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체크리스트 개발 = Development of Online Class Analysis Checklist based 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8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 및 디지털교과서 분석 준거와 일반 교과 수업 분석 준거를 기반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문항의 실현 가능성을 파악한 후 온라인 수업 제작 및 진행 측면에서 실현 가능성이 없는 문항은 삭제하였다. 표상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에서는 시각 자료의 크기 조정, 언어 자료의 속도나 크기 조정 등에 대한 문항들을 삭제하였다. 행동과 표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에서는 학습 내용이나 결과물을 표현할 때 물리적 환경 조절이나 도구 제공과 관련된 문항들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언어적 상호작용이나 추가적인 교육 콘텐츠 제공과 관련된 문항은 내용을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에서는 개인별 어려움, 정서, 동기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문항들을 삭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온라인 수업 분석 도구는 세 개의 영역과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표상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은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행동과 표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은 11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은 8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항목에 구체적인 예시가 작성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좋은 온라인 콘텐츠를 선정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도구를 현장 교육 전문가가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보완점을 찾아 정교화하는 현장 적용 연구가 더해지면, 모든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온라인 수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 및 디지털교과서 분석 준거와 일반 교과 수업 ...

      이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제안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 및 디지털교과서 분석 준거와 일반 교과 수업 분석 준거를 기반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문항의 실현 가능성을 파악한 후 온라인 수업 제작 및 진행 측면에서 실현 가능성이 없는 문항은 삭제하였다. 표상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에서는 시각 자료의 크기 조정, 언어 자료의 속도나 크기 조정 등에 대한 문항들을 삭제하였다. 행동과 표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에서는 학습 내용이나 결과물을 표현할 때 물리적 환경 조절이나 도구 제공과 관련된 문항들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언어적 상호작용이나 추가적인 교육 콘텐츠 제공과 관련된 문항은 내용을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에서는 개인별 어려움, 정서, 동기에 맞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문항들을 삭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온라인 수업 분석 도구는 세 개의 영역과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으로, 표상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은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행동과 표현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은 11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에 대한 다양한 방식의 수단 제공 영역은 8개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항목에 구체적인 예시가 작성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거나 좋은 온라인 콘텐츠를 선정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온라인 수업 분석 도구를 현장 교육 전문가가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보완점을 찾아 정교화하는 현장 적용 연구가 더해지면, 모든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온라인 수업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진 ; 김용욱, "한국형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분석 체크리스트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425-457, 2017

      2 강승모 ; 임경원 ; 강성구 ; 황인선 ; 김주희,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3 임정훈 ; 김미화 ; 이세현,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281-311, 2021

      4 안부금,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29, 2014

      5 옥민욱 ; 최나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 연구의 효과성 및 연구 질 논의: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적 능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9-40, 2018

      6 손지영 ; 차현진,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의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 분석 및 개발과정의 개선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213-240, 2019

      7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8 박윤정 ; 서효정 ; 이주원,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국내 보편적 학습설계(UDL)중재연구 분석: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3 (23): 313-339, 2022

      9 CAS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2.2[graphic organizer]"

      10 Hodges, C. B., "The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remote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1 김남진 ; 김용욱, "한국형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수업분석 체크리스트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425-457, 2017

      2 강승모 ; 임경원 ; 강성구 ; 황인선 ; 김주희, "코로나19 이후 중등 특수학급 특수교사의 원격수업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미"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75-704, 2020

      3 임정훈 ; 김미화 ; 이세현, "코로나 일상 시대의 대학 비대면 수업을 위한 온라인 수업설계 모형 개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7 (27): 281-311, 2021

      4 안부금,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5-29, 2014

      5 옥민욱 ; 최나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국내 중재 연구의 효과성 및 연구 질 논의: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사회적 능력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9-40, 2018

      6 손지영 ; 차현진,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의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 분석 및 개발과정의 개선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53 (53): 213-240, 2019

      7 도재우,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153-173, 2020

      8 박윤정 ; 서효정 ; 이주원, "교실 수업 개선을 위한 국내 보편적 학습설계(UDL)중재연구 분석: 교수⋅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3 (23): 313-339, 2022

      9 CAS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2.2[graphic organizer]"

      10 Hodges, C. B., "The difference between emergency remote teaching and online learning"

      11 Park, J.,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eaching observation protocol(KTOP)for improving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13 (13): 259-, 2014

      12 Rose, D., "Teaching every student in the digital ag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2

      13 Chiasson, K., "Faculty perceptions of moving a face-to-face course to online instruction" 12 (12): 321-240, 2015

      14 Kim, K. 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ass Analysis Tools to Support Special Educatio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3

      15 Kim, M. J., "Developing a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Checklist for Guiding the Development of YouTube Educational Content for Science Museums" Seoul University 2022

      16 Larson, D. K., "Comparing student performance : Online versus blended versus face-to-face" 13 (13): 31-42, 2009

      17 Sussman, S., "Compar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face-to-face and online course delivery" 13 (13): 6-11, 2010

      18 김세현 ; 구민수 ; 이소정 ; 김회동, "COVID­19에 따른 예비 과학교사들의 원격 수업실연 경험 분석" 교육연구소 27 (27): 565-587, 2021

      19 민혜리 ; 김경이 ; 남민우, "COVID-19 상황에서 대학 온라인수업 우수 사례 연구" 인문사회 21 12 (12): 599-614, 2021

      20 Rose, D. H., "A policy reader i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Harvard Education Press 5-18, 2009

      21 Kim, N. J.,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Class wit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Daegu University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