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지식장에 나타난 `신체성` 개념과 시적 전유 - 정현종과 마종기 시의 `몸과 사물`의 문제를 중심으로 = Concept of Physicality in Intellectual Society in the 1960`s and Poetic Appropriation - Focused on the matter of `Body and Object` in the poems of Hyeon-jong Jeong and Jong-gi M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9219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60년대 정현종과 마종기 시의 `몸`과 `사물`의 시적 방법이 개별 시인의 특성이나, 60년대적 모더니티의 한 양상이라는 관점을 넘어 당대 지식장 및 비평장의 교차지점에서 창출된 복합적 미의식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학적 휴머니즘과 구조주의라는 세계적 이론이 `여행하는 이론`으로서 한국의 지식장 및 비평장, 시창작과정에 어떻게 개입하고 탈맥락화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당대 `과학적 휴머니즘`은 정신/육체로 이분화된 근대적 인간을 극복할 수 있는 생물학적 신체성 개념을 제시하고, 생물학적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파악하며, 인간을 현실적·경험적 존재로 인정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60년대 후반 구조주의는 변증법적 진보주의에 대한 반발과 의식과잉형의 근대적 인간을 비판하고, 사물과 인간의 평등한 세계와 독립한 사물의 자율적 구조를 제시하며, 푸코의 `인간의 죽음` 개념으로 특징화되었다. 60년대 비평장의 변동은 두 여행하는 이론에 의해 재배치되었으며, 재배치의 과정에 김주연의 비평이 개입되었다. 특히 김주연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를 전거로 들어 `자기세계`라는 세대의식을 구성하면서 이들 시를 특권화하였다. 김주연은 이들 시를 `자그마한 의지의 인간`으로서의 평가하면서 60년대 다른 시들에서 포착되는 의식과잉이나 낙관적 현실인식을 오류로 파악하였다. 그럼에도 김주연의 세대론적 욕망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를 60년대적 문학이념으로만 묶어냈다는 한계를 보인다. 정현종과 마종기의 시에 나타나는 사물간의 역동적 관계성, 사물과 인간의 평등함, 사소한 주체들의 자발적 겸손과 비권력적 의지, 죽음의 사물화를 통한 생명의 재발견과 같은 미덕은 배제되었다. 배제의 과정은 누락이라기보다 배제를 활용함으로써 선택의 의미를 특권화하는 효과를 낳았다. 그가 누락한 미학적 가치는 60년대의 자유주의적 개인의 의미화를 특권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주목할 것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텍스트에서 풍부하게 읽어낼 수 있는 몸과 사물의 미학에 있다. 정현종의 시에 나타나는 몸을 갖는 사물들의 독립적이고 평등한 관계와 무경계적 침투, 확장된 생명에 대한 무심한 환호, 사물들의 살을 통한 윤리적 관계성과 시의 정치성, 윤리적이면서 육화된 사랑의 문제들. 마종기의 시텍스트에 나타나는 생명정치를 벗어나는 비권력적 의지, 사물화된 죽음을 통한 역설적 생명성, 생물학적 몸을 통한 일상화된 죽음의 미학들. 이는 지식장과 비평장이 누락한 긍정적 가치를 보충하거나 또는 초월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정현종과 마종기의 시적 전유는 여행하는 이론에 대한 수신자의 현실적 욕망을 재현하면서도 한계를 보충하거나 뚫고 나가며, 자기의 개성적 미학으로 창조되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60년대 정현종과 마종기 시의 `몸`과 `사물`의 시적 방법이 개별 시인의 특성이나, 60년대적 모더니티의 한 양상이라는 관점을 넘어 당대 지식장 및 비평장의 교차지점에서 창출된 ...

