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어휘 오용에 대한 모어화자의 평가_prepri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8060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평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학습목표가 언어전달 능력의 양성에 있어, 언어 전달성의 영향을 고려해서 오용을 평가할 경우에 필요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언어적 직관에 따른 객관적 기준을 구하는 것이다. 이는 일본어 교육의 오용분석에서 비교적 소홀히 했던 오용의 비중(error gravity)을 구하는 오용평가(error evaluation)로, 언어 교육에 직접 응용을 지향하는 실천적 접근이다. 지금까지는 오용의 유형, 오용의 원인, 오용의 빈도를 조사하는 오용분석이 주로 행해졌으며, 오용 평가의 연구는 아직 초보 단계로 주로 문법 오용을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종종 나타나는 여러 유형의 어휘 오용을 대상으로 비중에 따른 階層(hierarchy)을 설정해 본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평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학습목표가 언어전달 능력의 양성에 있어, 언어 전달성의 영향을 고려해서 오용을 평가...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에 대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평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학습목표가 언어전달 능력의 양성에 있어, 언어 전달성의 영향을 고려해서 오용을 평가할 경우에 필요한, 일본어 모어화자의 언어적 직관에 따른 객관적 기준을 구하는 것이다. 이는 일본어 교육의 오용분석에서 비교적 소홀히 했던 오용의 비중(error gravity)을 구하는 오용평가(error evaluation)로, 언어 교육에 직접 응용을 지향하는 실천적 접근이다. 지금까지는 오용의 유형, 오용의 원인, 오용의 빈도를 조사하는 오용분석이 주로 행해졌으며, 오용 평가의 연구는 아직 초보 단계로 주로 문법 오용을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게 종종 나타나는 여러 유형의 어휘 오용을 대상으로 비중에 따른 階層(hierarchy)을 설정해 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稿では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語彙の誤りに對して, 日本語母語話者の評價を調べた.その主な結果は次のとおりである.語彙の誤りはすべて同等ではなく,それぞれの重みを持っている.なお,語彙の誤りは種類別,Ⅰ[連體詞, 形容動詞], Ⅱ[熟語, ダ, 品詞の取り違え, 形容詞, 動詞, 接續詞, 不定語, 數量詞, 副詞], Ⅲ[コソア, 表現, 名詞], Ⅳ[補助動詞, 慣用的な動詞句]の順で嚴しく評價されている.そして,誤りの種類別の重みと學習者の誤答率は一定の關係がなく, 難しい語彙の項目であるほど,言語傳達上で大きな支障を與えるとは言えない.
      번역하기

      本稿では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語彙の誤りに對して, 日本語母語話者の評價を調べた.その主な結果は次のとおりである.語彙の誤りはすべて同等ではなく,それぞれの重みを持っている...

      本稿では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語彙の誤りに對して, 日本語母語話者の評價を調べた.その主な結果は次のとおりである.語彙の誤りはすべて同等ではなく,それぞれの重みを持っている.なお,語彙の誤りは種類別,Ⅰ[連體詞, 形容動詞], Ⅱ[熟語, ダ, 品詞の取り違え, 形容詞, 動詞, 接續詞, 不定語, 數量詞, 副詞], Ⅲ[コソア, 表現, 名詞], Ⅳ[補助動詞, 慣用的な動詞句]の順で嚴しく評價されている.そして,誤りの種類別の重みと學習者の誤答率は一定の關係がなく, 難しい語彙の項目であるほど,言語傳達上で大きな支障を與えるとは言えない.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주초록의 내용은 본문의 들어가는 말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정보원의 정보는 본 논문이 실제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주초록의 내용은 본문의 들어가는 말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정보원의 정보는 본 논문이 실제 게재된 학술지의 정보입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들어가는 말 1
      2.연구 방법 2
      2.1 조사Ⅰ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 정정 2
      2.1.1 참여자 2
      2.1.2 조사 재료 2
      2.1.3 조사 순서 2
      2.1.4 분석 방법 5
      2.2 조사Ⅱ : 일본인 모어화자의 오용 정정 및 평가 5
      2.2.1 조사 참여자 6
      2.2.2 조사 재료 6
      2.2.3 조사 순서 6
      2.2.4 분석 방법 6
      3. 조사Ⅰ에 대한 결과 및 고찰 6
      3.1 어휘 오용 종류별 정정의 정답률 6
      3.2 문제별 어휘 오용 정정의 정답률 7
      3.3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 종류별 정정의 유형수 7
      3.4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문제별 어휘 오용 정정의 유형수 8
      4. 조사Ⅱ에 대한 결과 및 고찰 8
      4.1 어휘 오용 종류별 비중 8
      4.1.1 어휘 오용 종류별 비중 8
      4.1.2 오용의 종류별, 비중과 오답률의 순위 비교 9
      4.2 문제별 어휘 오용의 비중 14
      4.3 일본어 모어화자의 어휘 오용 종류별 인정률 14
      4.4 일본어 모어화자의 문제별 어휘 오용의 인정률 14
      4.5 일본어 모어화자의 어휘 오용 종류별 정정의 유형수 15
      4.6 일본어 모어화자의 문제별 어휘 오용 정정 유형수 15
      5.맺는 말 15
      【참고문헌】 17
      번역하기

      1.들어가는 말 1 2.연구 방법 2 2.1 조사Ⅰ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 정정 2 2.1.1 참여자 2 2.1.2 조사 재료 2 2.1.3 조사 순서 2 2.1.4 분석 방법 5 2.2 조사Ⅱ : 일본인 ...

      1.들어가는 말 1
      2.연구 방법 2
      2.1 조사Ⅰ :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 정정 2
      2.1.1 참여자 2
      2.1.2 조사 재료 2
      2.1.3 조사 순서 2
      2.1.4 분석 방법 5
      2.2 조사Ⅱ : 일본인 모어화자의 오용 정정 및 평가 5
      2.2.1 조사 참여자 6
      2.2.2 조사 재료 6
      2.2.3 조사 순서 6
      2.2.4 분석 방법 6
      3. 조사Ⅰ에 대한 결과 및 고찰 6
      3.1 어휘 오용 종류별 정정의 정답률 6
      3.2 문제별 어휘 오용 정정의 정답률 7
      3.3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휘 오용 종류별 정정의 유형수 7
      3.4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문제별 어휘 오용 정정의 유형수 8
      4. 조사Ⅱ에 대한 결과 및 고찰 8
      4.1 어휘 오용 종류별 비중 8
      4.1.1 어휘 오용 종류별 비중 8
      4.1.2 오용의 종류별, 비중과 오답률의 순위 비교 9
      4.2 문제별 어휘 오용의 비중 14
      4.3 일본어 모어화자의 어휘 오용 종류별 인정률 14
      4.4 일본어 모어화자의 문제별 어휘 오용의 인정률 14
      4.5 일본어 모어화자의 어휘 오용 종류별 정정의 유형수 15
      4.6 일본어 모어화자의 문제별 어휘 오용 정정 유형수 15
      5.맺는 말 15
      【참고문헌】 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