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이후 용산의 냉전식민주의 기억 넘어서기 = Historicizing Yongsan: Challenging Cold-War Colon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21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U.S. Army at Yongsan Garrison began base relocation, Yongsan as post-military space has gain much public attention. Lively discussio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landscape planning. However, the debate over memory of Yongsan,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future imagination of Yongsan, has just begun. This paper aims to link social memory of Yongsan to political historie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Cold-War colonialism in the post-liberation context. By doing so, this article considers how Yongsan is historicized and also highlights a challenge that arises in this process.
      The U.S. Army at Yongsan is deeply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It indicates that the social memory of Yongsan is shaped by order of empires where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Cold-War colonial powers intersect. Yongsan in the post-liberation context was remembered as a site of resistance. It was then remembered as an ‘unsafe’ neighborhoo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S. Army garrison. At the same time, in the memory of the Eighth Army Band, it symbolized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mass entertainment, as well as a hub between Korea and another world.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t is widely known that Yongsan, located near Itaewon, transformed into a global city which attracts tourists from all over the world.
      Despite these various memories, the central topic in the discussions of Yongsan planning revolves around discourses of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park. This paper suggests that recording, representing, and sustaining historically shaped memories is the first step to challenge the ongoing effects of the Cold-War colonial powers. By doing so, we can imagine and create a new future of Yongsan. Thus, it is significant for us to make an effort to memorize ‘dark’ sides of histories of the Cold-War colonialism as contextualizing it in global history.
      번역하기

      As the U.S. Army at Yongsan Garrison began base relocation, Yongsan as post-military space has gain much public attention. Lively discussio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landscape planning. However, the debate over memory of Yongsa...

      As the U.S. Army at Yongsan Garrison began base relocation, Yongsan as post-military space has gain much public attention. Lively discussions have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and future landscape planning. However, the debate over memory of Yongsan, which is inseparable from the future imagination of Yongsan, has just begun. This paper aims to link social memory of Yongsan to political histories of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Cold-War colonialism in the post-liberation context. By doing so, this article considers how Yongsan is historicized and also highlights a challenge that arises in this process.
      The U.S. Army at Yongsan is deeply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Imperial Japanese Army. It indicates that the social memory of Yongsan is shaped by order of empires where Japanese colonialism and the U.S. Cold-War colonial powers intersect. Yongsan in the post-liberation context was remembered as a site of resistance. It was then remembered as an ‘unsafe’ neighborhood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S. Army garrison. At the same time, in the memory of the Eighth Army Band, it symbolized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n mass entertainment, as well as a hub between Korea and another world. In contemporary South Korea, it is widely known that Yongsan, located near Itaewon, transformed into a global city which attracts tourists from all over the world.
      Despite these various memories, the central topic in the discussions of Yongsan planning revolves around discourses of development and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park. This paper suggests that recording, representing, and sustaining historically shaped memories is the first step to challenge the ongoing effects of the Cold-War colonial powers. By doing so, we can imagine and create a new future of Yongsan. Thus, it is significant for us to make an effort to memorize ‘dark’ sides of histories of the Cold-War colonialism as contextualizing it in global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7년 미군기지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군사기지’ 이후의 사회적 기억을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다. 현재까지의 논의는 주로 환경과 조경・건축의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용산의 역사적 기억에 대한 검토는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이 글은 해방후 미군기지를 둘러싸고 형성된 냉전식민주의적 기억을 어떻게 역사화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이는 용산의 사회적 기억을 식민지시기의 역사적 기억과 어떻게 연결시키고, 해방이후의 냉전식민주의적 기억을 발전과 세계화전략으로부터 어떻게 역사화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용산의 미군기지는 해방이전 일본군 기지의 역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것은 공간과 건축물의 계승이라는 측면 뿐 아니라, 그 사회적 기억이 제국 중심의 질서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식민주의와 냉전식민주의의 자장 안에 있다는 측면에서 내용적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해방직후 용산에 대한 기억은 식민주의 청산과 신국가 건설을 둘러싼 투쟁의 기억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단적으로 해방촌과 1946년의 9월 총파업의 기억으로 응축되어 있다. 한국전쟁이후 기지촌과 ‘양공주’ 그리고 각종 미군 범죄 등은 미군기지에 대한 부정적 기억으로 각인되었다. 한편으로는 ‘미8군 무대’의 기억은 한국 대중가요 발전의 내적 동력으로 또 외부와의 소통 공간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후 시대의 변천과 함께 이태원을 중심으로 용산은 국제도시, 다문화의 상징으로 변모하였다.
      이처럼 용산을 둘러싼 기억은 다양하다. 그럼에도 현재 제시된 용산의 미래 구상들에는 냉전식민주의적 기억보다는 개발과 민족공원화의 담론이 주된 키워드가 되고 있다. 어두웠던 기억을 있는 그대로 기억하는 일은 그것을 극복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과 냉전식민주의의 어두웠던 역사를 세계사적 차원에서 복원하고 기억하려는 노력이 그래서 중요하다.
      번역하기

      2017년 미군기지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군사기지’ 이후의 사회적 기억을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다. 현재까지의 논의는 주로 환경과 조경・건축의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용산의 역사적 기억...