      이 논문은 60년대 정현종과 마종기 시의 `몸`과 `사물`의 시적 방법이 개별 시인의 특성이나, 60년대적 모더니티의 한 양상이라는 관점을 넘어 당대 지식장 및 비평장의 교차지점에서 창출된 복합적 미의식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학적 휴머니즘과 구조주의라는 세계적 이론이 `여행하는 이론`으로서 한국의 지식장 및 비평장, 시창작과정에 어떻게 개입하고 탈맥락화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 연구이다. 당대 `과학적 휴머니즘`은 정신/육체로 이분화된 근대적 인간을 극복할 수 있는 생물학적 신체성 개념을 제시하고, 생물학적 인간을 윤리적 존재로 파악하며, 인간을 현실적·경험적 존재로 인정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60년대 후반 구조주의는 변증법적 진보주의에 대한 반발과 의식과잉형의 근대적 인간을 비판하고, 사물과 인간의 평등한 세계와 독립한 사물의 자율적 구조를 제시하며, 푸코의 `인간의 죽음` 개념으로 특징화되었다. 60년대 비평장의 변동은 두 여행하는 이론에 의해 재배치되었으며, 재배치의 과정에 김주연의 비평이 개입되었다. 특히 김주연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를 전거로 들어 `자기세계`라는 세대의식을 구성하면서 이들 시를 특권화하였다. 김주연은 이들 시를 `자그마한 의지의 인간`으로서의 평가하면서 60년대 다른 시들에서 포착되는 의식과잉이나 낙관적 현실인식을 오류로 파악하였다. 그럼에도 김주연의 세대론적 욕망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를 60년대적 문학이념으로만 묶어냈다는 한계를 보인다. 정현종과 마종기의 시에 나타나는 사물간의 역동적 관계성, 사물과 인간의 평등함, 사소한 주체들의 자발적 겸손과 비권력적 의지, 죽음의 사물화를 통한 생명의 재발견과 같은 미덕은 배제되었다. 배제의 과정은 누락이라기보다 배제를 활용함으로써 선택의 의미를 특권화하는 효과를 낳았다. 그가 누락한 미학적 가치는 60년대의 자유주의적 개인의 의미화를 특권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주목할 것은 정현종과 마종기 시텍스트에서 풍부하게 읽어낼 수 있는 몸과 사물의 미학에 있다. 정현종의 시에 나타나는 몸을 갖는 사물들의 독립적이고 평등한 관계와 무경계적 침투, 확장된 생명에 대한 무심한 환호, 사물들의 살을 통한 윤리적 관계성과 시의 정치성, 윤리적이면서 육화된 사랑의 문제들. 마종기의 시텍스트에 나타나는 생명정치를 벗어나는 비권력적 의지, 사물화된 죽음을 통한 역설적 생명성, 생물학적 몸을 통한 일상화된 죽음의 미학들. 이는 지식장과 비평장이 누락한 긍정적 가치를 보충하거나 또는 초월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정현종과 마종기의 시적 전유는 여행하는 이론에 대한 수신자의 현실적 욕망을 재현하면서도 한계를 보충하거나 뚫고 나가며, 자기의 개성적 미학으로 창조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pproached the poetic methods of `Body` and `Object` in Hyeon-jong Jeong`s and Jong-gi Ma`s poems with the view that they are the compositive aesthetic consciousness created in the intersection of the intellectuals and critics of the time beyond the perspective that they a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oets or an aspect of the modernity of the 1960`s. Also,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the global theory such as the scientific humanism and structuralism of the 1960`s intervene in Korean intellectual society and critical society as the `Travelling Theories` and decontextualized. The issue of `Body and Object` in Jeong`s and Ma`s poems is not their unique concept but was related with the `Scientific Humanism` and `Structuralism` that led the changes in the intellectual society in the 1960`s. The `Scientific Humanism` of the time introduced the concept of biological physicality to overcome modern man who is disdifferentiated into mind and body, understood biological man as an ethical being, and acknowledged man as realistic and experiential being. The structuralism in the late 1960`s criticized the resistance toward dialectical progressivism and hyperconscious modern man, introduced the world where objects and man are equal alongside the autonomous structure of independent objects, and was characterized by Foucault`s `Death of Man.` The change in the critical world in the 1960`s was relocated by the two travelling theories, the process of which generated the Hyeon Kim and Ju-yeon Kim style of criticism. Particularly, Ju-yeon Kim privileged Jeong`s and Ma`s poems by forming a generational consciousness called `Self-World` by referring to their poems. Ju-yeon Kim evaluated their poems as the `Man of Little Will` and understood the hyperconsciousness or optimistic awareness of reality sensed in other poems of the 1960`s as errors. In summary, the issue of body and object of Jeong and Ma is deemed to be under complicated circumstances of creation while having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e moder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1960`s and taking a specific position at the cross point of intellectual society and critical society of the time. Nonetheless, Ju-yeon Kim`s generational desire has the limits for it only used the literary ideology of the 1960`s to bind Jeong`s and Ma`s poems. The virtues appearing in Jeong`s and Ma`s poems such a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equality between object and man, autonomous modesty and non-authoritative will of trivial entities, and rediscovery of life through the objectification of death. The process of exclusion resulted in the privileging of the meaning of choice by using exclusion rather than in the omission. The aesthetic value that she omitted was to emboss the signification of liberalist individual in the 1960`s. What is significant, however, is the aesthetics of body and object abundantly sensed in the poetic text of Jeong`s and Ma`s poems; the independent and equal relationships between embodied objects in Jeong`s poems and their boundaryless infiltration, indifferent cheer toward extended lives, ethical relativity and political nature of poems through the skin of objects, and ethical and incarnated issues of love as well as non-authoritative will deviating from the bio-politics appearing in Ma`s poetic texts, paradoxial life through objectified death, and aesthetics of death generalized through biological body. They are deemed to supplement or transcend the positive values that intellectuals and critics have missed out. Jeong`s and Ma`s poetic appropriation supplements or breaks through the limit while rekindling the realistic desire of the receiver for traveling theories and was created by their own individual aesthetics.
      번역하기

