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9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362명(여: 183)이었고, 그들의 연령은 17세에서 33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평균연령은 20.08 (SD=2.45)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부정/긍정 정서, 삶의 동기 및 삶의 기대를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독립적으로 자아탄력성은 생활스트레스보다 주관적 웰빙의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하고 있었는데, 생활 스트레스에 더해 주관적 웰빙을 예언하는 자아탄력성의 추가적 설명량도 유의하였다. 한편,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지만,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대학생이 적게 경험하는 대학생보다 삶의 기대 수준이 낮았는데, 이는 약한 자아탄력성을 가진 대학생들에게서만 유의했다.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의 자아탄력성의 완충작용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관...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대학생 362명(여: 183)이었고, 그들의 연령은 17세에서 33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평균연령은 20.08 (SD=2.45)세였다. 다양한 심리검사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삶의 만족, 주관적 행복, 부정/긍정 정서, 삶의 동기 및 삶의 기대를 측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독립적으로 자아탄력성은 생활스트레스보다 주관적 웰빙의 변량을 더 많이 설명하고 있었는데, 생활 스트레스에 더해 주관적 웰빙을 예언하는 자아탄력성의 추가적 설명량도 유의하였다. 한편, 생활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의 전통적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지는 못하였지만,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생활 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하는 대학생이 적게 경험하는 대학생보다 삶의 기대 수준이 낮았는데, 이는 약한 자아탄력성을 가진 대학생들에게서만 유의했다. 본 연구는 주관적 안녕에 대한 생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 기대 간의 관계에서의 자아탄력성의 완충작용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26 college students (183 females) living in Seoul and suburb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3, and average was 20.08 (SD=2.45).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life stresses, ego-resilience,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negative/positive emotion, lif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raditional variables of well-being. Ego-resilience accounted independently more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life stress, and additional accountability of ego-resilience for variances of subjective well-being variables with life stress was significant as well. Although it was failed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traditional variables of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life expectancy was found. Students in stressful circumstances had significant lower level of life expectancy than those in less stressful circumstance. But this was only for students with lower ego-resilience. The present study reiterates roles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suggests buffer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Korean J Str Res 2009;17:379∼387)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ress,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26 college students (183 females) living in Seoul and suburb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33, and average was 20.08 (SD=2.45). The various psychological tests were used to measure life stresses, ego-resilience,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happiness, negative/positive emotion, life motivation,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ife stress of college students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traditional variables of well-being. Ego-resilience accounted independently more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life stress, and additional accountability of ego-resilience for variances of subjective well-being variables with life stress was significant as well. Although it was failed to fin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traditional variables of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life stress and life expectancy was found. Students in stressful circumstances had significant lower level of life expectancy than those in less stressful circumstance. But this was only for students with lower ego-resilience. The present study reiterates roles of life stress and ego-resilience on subjective well-being, suggests buffer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Korean J Str Res 2009;17:379∼387)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