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문학적 변형과 위장 - 김동리 장편소설 「사반의 십자가」를 중심으로 = Literary Transformation and Disguise of the Oedipus complex - Focused on Saban`s Cross by Kim, Dong-Le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219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김동리 장편 소설 『사반의 십자가』(1955~1957)에 나타난 `아버지/남편의 부재`의 서사구조(부친살해 욕망의 문학적 변형/위장), `남매지간/모자지간`의 근친상간의 서사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기에 고착화 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사회 윤리 및 작가 자신의 윤리적 지향성으로 인해서 문학적 변형, 혹은 위장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김동리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구체적인 문학 작품 속에서 확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을 기록한 많은 수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어린 시절 경험했었던 특수한 가정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의 어머니는 김동리를 출산할 당시 이미 노산이었고, 집안의 실질적인 가장의 역할을 하느라 너무나 바빴기 때문에, 김동리는 (프로이트적인 관점에서) 최초의 `연애대상`이었던 어머니로부터 충분한 모유/사랑/관심을 받을 수 없었다. 또한 유아기 때부터 지속된 아버지의 심각한 주사와 어머니에 대한 폭력은 아버지에 대한 미움(증오)과 어머니에 대한 원망(혹은 사랑)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유아기 때 어머니로부터의 분리의 경험과 비정상적인 부모의 관계에서 비롯된 정신적 외상은 김동리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고착화 시켰던 결정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그의 문학 속에서 사회 윤리 및 그의 윤리적 지향성으로 인해서 직접적으로 형상화되지 못하고, 변형 혹은 위장의 방식으로 표현된다. 김동리 장편 소설 『사반의 십자가』는 가장 `김동리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형상화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전면에 제시되지 못하고, 변형 또는 위장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 부친 살해의 욕망은 `아버지/남편의 부재(사망/방랑/이별)`라는 서사구조로, 모자지간의 근친상간은 남매지간의 근친상간으로 변형되어 있다. 흥미로운 점은 부친살해 욕망과 근친상간에 대한 욕망이 소설의 부수적인 등장인물들로 볼 수 있는 나바티안스의 왕과 왕자들이 미인과 나라(권력)를 두고 벌이는 피의 대결과정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제시된다는 것이다. 나바티안스의 왕과 왕자들은 일반적인 부자지간의 돈독한 관계가 아니라 완벽한 경쟁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늙은 왕은 미인을 차지하기 위해서 친아들인 첫째 왕자를 살해하기도 하며, 둘째 왕자는 부왕을 살해하고 장차 어머니(계모)가 될 미인과 나라(권력)를 동시에 탈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서사구조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등장하는 `친어머니(이오카스테)`가 `계모(실바아)`로 변형되어 있을 뿐 아들이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나라(권력)를 동시에 차지하게 된다는 『오이디푸스 왕』의 서사구조와 거의 일치한다. 또한 남매지간/모자지간의 근친상간을 범한 이들의 최후 역시 『오이디푸스 왕』의 주인공의 운명과 별반 다르지 않다. 이들은 모두 각기 다른 이유로 인해 죽음에 이르게 되는데, 이는 근친상간적 욕망에 대한 죄의식을 반영한 것으로서 단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김동리 문학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문학적 형상화이며, 장편 소설 『사반의 십자가』는 이러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가장 `김동리적인` 방식으로 재현된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에서는 김동리 장편 소설 『사반의 십자가』(1955~1957)에 나타난 `아버지/남편의 부재`의 서사구조(부친살해 욕망의 문학적 변형/위장), `남매지간/모자지간`의 근친상간의 서사구조를 ...