      This study approached the poetic methods of `Body` and `Object` in Hyeon-jong Jeong`s and Jong-gi Ma`s poems with the view that they are the compositive aesthetic consciousness created in the intersection of the intellectuals and critics of the time b...

      This study approached the poetic methods of `Body` and `Object` in Hyeon-jong Jeong`s and Jong-gi Ma`s poems with the view that they are the compositive aesthetic consciousness created in the intersection of the intellectuals and critics of the time beyond the perspective that they a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oets or an aspect of the modernity of the 1960`s. Also,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the global theory such as the scientific humanism and structuralism of the 1960`s intervene in Korean intellectual society and critical society as the `Travelling Theories` and decontextualized. The issue of `Body and Object` in Jeong`s and Ma`s poems is not their unique concept but was related with the `Scientific Humanism` and `Structuralism` that led the changes in the intellectual society in the 1960`s. The `Scientific Humanism` of the time introduced the concept of biological physicality to overcome modern man who is disdifferentiated into mind and body, understood biological man as an ethical being, and acknowledged man as realistic and experiential being. The structuralism in the late 1960`s criticized the resistance toward dialectical progressivism and hyperconscious modern man, introduced the world where objects and man are equal alongside the autonomous structure of independent objects, and was characterized by Foucault`s `Death of Man.` The change in the critical world in the 1960`s was relocated by the two travelling theories, the process of which generated the Hyeon Kim and Ju-yeon Kim style of criticism. Particularly, Ju-yeon Kim privileged Jeong`s and Ma`s poems by forming a generational consciousness called `Self-World` by referring to their poems. Ju-yeon Kim evaluated their poems as the `Man of Little Will` and understood the hyperconsciousness or optimistic awareness of reality sensed in other poems of the 1960`s as errors. In summary, the issue of body and object of Jeong and Ma is deemed to be under complicated circumstances of creation while having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e modernistic characteristics of the 1960`s and taking a specific position at the cross point of intellectual society and critical society of the time. Nonetheless, Ju-yeon Kim`s generational desire has the limits for it only used the literary ideology of the 1960`s to bind Jeong`s and Ma`s poems. The virtues appearing in Jeong`s and Ma`s poems such a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equality between object and man, autonomous modesty and non-authoritative will of trivial entities, and rediscovery of life through the objectification of death. The process of exclusion resulted in the privileging of the meaning of choice by using exclusion rather than in the omission. The aesthetic value that she omitted was to emboss the signification of liberalist individual in the 1960`s. What is significant, however, is the aesthetics of body and object abundantly sensed in the poetic text of Jeong`s and Ma`s poems; the independent and equal relationships between embodied objects in Jeong`s poems and their boundaryless infiltration, indifferent cheer toward extended lives, ethical relativity and political nature of poems through the skin of objects, and ethical and incarnated issues of love as well as non-authoritative will deviating from the bio-politics appearing in Ma`s poetic texts, paradoxial life through objectified death, and aesthetics of death generalized through biological body. They are deemed to supplement or transcend the positive values that intellectuals and critics have missed out. Jeong`s and Ma`s poetic appropriation supplements or breaks through the limit while rekindling the realistic desire of the receiver for traveling theories and was created by their own individual aesthe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병욱, "휴머니즘의 계보" 1959

