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OD형 개발 촉진을 위한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 Developing Integrated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for Encouraging Transit-oriented Develop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751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서울시는 TOD 기법을 활용하여 도심을 재활성화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TOD형 개발은 고밀개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통혼잡이나 환경의 질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도로 뿐 아니라 버스, 지하철 등의 용량을 함께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를 개발하여 TOD 개발을 촉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사례를 검토하고, 새로운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울시 도심에서 TOD형 고밀개발이 일어났을 때 교통부분의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는 승용차, 택시, 버스로 구성된 도로서비스환경지표와, 지하철서비스환경 지표로 구성되며, 두 개의 지표를 통합하는 방법은 각 교통존별 서비스환경에 각 죤별 수단분담률로 가중평균해서 계산하되, 각 수단분담률의 합은 1로 하였다. 이러한 통합교통서비스환경(ITLOS: Integrated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의 수치는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며, 0에 가까울수록 개발에 필요한 교통여건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도심고밀개발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중교통과 도로교통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와 도로 교통서비스 수준만을 고려하는 통행속도 지표를 활용했다. 두 지표 모두 도심 고밀 개발 시 교통서비스 수준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시 전체의 교통서비스 수준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사용할 경우 비율적으로 도심교통상황의 악화 정도는 평균속도지표의 경우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반면 서울시 전체적인 개선폭은 비율적으로 상당히 높게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최근 서울시는 TOD 기법을 활용하여 도심을 재활성화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TOD형 개발은 고밀개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통혼잡이나 환경의 질에 영향을 끼친다. ...

      최근 서울시는 TOD 기법을 활용하여 도심을 재활성화하기 위한 대규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TOD형 개발은 고밀개발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교통혼잡이나 환경의 질에 영향을 끼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도로 뿐 아니라 버스, 지하철 등의 용량을 함께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를 개발하여 TOD 개발을 촉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외국사례를 검토하고, 새로운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서울시 도심에서 TOD형 고밀개발이 일어났을 때 교통부분의 기대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는 승용차, 택시, 버스로 구성된 도로서비스환경지표와, 지하철서비스환경 지표로 구성되며, 두 개의 지표를 통합하는 방법은 각 교통존별 서비스환경에 각 죤별 수단분담률로 가중평균해서 계산하되, 각 수단분담률의 합은 1로 하였다. 이러한 통합교통서비스환경(ITLOS: Integrated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의 수치는 0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게 되며, 0에 가까울수록 개발에 필요한 교통여건이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도심고밀개발에 따른 기대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대중교통과 도로교통을 동시에 고려한 통합교통서비스지표와 도로 교통서비스 수준만을 고려하는 통행속도 지표를 활용했다. 두 지표 모두 도심 고밀 개발 시 교통서비스 수준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시 전체의 교통서비스 수준은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통합교통서비스 지표를 사용할 경우 비율적으로 도심교통상황의 악화 정도는 평균속도지표의 경우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반면 서울시 전체적인 개선폭은 비율적으로 상당히 높게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bas initiated several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to revitalize the downtown well equipped for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Since, TOD should incur higher density development in our context, it has negative impacts on travel patterns, congestion, and urban environmental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which can facilitate higher density TOD. This study includes relevant foreign case studies,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index, and the impact analysis of TOD when it is applied in the downtown Seoul. In chapter Ⅲ, it developed a so-called ITLOS, new multimodal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which shows the possibility of accommodating further development by integrating roadway service index with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The study sets ten policy scenarios by varying densities, and run the Seoul Congestion Management Model (SECOMM) to estimate the sustainable transportation impacts of TOD in the downtown. Travel speed index that only represents the availability of road capacity for development reveal that higher density development in the downtown can deteriorate traffic congestion while improving region-wide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 in Seoul. Also, it is proved that higher density development is more feasible when using ITLOS as the index because it considers not only available road capacity but subway capacity in the analysis area.
      번역하기

      Recent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bas initiated several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to revitalize the downtown well equipped for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Since, TOD should incur higher density development in our context, it...

      Recent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bas initiated several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to revitalize the downtown well equipped for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Since, TOD should incur higher density development in our context, it has negative impacts on travel patterns, congestion, and urban environmental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which can facilitate higher density TOD. This study includes relevant foreign case studies, the development of multimodal transportation index, and the impact analysis of TOD when it is applied in the downtown Seoul. In chapter Ⅲ, it developed a so-called ITLOS, new multimodal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which shows the possibility of accommodating further development by integrating roadway service index with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The study sets ten policy scenarios by varying densities, and run the Seoul Congestion Management Model (SECOMM) to estimate the sustainable transportation impacts of TOD in the downtown. Travel speed index that only represents the availability of road capacity for development reveal that higher density development in the downtown can deteriorate traffic congestion while improving region-wide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 in Seoul. Also, it is proved that higher density development is more feasible when using ITLOS as the index because it considers not only available road capacity but subway capacity in the analysis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지속가능 교통서비스지표 관련 문헌 검토
      • 3. TOD 촉진형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 Abstract
      • 요지
      • 1. 서론
      • 2. 지속가능 교통서비스지표 관련 문헌 검토
      • 3. TOD 촉진형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 4. 통합교통지표를 활용한 사례분석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영, "토지이용과 자동차 의존성간의 관계: 서울시를 사례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5): 71-94, 2004

      2 서울특별시, "청계천복원에 따른 도심부관리 방안" 서울특별시 2004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서울시 장래교통수요 예측 및 정책방 향, 정책토론회자료"

      4 황기연, "교통수요관리론" 청문각 2000

      5 Holtzclaw, J., "Using Residential Patterns and Transit to Decrease Auto Dependence and Costs"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1994

      6 Cervero, R.,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2 : 199-219, 1997

      7 Dunphy, R., "Transportation, congestion, and density: New insights" 1552 : 89-96, 1996

      8 "Litman, T. (2005) Understanding Smart Growth Savings"

      9 Ewing, R., "Getting around a traditional city, a suburban planned unit development, and every-thing in between" 1466 : 53-62, 1994

      10 Cervero, R.,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61 : 210-225, 1995

      1 신상영, "토지이용과 자동차 의존성간의 관계: 서울시를 사례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5 (5): 71-94, 2004

      2 서울특별시, "청계천복원에 따른 도심부관리 방안" 서울특별시 2004

      3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서울시 장래교통수요 예측 및 정책방 향, 정책토론회자료"

      4 황기연, "교통수요관리론" 청문각 2000

      5 Holtzclaw, J., "Using Residential Patterns and Transit to Decrease Auto Dependence and Costs"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1994

      6 Cervero, R., "Travel demand and the 3Ds: Density, diversity, and design" 2 : 199-219, 1997

      7 Dunphy, R., "Transportation, congestion, and density: New insights" 1552 : 89-96, 1996

      8 "Litman, T. (2005) Understanding Smart Growth Savings"

      9 Ewing, R., "Getting around a traditional city, a suburban planned unit development, and every-thing in between" 1466 : 53-62, 1994

      10 Cervero, R.,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61 : 210-225, 1995

      11 Newman, P., "Cities and Automobile Dependence," An International Source Book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3-01-01 평가 학술지 통합 (등재유지)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