      이 논문에서는 김동리 장편 소설 『사반의 십자가』(1955~1957)에 나타난 `아버지/남편의 부재`의 서사구조(부친살해 욕망의 문학적 변형/위장), `남매지간/모자지간`의 근친상간의 서사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기에 고착화 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사회 윤리 및 작가 자신의 윤리적 지향성으로 인해서 문학적 변형, 혹은 위장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사실을 고찰하였다. 김동리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구체적인 문학 작품 속에서 확인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어린 시절에 대한 기억을 기록한 많은 수필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그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어린 시절 경험했었던 특수한 가정환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의 어머니는 김동리를 출산할 당시 이미 노산이었고, 집안의 실질적인 가장의 역할을 하느라 너무나 바빴기 때문에, 김동리는 (프로이트적인 관점에서) 최초의 `연애대상`이었던 어머니로부터 충분한 모유/사랑/관심을 받을 수 없었다. 또한 유아기 때부터 지속된 아버지의 심각한 주사와 어머니에 대한 폭력은 아버지에 대한 미움(증오)과 어머니에 대한 원망(혹은 사랑)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처럼 유아기 때 어머니로부터의 분리의 경험과 비정상적인 부모의 관계에서 비롯된 정신적 외상은 김동리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고착화 시켰던 결정적인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그의 문학 속에서 사회 윤리 및 그의 윤리적 지향성으로 인해서 직접적으로 형상화되지 못하고, 변형 혹은 위장의 방식으로 표현된다. 김동리 장편 소설 『사반의 십자가』는 가장 `김동리적`인 방식으로 자신의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형상화한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전면에 제시되지 못하고, 변형 또는 위장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 부친 살해의 욕망은 `아버지/남편의 부재(사망/방랑/이별)`라는 서사구조로, 모자지간의 근친상간은 남매지간의 근친상간으로 변형되어 있다. 흥미로운 점은 부친살해 욕망과 근친상간에 대한 욕망이 소설의 부수적인 등장인물들로 볼 수 있는 나바티안스의 왕과 왕자들이 미인과 나라(권력)를 두고 벌이는 피의 대결과정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제시된다는 것이다. 나바티안스의 왕과 왕자들은 일반적인 부자지간의 돈독한 관계가 아니라 완벽한 경쟁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늙은 왕은 미인을 차지하기 위해서 친아들인 첫째 왕자를 살해하기도 하며, 둘째 왕자는 부왕을 살해하고 장차 어머니(계모)가 될 미인과 나라(권력)를 동시에 탈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서사구조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에 등장하는 `친어머니(이오카스테)`가 `계모(실바아)`로 변형되어 있을 뿐 아들이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나라(권력)를 동시에 차지하게 된다는 『오이디푸스 왕』의 서사구조와 거의 일치한다. 또한 남매지간/모자지간의 근친상간을 범한 이들의 최후 역시 『오이디푸스 왕』의 주인공의 운명과 별반 다르지 않다. 이들은 모두 각기 다른 이유로 인해 죽음에 이르게 되는데, 이는 근친상간적 욕망에 대한 죄의식을 반영한 것으로서 단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김동리 문학의 주요한 특징 중의 하나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문학적 형상화이며, 장편 소설 『사반의 십자가』는 이러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가장 `김동리적인` 방식으로 재현된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act that Oedipus complex fixed at infant period goes through process of literary transformation or disguise was examined because of the social ethics or ethical directivity of the writer himself by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of `absence of father/husband`(the literary transformation/disguise of patricide desire and the that of incest of `brother and sister/mother and son`, which was expressed in Kim, Dong-Lee`s novel “Saban`s Cross”(1955~1957) in this study. The Oedipus complex of Kim, Dong-Lee could be considered as fundamentally originated from the abnormal family environment he experienced in his young age. His mother was already old when she gave a birth to Kim, Dong-Lee, and because she was so busy acting a role of effective patriarch, Kim, Dong-Lee (in the view point of Freud) couldn`t get enough breast milk/love/attention from his mother who was his first `objective of love`. And the father`s serious drunken act and violence on his mother, which had been continued from his infant period, worked as a factor that deepened hatred on his father and blame(or love) on his mother. Like this, the mental injury caused by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his mother at infant period and abnormal relationship of parents worked as a critical factor which made Kim, Dong-Lee`s Oedipus complex was fixed. But this Oedipus complex was not formed as an image directly but expressed in the literary transformed or disguised way in his works because of the social ethics and the ethical directivity of the writer himself. “Saban`s Cross”, the novel of Kim, Dong-Lee, could be considered as a work in which his Oedipus complex was formed as an image in the most Kim Dong-Lee` s way among his various works of expressing incest motif. In this novel, the desire of patricide was transformed as a narrative structure of `absence of father/husband(death/wander/separation)`, and the incest of mother and son was transformed as incest of brother and sister.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desires of patricide and incest are concretely presented through the process of bloody confrontation for a beauty and the state(power) of king and princes of Nabatians,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accompanying characters of the novel. These characters are set as perfect competitors not a close relationship of general father and sons. The old king kills his first prince to get a beauty, and second prince shows the image of killing his father, the king, to obtain the beauty who would be his mother(step mother) in the future and the power of the country. This narrative structure is perfectly same as that of “Oedipus The King” which has the structure that the son kills his father and takes his mother and the state(power) at same time,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natural mother(Jocasta)` in the “Oedipus The King” transformed as the `step mother(Sylvia)`. Ant the last moment of them who ommitted incest of brother and sister/mother and son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destiny of the main character of “Oedipus The King”. They all died with different reasons, and it reflects the sense of guilt for the desire on incest, and could be thought as containing the meaning of punishment. Like th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of Kim, Dong-Lee is the imagery of Oedipus complex, and the novel “Saban`s Cross” could be considered as the work in which this Oedipus complex was reproduced in the most Kim, Dong-Lee`s way.
      번역하기