      2 콜리스, "휴머니슴" 정음사 101-, 1968

      3 페리 르페블, "현대의 인간이해" 대한기독교서회 38-, 1971

      4 최재희, "현대세계의 휴머니즘" (153) : 1966

      5 유종호, "한국문학에 있어서의 휴머니즘-그 의장에의 의혹" 1962

      6 "프랑스를 휩쓰는 구조주의의 질베르·듀랑 박사의 회견기"

      7 이종진, "초휴머니즘의 이해" 1962

      8 "참다운 「휴매니즘」에 구조주의의 방향"

      9 엄경희, "정현종의 근원적 상상력으로서 나르시시즘" 한국근대문학회 2 : 262-290, 2000

      10 서진영, "정현종 초기시의 지평구조와 의미양상" 한국현대문학회 (16) : 493-516, 2004

      1 안병욱, "휴머니즘의 계보" 1959

      2 콜리스, "휴머니슴" 정음사 101-, 1968

      3 페리 르페블, "현대의 인간이해" 대한기독교서회 38-, 1971

      4 최재희, "현대세계의 휴머니즘" (153) : 1966

      5 유종호, "한국문학에 있어서의 휴머니즘-그 의장에의 의혹" 1962

      6 "프랑스를 휩쓰는 구조주의의 질베르·듀랑 박사의 회견기"

      7 이종진, "초휴머니즘의 이해" 1962

      8 "참다운 「휴매니즘」에 구조주의의 방향"

      9 엄경희, "정현종의 근원적 상상력으로서 나르시시즘" 한국근대문학회 2 : 262-290, 2000

      10 서진영, "정현종 초기시의 지평구조와 의미양상" 한국현대문학회 (16) : 493-516, 2004

      11 정현종, "정현종 시전집 1" 문학과 지성사 1999

      12 오문석, "정현종 시론 연구" 겨레어문학회 34 : 303-322, 2005

      13 박정희, "정현종 시 연구 : 공기 이미지를 중심으로" 연세대 2009

      14 이광호, "정현종 깊이 읽기" 문학과 지성사 31-32, 1999

      15 이어령, "전후문학의 새 물결" 신구문화사 139-, 1973

      16 미셸 푸코, "임상의학의 탄생" 인간사랑 163-, 1996

      17 기용연, "인명의 과학" 1958

      18 김붕구, "인간적인 것" 1959

      19 이종진, "원자력시대의 휴머니즘" 1962

      20 "연구실에서 10분간"

      21 김주연, "새시대 문학의 성립" 262-264, 1969

      22 정현종, "새봄에 붙이는 젊은 세대의 편지(완), 대통령 각하"

      23 김현, "상상력과 인간/시인을 찾아서" 문학과지성사 458-, 1991

      24 서도식, "사회적인 것의 병리로서의 사물화: 근대성에 대한 사회철학적 진단" 철학연구회 66 (66): 187-211, 2004

      25 김주연, "사계 2" 가림출판사 55-, 1967

      26 모리스 메를로-퐁티,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동문선 198-213, 2004

      27 마종기, "마종기 시전집" 문학과 지성사 1999

      28 김제욱, "마종기 시 연구" 중앙대 2011

      29 정과리, "마종기 깊이 읽기" 문학과지성사 23-, 1999

      30 프랑수아 퀴세, "루이뷔통이 된 푸코?" 난장 2012

      31 김현, "구조주의의 확산" 169-, 1968

      32 "구조주의의 장래"

      33 이휘영, "구조주의의 발단과 문학에 미친 영향" 1968

      34 박성창, "구조주의와 한국문학연구" 프랑스문화예술학회 8 : 117-141, 2003

      35 김미란, "‘시민-소시민 논쟁’의 정치학" 한국문학연구학회 (29) : 255-286, 2006

      36 김주연, "60년대 시인의식" 261-262, 1968

      37 황필홍, "50년대까지 영미철학의 수용과 용어의 번역"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4 : 147-170, 2003

      38 서은주, "1970년대 문학사회학의 담론 지형" 한국문학연구학회 (45) : 475-511, 2011

      39 김종우, "1960년대 프랑스에서의 구조주의 논쟁에 대하여" 프랑스학회 (40) : 97-121, 2007

      40 유창민, "1960년대 신진시인의 세대의식 연구" 건국대 2013

      41 김건우, "1960년대 담론 환경의 변화와 지식인 통제의 조건에 대하여" 대동문화연구원 (74) : 135-153, 2011

      42 임지연, "1950-60년대 현대시의 신체성 연구 : 김수영과 전봉건을 중심으로" 건국대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3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국제어문
      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76 1.3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