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준오, "현대시의 방법론과 모더니티" 새미 135-157, 2009
2 이혜원, "현대시 운율과 형식의 미학" 서정시학 33-50, 2015
3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49-50, 1986
4 유성호,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국학자료원 9-52, 1997
5 김용직, "한국 현대시와 문화전통" 푸른사상 15-32, 2016
6 김윤태, "한국 현대시와 리얼리티" 소명출판 70-92, 2001
7 정한모, "한국 현대시 요람" 박영사 9-16, 1994
8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7-, 1983
9 유성호,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하늘연못 76-107, 1999
10 김영민, "민족문학과 근대성" 문학과지성사 337-364, 1995
1 김준오, "현대시의 방법론과 모더니티" 새미 135-157, 2009
2 이혜원, "현대시 운율과 형식의 미학" 서정시학 33-50, 2015
3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49-50, 1986
4 유성호, "한국 현대시의 형상과 논리" 국학자료원 9-52, 1997
5 김용직, "한국 현대시와 문화전통" 푸른사상 15-32, 2016
6 김윤태, "한국 현대시와 리얼리티" 소명출판 70-92, 2001
7 정한모, "한국 현대시 요람" 박영사 9-16, 1994
8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17-, 1983
9 유성호, "상징의 숲을 가로질러" 하늘연못 76-107, 1999
10 김영민, "민족문학과 근대성" 문학과지성사 337-364, 1995
11 김춘식, "미적 근대성과 동인지 문단" 소명출판사 17-95, 2003
12 김학성, "근대논의 문제와 18세기 우리 시가" 도서출판이회 28 : 8-26, 2010
13 黃鍾淵, "韓國文學의 近代와 反近代 : 1930年代 後半期 文學의 傳統主義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2
14 오세영, "20세기한국시연구" 새문사 25-26,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