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부가가치 수출 및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에 관한 이민의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민과 무역 간의 내생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부가가치 수출 및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에 관한 이민의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민과 무역 간의 내생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단...
본 연구는 국가 수준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부가가치 수출 및 글로벌 가치사슬(GVC) 참여에 관한 이민의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이민과 무역 간의 내생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단계 고정효과 모형을 채택하였으며 비자정책을 도구변수로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이민은 한국의 국내 부가가치 수출과 GVC 참여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의 부가가치 수출에 대한 영향은 이민자의 출신 국가의 소득 수준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저소득 국가군에서 주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효과는 주로 저소득 국가에서 한국의 수출에 내재된 국내 부가가치 증가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GVC의 전방연계를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주로 제조업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을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immigration on Korea’s value-added exports and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GVCs) using a country-level panel dataset. To address the endogeneity between immigration and trade, this study employs a fix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immigration on Korea’s value-added exports and participation in Global Value Chains (GVCs) using a country-level panel dataset. To address the endogeneity between immigration and trade, this study employs a fixed effects two-stage model and uses visa policy as an instrumental variable. The results reveal that immigration significantly enhances Korea’s domestic value-added exports and GVC involvement, highlighting the crucial role of immigrants in the nation's trade dynamics. The impact of immigration on value-added exports varies with the economic status of immigrants' home countries, with significant effects observed primarily in low-income countries. This effect is mainly driven by the increase in Korea's domestic value-added embedded in exports from these low-income countries, demonstrating a forward linkage. Additionally, the study finds that the coefficient for the industry sector is larger, providing insights into sector-specific dynamics.
우리나라 기업의 자동화 기술 도입이 고용량과 임금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지방자치단체 출산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 현금정책과 비현금정책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