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분리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전극과 용액간에 직류 및 교류를 설치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어하기 피한 전도성 막을 연구개발ㆍ응용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40005683
Kim, Sun-Il (Dept. of Chem. Eng., College of Eng., Chosun Univ.)
1998
English
505
학술저널
1-7(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분리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전극과 용액간에 직류 및 교류를 설치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어하기 피한 전도성 막을 연구개발ㆍ응용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본 연구의 목적은 분리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전극과 용액간에 직류 및 교류를 설치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제어하기 피한 전도성 막을 연구개발ㆍ응용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모델오염물질(단백질)을 적용전위에 따라 전도성막, 즉 고분자막 및 금속 피복막에 응용한 결과, 종전의 고분자막에 비하여 막의 내부 및 표면에 오염이 훨씬 덜 되었으며, 통과속도도 보다 더 향상되었다. 둘째, 특히 금속 피복 전도성 정밀여과막의 경우 적용전위에 따른 투과속도가 3.5배∼5배 정도 증가되었으며, 십자흐름의 한외여과막의 경우도 높은 투과속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모델 오염물질(단백질)을 적용전위에 따른 전도성 막에 응용한 결과, 최종의 투과속도는 3배 이상으로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熔湯攪拌法에 의한 Al_(2)O_(3(p))/LXA複合材料 제조에 관한 연구
에폭시수지의 개질을 위한 아민말단 반응성 올리고머의 합성과 특성(Ⅰ)
가공성이 향상된 하이드라자이드 및 옥사다이아졸 고분자의 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