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 사회복지의 성경적 관점 및 실천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Practice Direction of Modern Social Welfa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68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ristian-centered welfare through the practice of evangelism by overseas missionaries has been developed into a state-centered welfare state.
      As the times change, many activit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not only in the pastors of the church but also in the saint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activities that the state should do due to the welfare polic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s the welfare blind spot occurs, it is a time when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love and evangelism of Jesus Christ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by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ased on the biblical basis of the welfare of Jesus Christ, we establish the identity of modern Christian social welfa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sts for the practice of pastoral social welfare and to prepare a support fund plan,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the practic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to develop and utilize a program for the realiz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the biblical value syst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alistic support activities for those who need help and to practice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evangelism.
      번역하기

      Christian-centered welfare through the practice of evangelism by overseas missionaries has been developed into a state-centered welfare state. As the times change, many activit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not only in the pastors of the church but al...

      Christian-centered welfare through the practice of evangelism by overseas missionaries has been developed into a state-centered welfare state.
      As the times change, many activities that have been carried out not only in the pastors of the church but also in the saints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activities that the state should do due to the welfare policie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s the welfare blind spot occurs, it is a time when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love and evangelism of Jesus Christ is urgently needed.
      Therefore, by reestablishing the concept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ased on the biblical basis of the welfare of Jesus Christ, we establish the identity of modern Christian social welfa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specialists for the practice of pastoral social welfare and to prepare a support fund plan,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for the practice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to develop and utilize a program for the realization of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the biblical value system. It is necessary to prepare realistic support activities for those who need help and to practice Christian social welfare through evangel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외 선교사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전도를 실천하며 기독교가 중심이 되어 실현되었던 복지는 국가 중심의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교회의 목회자뿐만 아니라 성도 그리고 사회복지시설에서 진행되었던 많은 활동들 또한 국가, 지자체의 복지정책으로 국가가 해야 하는 활동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역할이 점점 약화되고 있고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함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삼대사역에 따른 사랑과 복음 전도를 통한 기독교 사회복지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가 전하는 복지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바탕으로 기독교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을 다시 정립함으로써 현대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목회적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전문가 양성 및 지원재원 방안을 마련하고 기독교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당위성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성경적 가치체계를 통한 기독교 사회복지의 실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하고 활용함으로써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위한 현실적인 지원활동을 마련하여 복음 전도를 통한 기독교 사회복지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해외 선교사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전도를 실천하며 기독교가 중심이 되어 실현되었던 복지는 국가 중심의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교회의 목...

      해외 선교사들이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 전도를 실천하며 기독교가 중심이 되어 실현되었던 복지는 국가 중심의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형태로 발전되어 왔다. 시대가 변화하면서 교회의 목회자뿐만 아니라 성도 그리고 사회복지시설에서 진행되었던 많은 활동들 또한 국가, 지자체의 복지정책으로 국가가 해야 하는 활동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역할이 점점 약화되고 있고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함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삼대사역에 따른 사랑과 복음 전도를 통한 기독교 사회복지가 절실히 필요한 시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수 그리스도가 전하는 복지에 대한 성경적 근거를 바탕으로 기독교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을 다시 정립함으로써 현대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목회적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전문가 양성 및 지원재원 방안을 마련하고 기독교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당위성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성경적 가치체계를 통한 기독교 사회복지의 실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하고 활용함으로써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을 위한 현실적인 지원활동을 마련하여 복음 전도를 통한 기독교 사회복지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무열, "한국교회와 사회복지" 나눔의집 2000

      2 김형길 ; 다니엘 김, "한국 인구구조의 변화와 한국교회의 대응"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4 (14): 191-210, 2016

      3 권중돈, "한국 사회복지의 과제와 역할"

      4 오세향, "한국 개신교 사회복지의 현황과 발전과제 : 기독교 사회복지의 현황과 전망" 1997

      5 최무진, "종교기관의 사회적 참여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3 (13): 19-38, 2015

      6 조홍식, "예장사회복지 역할과 과제" 2000

      7 신무영, "성경의 사회복지정신과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의 현황과 개선방안"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8 이은수, "성경과 교회사를 통한 기독교 복지의 개념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교 2021

      9 장인엽 외, "사회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0 원석조,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2016

      1 최무열, "한국교회와 사회복지" 나눔의집 2000

      2 김형길 ; 다니엘 김, "한국 인구구조의 변화와 한국교회의 대응"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4 (14): 191-210, 2016