      2017년 미군기지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군사기지’ 이후의 사회적 기억을 둘러싼 논쟁이 활발하다. 현재까지의 논의는 주로 환경과 조경・건축의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용산의 역사적 기억에 대한 검토는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이 글은 해방후 미군기지를 둘러싸고 형성된 냉전식민주의적 기억을 어떻게 역사화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고 있다. 이는 용산의 사회적 기억을 식민지시기의 역사적 기억과 어떻게 연결시키고, 해방이후의 냉전식민주의적 기억을 발전과 세계화전략으로부터 어떻게 역사화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용산의 미군기지는 해방이전 일본군 기지의 역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것은 공간과 건축물의 계승이라는 측면 뿐 아니라, 그 사회적 기억이 제국 중심의 질서라는 공통분모를 가진 식민주의와 냉전식민주의의 자장 안에 있다는 측면에서 내용적으로도 연결되어 있다. 해방직후 용산에 대한 기억은 식민주의 청산과 신국가 건설을 둘러싼 투쟁의 기억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것은 단적으로 해방촌과 1946년의 9월 총파업의 기억으로 응축되어 있다. 한국전쟁이후 기지촌과 ‘양공주’ 그리고 각종 미군 범죄 등은 미군기지에 대한 부정적 기억으로 각인되었다. 한편으로는 ‘미8군 무대’의 기억은 한국 대중가요 발전의 내적 동력으로 또 외부와의 소통 공간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후 시대의 변천과 함께 이태원을 중심으로 용산은 국제도시, 다문화의 상징으로 변모하였다.
      이처럼 용산을 둘러싼 기억은 다양하다. 그럼에도 현재 제시된 용산의 미래 구상들에는 냉전식민주의적 기억보다는 개발과 민족공원화의 담론이 주된 키워드가 되고 있다. 어두웠던 기억을 있는 그대로 기억하는 일은 그것을 극복한 새로운 미래를 만들어 가는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과 냉전식민주의의 어두웠던 역사를 세계사적 차원에서 복원하고 기억하려는 노력이 그래서 중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기독교박물관 홈페이지"

      2 "한겨레"

      3 비온티노 유리안, "일제하 서울 남산 지역의 일본 신도・불교 시설 운영과 의례연구" 서울대 2016

      4 문혜진, "일제 식민지기 종교와 식민 정책: 경성신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양대 2015

      5 박헌영, "이정 박헌영전집 제2권-미군정기 저작편" 역사비평사 2004

      6 이신철, "월남인 마을 ‘해방촌’(용산2가동) 연구-공동체의 성격을 중심으로-" 14 : 2000

      7 "용산구청 홈페이지"

      8 "용산구지"

      9 신주백, "용산과 일본군 용산기지의 변화(1884~1945)" 서울학연구소 (29) : 189-218, 2007

      10 "용산공원 라운드 테이블 1. 0 홈페이지"

      1 "한국기독교박물관 홈페이지"

      2 "한겨레"

      3 비온티노 유리안, "일제하 서울 남산 지역의 일본 신도・불교 시설 운영과 의례연구" 서울대 2016

      4 문혜진, "일제 식민지기 종교와 식민 정책: 경성신사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양대 2015

      5 박헌영, "이정 박헌영전집 제2권-미군정기 저작편" 역사비평사 2004

      6 이신철, "월남인 마을 ‘해방촌’(용산2가동) 연구-공동체의 성격을 중심으로-" 14 : 2000

      7 "용산구청 홈페이지"

      8 "용산구지"

      9 신주백, "용산과 일본군 용산기지의 변화(1884~1945)" 서울학연구소 (29) : 189-218, 2007

      10 "용산공원 라운드 테이블 1. 0 홈페이지"

      11 "오마이뉴스"

      12 "연합뉴스"

      13 "매일경제"

      14 "동아일보"

      15 "뉴시스"

      16 "뉴스 토마토"

      17 역사학연구소, "네이션과 로컬의 교차로, 용산" 2017

      18 "경향신문"

      19 李文雄, "都市地域의 形成 및 生態的 過程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1967

      20 "YTN"

      21 김기협, "9월 총파업과 공산당의 ‘신전술’-해방일기 1946년 9월 23일 -"

      22 안종철, "1930-40년대 남산 소재 경성호국신사의 건립, 활용, 그리고 해방 후 변화" 서울학연구소 (42) : 49-74,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History of Seoul -> Seoul and History KCI등재
      2016-02-0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鄕土서울 -> 서울과 역사
      외국어명 : The Hyangto Seoul -> The History of Seoul
      KCI등재
      2015-10-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 서울역사편찬원
      영문명 : The City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Of Seoul ->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3 1.024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