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NS(폴인러브)가 경찰 정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NS(Polinlove) on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18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열린 정부라는 정부정책 기조와 관련하여 최근 소셜 미디어 서비스(SNS)의 활용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에 대한 활용정도, 활용 동기, 그리고 효과성이 경...

      열린 정부라는 정부정책 기조와 관련하여 최근 소셜 미디어 서비스(SNS)의 활용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에 대한 활용정도, 활용 동기, 그리고 효과성이 경찰의 정당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관계에 있는 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경찰의 선행활동과 같은 경찰홍보 영역에 대한 활용정도가 높을수록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제고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에 대한 활용 동기가 높아질수록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제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가 효과적이라고 인식될수록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제고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된 3개의 결과 중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의 효과성 측면이 가장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그간 경찰에 대한 정당성 인식을 제고하는 기존의 선행요인과는 차별적인 요인인 SNS와의 영향관계를 파악했다는 점에서 추후 경찰의 SNS의 운영방향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반면, 표본선정에서의 일부 한계, 분석방법이 횡단분석이라는 점, 마지막으로 경찰에서 운영하고 있는 SNS의 추후 운영방향에 대한 인식 등을 고려하지 못한 점 등이 한계로 남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 was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al basis as open government. So, this study is to confirmed how use of degree, motiv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affected police legitimacy....

      Recently,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 was emphasized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al basis as open government. So, this study is to confirmed how use of degree, motiv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network service(SNS) affected police legitimacy. As a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irst, use of degree of SNS (+)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 to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Second, use of motivation of SNS (+)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 to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Third, use of effectiveness of SNS (+)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factor that influence to perception of police legitimacy. Lastly, use of effectiveness of SNS was specially most influence factor than other factors. This study have contribution how SNS influenced police legitimacy that have not been studied before. But, this study have several limitation. First, sampling method was convenience sampling. Second, the method of analysis was the cross-section analysis. Lastly, police SNS faile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병훈, "한국 지역주민의 법준수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경찰 정당성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349-376, 2015

      2 이영섭, "집회시위 현장의 경찰 정당성 연구 - 의무경찰을 대상으로 -" 경찰대학 15 (15): 127-158, 2015

      3 윤우석, "지역주민들의 경찰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10 (10): 53-78, 2013

      4 김한균, "증거기반 치안정책과 경찰기능의 발전 동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19) : 2014

      5 김민경,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 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9 (19): 1-37, 2015

      6 허진희, "소셜 미디어 활용에 따른 정부신뢰와 효능감의 변화: 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4 (24): 267-293, 2014

      7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0

      8 박종승, "경찰활동의 효과적인 SN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87-112, 2013

      9 윤병훈, "경찰활동의 정당성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경찰과의 접촉 경험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10 이재영, "경찰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통합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 윤병훈, "한국 지역주민의 법준수 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경찰 정당성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학회 14 (14): 349-376, 2015

      2 이영섭, "집회시위 현장의 경찰 정당성 연구 - 의무경찰을 대상으로 -" 경찰대학 15 (15): 127-158, 2015

      3 윤우석, "지역주민들의 경찰정당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10 (10): 53-78, 2013

      4 김한균, "증거기반 치안정책과 경찰기능의 발전 동향"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19) : 2014

      5 김민경,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 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9 (19): 1-37, 2015

      6 허진희, "소셜 미디어 활용에 따른 정부신뢰와 효능감의 변화: 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4 (24): 267-293, 2014

      7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방법" 21세기사 2010

      8 박종승, "경찰활동의 효과적인 SN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2 (12): 87-112, 2013

      9 윤병훈, "경찰활동의 정당성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 경찰과의 접촉 경험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5

      10 이재영, "경찰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사회 수준에서의 통합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1 이영섭, "경찰 정당성 이론에 대한 분석" 경찰대학 17 (17): 95-125, 2017

      12 Hinds, L., "Youth, police legitimacy and informal contact" 24 (24): 2009

      13 Crump, J., "What are the police doing on Twitter? Social media, the police and the public" 3 (3): 2011

      14 Welch, E. W., "Virtual interactivity between government and citizens : The Chicago Police Department's citizen ICAM application demonstration case" 22 (22): 2005

      15 Sunshine, J.,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itimacy in shaping public support for policing" 37 (37): 2003

      16 Tyler, T. R., "The psychology of legitimacy : a relational perspective on voluntary deference to authorities" 1 (1): 1997

      17 Beetham, D., "The Legitimation of Power" Palgrave Macmillan 1991

      18 Meijer, A., "Social media strategies: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merican police departments" 30 (30): 2013

      19 Ruddell, R., "Social media and policing : matching the message to the audience" 12 (12): 2013

      20 G. H. M., "Social Media Use in Local Government : Linkage of Technology, Task, and Organizational Context" 30 (30): 2013

      2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STAT 2016

      22 Wu, Y., "Race, social bonds, and juvenile attitudes toward the police" 32 (32): 2015

      23 Cao, L., "Race, community contex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15 (15): 1996

      24 Hinds, L., "Public satisfaction with police : Using procedural justice to improve police legitimacy" 40 (40): 2007

      25 Tyler, T. R., "Procedural justice, legitimacy, and the effective rule of law" 30 : 2003

      26 Hough, M., "Procedural Justice, Trust, and Institutional Legitimacy" 4 (4): 2010

      27 Gau, J. M., "Procedural Justice and Police Legitimacy : A Test of Measurement and Structure" 39 (39): 2014

      28 Tankebe, J., "Policing, procedural fairness and public behaviour : a review and critique" 11 (11): 2009

      29 Elsbach, K. D., "Managing organizational legitimacy in the California cattle industry : The construction and effectiveness of verbal accounts" 39 : 1994

      30 Tyler, T., "Legitimacy and procedural justice: A new element of police leadership"

      31 Suchman, M. C., "Legitimacy : strategic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20 (20): 1995

      32 Sargeant, E., "Keeping it in the family :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people’s attitudes to police" 51 (51): 2015

      33 Myhill, A., "It’s a fair cop? Police Legitimacy, Public cooperation, and Crime Reduction"

      34 Hohl, K., "Influencing trust and confidence in the London Metropolitan Police : Results from an experiment testing the effect of leaflet drops on public opinion" 50 (50): 2010

      35 Gau, J. M., "Examining macro-level impacts on procedural justice and police legitimacy" 40 (40): 2012

      36 Jackson, J.,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The Meaning and Measurement of Trust and Confidence in Policing Across Diverse Social Groups in London" 4 : 2010

      37 Rinehart Kochel, T., "Constructing hot spots policing : Unexamined consequences for disadvantaged populations and for police legitimacy" 22 (22): 2011

      38 Mossberger, K., "Connecting citizens and local governments? Social media and interactivity in major U.S. cities" 30 (30):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5-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Police Policie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3 0.83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 0.78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