      The fact that Oedipus complex fixed at infant period goes through process of literary transformation or disguise was examined because of the social ethics or ethical directivity of the writer himself by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of `absence of fat...

      The fact that Oedipus complex fixed at infant period goes through process of literary transformation or disguise was examined because of the social ethics or ethical directivity of the writer himself by analyzing narrative structure of `absence of father/husband`(the literary transformation/disguise of patricide desire and the that of incest of `brother and sister/mother and son`, which was expressed in Kim, Dong-Lee`s novel “Saban`s Cross”(1955~1957) in this study. The Oedipus complex of Kim, Dong-Lee could be considered as fundamentally originated from the abnormal family environment he experienced in his young age. His mother was already old when she gave a birth to Kim, Dong-Lee, and because she was so busy acting a role of effective patriarch, Kim, Dong-Lee (in the view point of Freud) couldn`t get enough breast milk/love/attention from his mother who was his first `objective of love`. And the father`s serious drunken act and violence on his mother, which had been continued from his infant period, worked as a factor that deepened hatred on his father and blame(or love) on his mother. Like this, the mental injury caused by the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his mother at infant period and abnormal relationship of parents worked as a critical factor which made Kim, Dong-Lee`s Oedipus complex was fixed. But this Oedipus complex was not formed as an image directly but expressed in the literary transformed or disguised way in his works because of the social ethics and the ethical directivity of the writer himself. “Saban`s Cross”, the novel of Kim, Dong-Lee, could be considered as a work in which his Oedipus complex was formed as an image in the most Kim Dong-Lee` s way among his various works of expressing incest motif. In this novel, the desire of patricide was transformed as a narrative structure of `absence of father/husband(death/wander/separation)`, and the incest of mother and son was transformed as incest of brother and sister. An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desires of patricide and incest are concretely presented through the process of bloody confrontation for a beauty and the state(power) of king and princes of Nabatians, which could be considered as accompanying characters of the novel. These characters are set as perfect competitors not a close relationship of general father and sons. The old king kills his first prince to get a beauty, and second prince shows the image of killing his father, the king, to obtain the beauty who would be his mother(step mother) in the future and the power of the country. This narrative structure is perfectly same as that of “Oedipus The King” which has the structure that the son kills his father and takes his mother and the state(power) at same time, the only difference is that the `natural mother(Jocasta)` in the “Oedipus The King” transformed as the `step mother(Sylvia)`. Ant the last moment of them who ommitted incest of brother and sister/mother and son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destiny of the main character of “Oedipus The King”. They all died with different reasons, and it reflects the sense of guilt for the desire on incest, and could be thought as containing the meaning of punishment. Like this, one of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of Kim, Dong-Lee is the imagery of Oedipus complex, and the novel “Saban`s Cross” could be considered as the work in which this Oedipus complex was reproduced in the most Kim, Dong-Lee`s w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토기" 1939