      3 권중돈, "한국 사회복지의 과제와 역할"

      4 오세향, "한국 개신교 사회복지의 현황과 발전과제 : 기독교 사회복지의 현황과 전망" 1997

      5 최무진, "종교기관의 사회적 참여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3 (13): 19-38, 2015

      6 조홍식, "예장사회복지 역할과 과제" 2000

      7 신무영, "성경의 사회복지정신과 한국 기독교사회복지의 현황과 개선방안"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8 이은수, "성경과 교회사를 통한 기독교 복지의 개념에 대한 연구" 고신대학교 2021

      9 장인엽 외, "사회복지학"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10 원석조, "사회복지정책론" 공동체 2016

      11 김성철, "사회복지 역사의미" (창간) : 2000

      12 이경순, "사도행전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을 통한 사회복지실천에 관한 연구" 성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13 최무진, "빈부격차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기독교적 복지 틈새 전략"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 (20): 1-20, 2022

      14 김기원, "빈곤문제와 기독교 복지 실천" 5 (5): 63-92, 2004

      15 김의명, "복지국가의 성경적 기초에 관한 연구" 한국로고스경영학회 10 (10): 135-160, 2012

      16 최순남, "변화하는 사회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교회의 역할" 1995

      17 전광현, "기독교와 자원(사회)봉사" 서울신학대학교 2001

      18 이부덕, "기독교와 사회복지" 홍익제 2001

      19 최광수,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기독교사회복지 정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기독교학문연구회 17 (17): 249-285, 2012

      20 박수봉, "기독교사회복지의 실태와 전망 : 인터넷을 통해 본 한국교회의 사회복지 참여 실태"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2001

      21 김기원, "기독교사회복지론" 교육과학사 2011

      22 박창우, "기독교복지와 사회복지의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27) : 309-341, 2011

      23 손용철,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 교수논문집" 그리스도신학대학교 출판부 2002

      24 이미경, "기독교 사회복지의 정체성 연구 : 교회의 본질적 사명으로서의 기독교 사회복지를 중심으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25 김순원, "기독교 사회복지의 성경적, 역사적, 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 (8) : 6-36, 2014

      26 양혜원, "기독교 사회복지의 개념과 실천 모델에 대한 기초연구" 147-171, 2007

      27 조흥식, "기독교 사회복지의 개념과 방법론, 한국기독교사회복지총람" 한국기독교 사회복지협의회 2007

      28 최광수, "기독교 사회복지 정체성과 한국교회의 기독교 사회복지 실천 실태 분석" (3) : 217-254, 2009

      29 오은석, "기독교 사회복지 배경 및 실천의 향상 방안"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30 임원선, "기독교 관점의 정의로운 사회복지 어떻게 할 것인가?" 207-217, 2019

      31 김지찬, "구약성서에서의 사회복지" 한국기독교사회복지총람 2007

      32 최무열, "교회사회사업의 신학적 기초, 교회사회사업편람" 인간과 복지 2003

      33 김광빈 외, "교회사회복지의 철학과 방법" 2005

      34 김성이 외, "교회사회복지의 철학과 방법" 나눔의 집 2005

      35 김만철, "교회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0

      36 박종삼, "교회사회복지와 사회혁신" 해피월드 복지재단 2012

      37 박종삼, "교회 사회사업편람" 인간과 복지 2003

      38 장동민, "교회 사회사업 핵심가치 정립의 모델과 원리" (4) : 39-59, 2006

      39 Loewenberg F. M., "Toward a sociological perspective on Social Welfare Strategies, In Social Science and Social Welfare"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1974

      40 Mishra R., "The welfare State in crisis" Harvester 1984

      41 Brackley, D, "The Call to discernment in troubled times"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2004

      42 Poe M. A., "Shaping a Christian Worldview : The Foundations of Christian Higher Education" Broadman and Holman Publishers 2002

      43 Wright C., "Living as People of God" Inter-Varsity Press 1983

      44 Jones K., "Issues in Social Policy" Routledge and kegan Paul 1978

      45 Wilensky, H., "Industrial Society and Social Welfare" Free Press 1965

      46 Chamiec-Case, R., "Exploring the Filtering Role of Christian Beliefs and Values in the Intergration of Christian Faith and Social Work Practice" 34 (34): 498-512, 2007

      47 Bisesi, M., "Compassion and power : Religion, spiritual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32 : 4-23, 2009

      48 Scott J., "Christian Mission in the Modern World" Falcon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