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활용한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선순환구조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03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학생 단편영화는 양적인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상위권이며, 질적으로도 다양한 영화제에서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생 단편영화의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그 대부분은 ...

      한국의 학생 단편영화는 양적인 측면에서 세계적으로 상위권이며, 질적으로도 다양한 영화제에서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학생 단편영화의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그 대부분은 한 두 번의 시사회 이후 그대로 사장되고, 업계 진입을 위한 포트폴리오로서의 실질적인 역할도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는 학생 단편영화가 고유의 교육적, 공공적, 산업적 가치를 가지고 있음을 생각하면, 우리 사회와 영화 산업계의 적지 않은 손실이다.
      한편 미디어 3.0시대의 도래와 함께, 최근 IPTV와 OTT기반의 디지털 온라인 시장이 급속히 활성화되고 있다. 또한 미디어 플랫폼으로서 모바일에서의 영상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더불어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의 등장으로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영상콘텐츠의 제작, 소비 패러다임에도 일대 전환기가 도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적 현실에 기반한 학생단편영화의 개념과 현황, 다양한 가치들에 기반한 활성화 필요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과의 적극적 결합을 통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해보고, 극장과 TV와 같은 기존의 레거시형 미디어 플랫폼과는 달리 새롭게 등장한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에서는 학생 단편영화가 나름의 경쟁력과 활용성을 가질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결론적으로 학생 단편영화가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롭게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새로운 개념의 콘텐츠로서의 선순환 구조확보 가능성도 모색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학생 단편영화의 산업적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발굴하고 활용함으로써, 신진 인력발굴의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는 방향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기존 학생 단편영화 제작 시스템의 고질적인 한계와 문제점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적 해결 방향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ort films by students in Korea are, in respect to quantity, ranked among the highest worldwide, and in quality, they have been accumulating successful results in various film festivals. However, if examined more deeply inside, most of those short fi...

      Short films by students in Korea are, in respect to quantity, ranked among the highest worldwide, and in quality, they have been accumulating successful results in various film festivals. However, if examined more deeply inside, most of those short films by students are forgotten after one or two film premieres, and the films’ practical roles as portfolios for entrance into the film industry are not very significant in reality. In this aspect, if one considers the value of short films by students in terms of education, publicity and industry, this is a significant loss to the society and film industry.
      On the other hand, with the upcoming era of media 3.0, IPTV and OTT-based digital online markets have been in rapid development, and demands for platforms for the media content on mobile devices are ever increasing. With the emergence of the generation of digital-natives, paradigms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media content based on new media image platforms are going through a period of rapid transi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paper looks into the needs to promote short films by students, based on the films’ concept, current status, and various values that fit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This paper also considered the industry-wise possibilities (via active convergence with the new media image platforms) of those short films by students, which have not received enough attention in comparison to other films up until now, and also studied that, together with the new media images, those short films have competitive edge and usability unlike those traditional legacy media platforms such as film and TV. In conclusion, short films by students could be vitalized afresh with new media image platforms, and it appears that it is also possible to come up with new ways to secure the positive feedback system for content of a brand new concept.
      More importantly, by discovering and utilizing short films created by students as valuable content in the industry, this paper could function as a breakthrough to consider the efficient discovery of new labor forces. In addition, this paper presents that it could bring a paradigm shift and serve as a turning point in solving the existing system’s persistent limitations and issues of exposing short films produced by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2. 학생 단편영화의 현황과 활성화 필요성
      • 3. 영화 디지털 온라인 시장의 성장과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의 특성
      • 4. 뉴미디어 영상콘텐츠로서 학생 단편영화의 활성화 가능성과 의의
      • 5. 나오며
      • Ⅰ. 들어가며
      • 2. 학생 단편영화의 현황과 활성화 필요성
      • 3. 영화 디지털 온라인 시장의 성장과 뉴미디어 영상 플랫폼의 특성
      • 4. 뉴미디어 영상콘텐츠로서 학생 단편영화의 활성화 가능성과 의의
      • 5. 나오며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어일선, "효율적인 단편영화 제작교육 시스템의 마련" 2008

      2 "퍼니콘"

      3 이종무, "케이블TV VOD, 시민 영상콘텐츠 활성화 나선다"

      4 "유에포"

      5 영화진흥위원회, "영화 온라인 시장 구조분석" KOFIC 2016

      6 "씨네허브"

      7 "씨네21"

      8 김형지, "스마트폰 이용이 기존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대체 가설을 중심으로" (재)에스비에스문화재단 11 (11): 88-119, 2013

      9 "법률 제13987호,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10 정한석, "몰락의 시대를 거쳐, 단편은 진화한다" 19 : 2016

      1 어일선, "효율적인 단편영화 제작교육 시스템의 마련" 2008

      2 "퍼니콘"

      3 이종무, "케이블TV VOD, 시민 영상콘텐츠 활성화 나선다"

      4 "유에포"

      5 영화진흥위원회, "영화 온라인 시장 구조분석" KOFIC 2016

      6 "씨네허브"

      7 "씨네21"

      8 김형지, "스마트폰 이용이 기존 미디어 이용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대체 가설을 중심으로" (재)에스비에스문화재단 11 (11): 88-119, 2013

      9 "법률 제13987호,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10 정한석, "몰락의 시대를 거쳐, 단편은 진화한다" 19 : 2016

      11 커넥팅랩, "모바일트렌드2016" 미래의 창 2015

      12 박철, "디지털 융합 환경에 따른 대학영화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영화학회 (61) : 183-204, 2014

      13 이승환, "대학 영화교육의 방향성 모색 - 초 · 중등학교에서의 교육도구로써의 영화 활용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영상미디어센터 (22) : 449-472, 2015

      14 함준서,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간 학문적 영상디자인 커리큘럼에 대한 연구-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한 새로운 교과목의 제안-" 한국디자인지식학회 (31) : 261-272, 2014

      1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16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미래창조과학부/방송통신위원회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43 0.65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