      2 박상준,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적 구원의 문제 - 김동인의 <明文> 등과 김동리의 <사반의 十字架>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9 (19): 47-86, 2006

      3 이평춘, "한국과 일본 종교문학의 특성연구 -엔도 슈사쿠와 이문열, 김동리 문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50) : 289-308, 2014

      4 S. 프로이트, "프로이트 : 그의 생애와 사상" 문예출판사 2007

      5 "천사" 1964

      6 "찔레꽃" 1939

      7 "진달래" 1958

      8 최재선, "제3 휴머니즘론(新人間主義)의 문학적 구현 -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89) : 379-399, 2005

      9 S. 프로이트, "정신분석 입문" 선영사 271-332, 1997

      10 "오누이" 1940

      1 "황토기" 1939

      2 박상준,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기독교적 구원의 문제 - 김동인의 <明文> 등과 김동리의 <사반의 十字架>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19 (19): 47-86, 2006

      3 이평춘, "한국과 일본 종교문학의 특성연구 -엔도 슈사쿠와 이문열, 김동리 문학을 중심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50) : 289-308, 2014

      4 S. 프로이트, "프로이트 : 그의 생애와 사상" 문예출판사 2007

      5 "천사" 1964

      6 "찔레꽃" 1939

      7 "진달래" 1958

      8 최재선, "제3 휴머니즘론(新人間主義)의 문학적 구현 -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를 중심으로 -" 한국어문학회 (89) : 379-399, 2005

      9 S. 프로이트, "정신분석 입문" 선영사 271-332, 1997

      10 "오누이" 1940

      11 "역마" 1948

      12 "어머니와 그 아들들" 1948

      13 김용성, "십자가의 의미-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국어문학회 20 : 339-361, 1979

      14 "심장 비 맞다" 1964

      15 "솔거" 1937

      16 윤정헌, "소설을 통해 본 기독과 반기독의 대립양상-『사반의 십자가』와 『사람의 아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 : 247-265, 1998

      17 S. 프로이트,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2004

      18 "생각이 흐르는 강물" 갑인 1985

      19 "삼국기(상편)"

      20 "산제" 1936

      21 "사반의 십자가" 1955

      22 "사랑의 샘은 곳마다 솟고" 신원문화사 1988

      23 "비오는 동산" 1962

      24 "밥과 사랑과 그리고 영원" 사사연 1985

      25 "바위" 1936

      26 S. 프로이트, "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2004

      27 "무녀도" 1936

      28 "대왕암(하편)"

      29 "달" 1947

      30 "늪" 1964

      31 "내가 영향 받은 외국작가 : 요지경 의 변" 1939

      32 S. 프로이트, "꿈의 해석 : 무의식의 세계를 열어젖힌 정신분석의 보고" 돋을새김 2007

      33 손봉주,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 소고-구조와 사상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7 : 304-324, 1992

      34 "김동리 역사소설" 지소림 1977

      35 허련화, "김동리 소설의 근친상간 모티프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34) : 159-185, 2011

      36 남금희,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수용 양상" 영남신학대학교 26 : 241-269, 2006

      37 "김동리 선집" 어문각 1972

      38 신춘자, "기독교의 구원과 『사반의 십자가』연구"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 : 106-125, 2000

      39 유인순, "광야의 소외와 별빛-‘사반의 십자가’의 구조와 성서의 변형 수용-" 한국어교육학회 85 : 141-166, 1994

      40 李圭泰, "金東里 文學에서의 新人間主義" 경북대 교육대학원 1988

      41 崔宅均, "金東理 小說 硏究 : 초월성과 현실성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1999

      42 임금복, "‘예수’와 ‘사반’, ‘예수’와 ‘유다’-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와 박상륭의 「아겔다마」 비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5) : 301-324, 2004

      43 이동하, "<사반의 십자가>에서 예수의 부활을 다룬 방식" 한국현대문학회 (11) : 11-46, 200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