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옥주골 역사의 오솔길을 찾아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137148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에이엔미디어, 2008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911.98 판사항(4)

      • DDC

        951.9 판사항(21)

      • ISBN

        9788995816530 03900: ₩10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옥주골 역사의 오솔길을 찾아서 / 박병술 저

      • 형태사항

        285 p. : 삽화 ; 23 cm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진도의 조종산(祖宗山) 금골산(金骨山) = 9
      • 1. 역사상으로 살펴본 금골산 = 11
      • 2. 금골산을 노래한 시들 = 20
      • 제2장 진도의 영산(靈山) 첨찰산(尖察山) = 25
      • 목차
      • 제1장 진도의 조종산(祖宗山) 금골산(金骨山) = 9
      • 1. 역사상으로 살펴본 금골산 = 11
      • 2. 금골산을 노래한 시들 = 20
      • 제2장 진도의 영산(靈山) 첨찰산(尖察山) = 25
      • 1. 고진도성(古珍島城) = 30
      • 2. 절터(寺址) = 33
      • 3. 쌍계사(雙溪寺) = 38
      • 4. 운림산방(雲林山房) = 42
      • 5. 첨찰산 봉수대(尖察山 烽燧台) = 47
      • 6. 첨찰산 상록수림(尖察山 常綠樹林) = 49
      • 7. 진도아리랑 비(碑) 진도 레이더 기상대 = 50
      • 제3장 진도의 관방산(關防山) 여귀산(女貴山)을 찾아서 = 57
      • 제4장 벽파진(碧波津) 당(堂) 할아범을 찾아서 = 67
      • 제5장 향동(香洞) 가인봉(佳人峯)의 마애불상(磨崖佛像) = 83
      • 제6장 삼별초(三別抄) 궁녀(宮女) 둠벙 = 89
      • 제7장 정상서(鄭尙書)와 한천동(寒泉洞) = 99
      • 제8장 조희직(曺希直)과 압구정(狎鷗亭) = 105
      • 제9장 김문근(金汶根)과 만세불망비(萬世不忘碑) = 113
      • 제10장 진도(珍島)에는 보배가 없다 = 121
      • 제11장 사라져버린 옛 풍습들 = 131
      • Ⅰ. 사랑방 풍속도 = 133
      • Ⅱ. 들샘과 옹달샘 = 136
      • Ⅲ. 짚동 세우기 = 142
      • Ⅳ. 인정(人情)의 샘물 = 147
      • Ⅴ. 태상 이바지 = 151
      • Ⅵ. 철인(哲人) 거지들의 기행 = 115
      • 1. 소재바 = 155
      • 2. 도순이 = 156
      • 3. 양섬바 = 156
      • Ⅶ. 왕무덤 고개에 얽힌 전설들 = 157
      • Ⅷ. 사라져버린 내 고향의 풍속들 = 160
      • 1. 첫 눈물(初雪水) = 160
      • 2. 좀도리 쌀 받기 = 161
      • 3. 뱀지 붙이기 = 162
      • 4. 소날(丑日) = 163
      • 5. 들독놀이 = 165
      • 6. 서당(書堂) = 165
      • 7. 대보름날 풍속 = 167
      • 8. 복(伏)달임 풍속 = 170
      • 9. 울력 = 172
      • 10. 밀짚거적의 추억 = 175
      • 11. 가반(加飯) 풍속 = 178
      • 제12장 진도 농민운동의 중심에 침계 마을이 있었다 = 181
      • Ⅰ. 한말의 진도 사정(1901-1910) = 183
      • 1. 의병활동(義兵活動) = 183
      • 2. 일제(日帝)의 농민수탈과 농민들의 저항 = 185
      • Ⅱ. 침계 마을의 부흥운동 전개 = 197
      • Ⅲ. 해방과 침계마을의 인재교육 추진 = 200
      • 제13장 진도의 여성들은 강(强)했다 = 203
      • 1. 왕건과 견훤의 진도 싸움 = 206
      • 2. 삼별초 싸움과 진도 = 207
      • 3. 87년간의 피난생활 = 209
      • 4. 조선조 초부터 임진왜란 전까지 왜군들 침범 = 210
      • 5. 임진(壬辰)ㆍ정유(丁酉)재란과 진도 = 213
      • 6. 유배인(流配人)과 현지 처자식들의 한(恨) = 215
      • 7. 농사에 힘쓰지 않은 진도 사람들(?) = 216
      • 8. 진도의 여성들을 괴롭혔던 군역(軍役)의 폐단 = 218
      • 9. 맺는 말 = 219
      • 제14장 진도에시 사라진 짐승, 새, 곤충들 = 225
      • 1. 호랑이 = 227
      • 2. 두꺼비 = 230
      • 3. 여우 = 231
      • 4. 다람쥐 = 231
      • 5. 산토끼 = 232
      • 6. 멧돼지 = 232
      • 7. 까마귀 = 233
      • 8. 까치 = 234
      • 9. 반딧불이 = 235
      • 10. 쇠똥구리 = 236
      • 11. 비단벌레(玉蟲 吉丁蟲 緣金蟬) = 237
      • 제15장 내 고향 옛 농민들의 1년 살이 = 239
      • 1. 논갈이 = 241
      • 2. 밭일 = 248
      • 3. 방아찧기 = 251
      • 제16장 효행(孝行) 선행(善行) 가문(家門)에 경사(慶事) 났네 = 255
      • 제17장 전설로 사라져간 내 고향의 이런저런 모습 = 261
      • Ⅰ. 전설로 사라져가는 울두목 철쇄 = 263
      • Ⅱ. 우리 고장 어린이의 '바'와 '단'의 호칭 = 268
      • Ⅲ. 농촌의 잃어버린 풍경화들 = 270
      • Ⅳ. 여인네들의 한이 녹아버린 길쌈질하기 = 273
      • 제18장 진도로 유배당한 한말의 의병 및 기타 인물 = 281
      • 1. 박재홍, 조규현, 양문순 = 283
      • 2. 매천야록에 나타난 의병들의 진도 유배 = 284
      • 3. 독립협회 해산 뒤 진도로 유배당한 안국선 = 2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