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 추계 = The Estimation of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427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농업인력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농업생산부문과 농업관련산업에 펼요한 인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농업생산직의 취업자수는 농업통계연보 등과 같이 직접적인 통계 수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에 관한 통계는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추계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산업간 투입관계와 산업별 취엽자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자료로 적합한 것이 산업연관표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산업별로추계하는데 있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은 후방관련산업의 경우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동일하나, 전방관련산업은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서로 달라야 한다. i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i부문에서 농업에 투입액)/(i부문의 총산출액)×(i부문의 취업자수)로 추계할 수 있으며, 전방관련산업에 있어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부문을 제외한 일반부문 j부문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농업에서 j부문의 투입액/j부문의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을 제외한 중간투입액)×(j부문의 취업자수) ,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하는데 필요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의 취업자수는 (j부문에 투입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총생산액) x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액/(j부문중간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투입액)}×(「도소매, 운수 및 보관」 취업자수)으로 추계할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농업생산부문의 취업자수는 1,791,607명,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355,484명으로 이중 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101,390명, 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254,094명으로 농산엽의 농업관련 종사자수는 2,147,091명이었다.
      산업연관분석은 각 산업 간의 관계가 무한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농업과 직접 적인 전·후방농업관련산업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간접적인 전·후방관련산업의 취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번역하기

      농업인력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농업생산부문과 농업관련산업에 펼요한 인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농업생산직의 취업자수는 농업통계연보 등과 같이 직접적인 통계 수...

      농업인력 개발을 하는데 있어서 농업생산부문과 농업관련산업에 펼요한 인력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 농업생산직의 취업자수는 농업통계연보 등과 같이 직접적인 통계 수치를 이용할 수 있으나,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에 관한 통계는 작성하지 않기 때문에 추계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산업간 투입관계와 산업별 취엽자수가 필요한데, 이러한 자료로 적합한 것이 산업연관표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산업별로추계하는데 있다.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농업관련 취업자수를 추계하는 방법은 후방관련산업의 경우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동일하나, 전방관련산업은 일반부문과 「도소매」, 「운송 및 보관」 부문의 추계방법이 서로 달라야 한다. i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i부문에서 농업에 투입액)/(i부문의 총산출액)×(i부문의 취업자수)로 추계할 수 있으며, 전방관련산업에 있어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부문을 제외한 일반부문 j부문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농업에서 j부문의 투입액/j부문의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을 제외한 중간투입액)×(j부문의 취업자수) ,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하는데 필요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의 취업자수는 (j부문에 투입한 도소매, 운수 및 보관 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 총생산액) x {농업에서 j부문에 투입액/(j부문중간투입액- 「도소매, 운수 및 보관」투입액)}×(「도소매, 운수 및 보관」 취업자수)으로 추계할 수 있다.
      2003년 기준으로 농업생산부문의 취업자수는 1,791,607명, 농업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355,484명으로 이중 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101,390명, 전방관련산업의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254,094명으로 농산엽의 농업관련 종사자수는 2,147,091명이었다.
      산업연관분석은 각 산업 간의 관계가 무한히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연구에서는 농업과 직접 적인 전·후방농업관련산업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간접적인 전·후방관련산업의 취업자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농업관련 취업자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gricultural product industry is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input industries(backward) in agriculture and post-farm gate industries(forward). We call agriculture-related industry a agribusiness.
      When we develop manpower in agriculture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also that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e can us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by using agricultural statistic books. But we must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stimation method and to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by using Input-Output Tables.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contained in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but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not contained in post-farm gate industries. (Total intermediate inpu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i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should be (Value of input from i industry to agriculture)/(Gross Domestic Output of i input industries)×(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of i input industrie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post-farm gate industries, in case of general industry tha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is excluded in total industry, should be (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excep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industry) and in case of 「Transport and storage」 should be (in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o j industry)/(Gross Domestic Out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he number of employed industry of agriculture was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as 355,484, that in input 101,390, that in post-farm gate industry was 254,094.
      번역하기

      Agricultural product industry is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input industries(backward) in agriculture and post-farm gate industries(forward). We call agriculture-related industry a agribusiness. When we develop manpower in agriculture we should c...

      Agricultural product industry is related with other industries, input industries(backward) in agriculture and post-farm gate industries(forward). We call agriculture-related industry a agribusiness.
      When we develop manpower in agriculture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also that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e can us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agriculture by using agricultural statistic books. But we must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estimation method and to estimate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by using Input-Output Tables.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contained in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but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sector is not contained in post-farm gate industries. (Total intermediate input)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i input industries in agriculture should be (Value of input from i industry to agriculture)/(Gross Domestic Output of i input industries)×(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of i input industries).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post-farm gate industries, in case of general industry tha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is excluded in total industry, should be (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except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j industry) and in case of 「Transport and storage」 should be (in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o j industry)/(Gross Domestic Output of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input of agriculture to j industry)/(Total intermediate input of j industry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the number of employed person in 「Wholesale and retail trade」 and 「Transport and
      storage」)
      The number of employed industry of agriculture was person related to agriculture in agribusiness was 355,484, that in input 101,390, that in post-farm gate industry was 254,09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진근, "새농업경제학" 도서출판 개신 2007

      2 김완배, "농업관련산업의 통계지표 개발" 서울대 농업개발연구소 2000

      3 이명기, "농업관련산업의 새로운 분류기준 및 부가가치.종사자수 추계" 서울대학교 2001

      4 신인식, "농업관련산업론" 선진문화사 1995

      5 宮崎 宏外, "食糧․農業の關聯産業" 農文協 1990

      6 한국은행, "2003 산업연관표"

      1 성진근, "새농업경제학" 도서출판 개신 2007

      2 김완배, "농업관련산업의 통계지표 개발" 서울대 농업개발연구소 2000

      3 이명기, "농업관련산업의 새로운 분류기준 및 부가가치.종사자수 추계" 서울대학교 2001

      4 신인식, "농업관련산업론" 선진문화사 1995

      5 宮崎 宏外, "食糧․農業の關聯産業" 農文協 1990

      6 한국은행, "2003 산업연관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