Publishers 1957
개인의 노력 및 선호를 반영한 불평등 측정:등가소득 분석
통일 독일의 체계전환과 민영화 전략의 특징: 신탁관리청과 “상세한 협상계약 방식”
두 개의 대한민국?: 시민종교 접근으로 본 전환기의 한국사회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8 | 0.68 | 0.8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4 | 0.81 | 1.25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