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보기기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한 컨텐츠 개발방법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53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생활의 다양한 국면에 걸쳐 휴대폰이나 PDA,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정보기기(Information Appliances)와 접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콘텐츠들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는 GPS를 이용한 보행자 네비게이션 지원시스템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네비게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감성 요인을 분석하여 보행자가 목적지나 경로 및 그로부터 일어나는 심리적 반응 사이를 상호 번역할 수 있는 ‘사용자 감성구조모델’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보행자의 네비게이션 상황에 따른 인지행동특성을 ‘사용자 감성구조모델’과 ‘인지행동 프로세스’에 바탕을 둔 ‘보행자 네비게이션 모델’로 모형화 하였다. 그리고 보행자의 감성을 반영한 ‘정보탐색 알고리즘’을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보행자의 감성preference에 따른 다른 목적지와 경로의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전단계의 네비게이션에서 얻은 다양한 데이터는 다음 단계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유효한 정보로 축적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콘텐츠 개발방법을 적용하여 휴대용 정보기기 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이의 운용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생활의 다양한 국면에 걸쳐 휴대폰이나 PDA,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정보기기(Information Appliances)와 접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감...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생활의 다양한 국면에 걸쳐 휴대폰이나 PDA, 자동차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정보기기(Information Appliances)와 접하는 기회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감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콘텐츠들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주목받기 시작하고 있는 GPS를 이용한 보행자 네비게이션 지원시스템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반영한 콘텐츠 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네비게이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감성 요인을 분석하여 보행자가 목적지나 경로 및 그로부터 일어나는 심리적 반응 사이를 상호 번역할 수 있는 ‘사용자 감성구조모델’을 구축하였다. 다음으로, 보행자의 네비게이션 상황에 따른 인지행동특성을 ‘사용자 감성구조모델’과 ‘인지행동 프로세스’에 바탕을 둔 ‘보행자 네비게이션 모델’로 모형화 하였다. 그리고 보행자의 감성을 반영한 ‘정보탐색 알고리즘’을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제안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보행자의 감성preference에 따른 다른 목적지와 경로의 탐색이 가능하다. 또한 전단계의 네비게이션에서 얻은 다양한 데이터는 다음 단계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유효한 정보로 축적된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연구를 통해서 제안된 콘텐츠 개발방법을 적용하여 휴대용 정보기기 상에서 구현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지원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이의 운용에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people are exposed to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mobile phone, PDA, car navigation, etc. The result of this is the necessity to develop contents reflecting their preferences.
      To further develop the pedestrian navigation support system which has been focused, this research proposes methods that will reflect the user's preferences.
      First, by analyzing preference factors influencing navigation gratification, the 'User Preference Structure Model' was designed for corresponding between the destination or route and the pedestrian’s psychological reaction.
      Next, the Pedestrian Navigation Model was based on the 'User Preference Structure Model' and the cognitive action process was created from the cognitive action pattern which was observed from pedestrian navigating situation.
      The information searching algorism reflecting pedestrian’s preferences is suggested based on the Fuzzy Theory. The algorism makes it possible to search different destinations or routes according to the pedestrian’s preferences. In addition data gathered from the former navigation is valid for the following navigation.
      Finally, the research presented the elements of navigation support system and the interfaces which are required to operate the system. In addition the methods of the contents development influenc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navigation support system on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s.
      번역하기

      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people are exposed to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mobile phone, PDA, car navigation, etc. The result of this is the necessity to develop contents reflecting their preferences. To further deve...

      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people are exposed to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mobile phone, PDA, car navigation, etc. The result of this is the necessity to develop contents reflecting their preferences.
      To further develop the pedestrian navigation support system which has been focused, this research proposes methods that will reflect the user's preferences.
      First, by analyzing preference factors influencing navigation gratification, the 'User Preference Structure Model' was designed for corresponding between the destination or route and the pedestrian’s psychological reaction.
      Next, the Pedestrian Navigation Model was based on the 'User Preference Structure Model' and the cognitive action process was created from the cognitive action pattern which was observed from pedestrian navigating situation.
      The information searching algorism reflecting pedestrian’s preferences is suggested based on the Fuzzy Theory. The algorism makes it possible to search different destinations or routes according to the pedestrian’s preferences. In addition data gathered from the former navigation is valid for the following navigation.
      Finally, the research presented the elements of navigation support system and the interfaces which are required to operate the system. In addition the methods of the contents development influenc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navigation support system on portable information applia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