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난독증 인식차이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 교사와 학부모집단을 중심으로 - = A Survey on Perception Gaps in Dyslexia: Focusing on Teachers and Parents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192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yslexia is an obstacle for reading that should be found and treated in the early stage. Although dyslexia is not a common symptom appeared many people, they are alienated group which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and support. Ye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low awareness and interests on dyslexia. This study aims to survey on measuring the awareness of par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who should sensitively distinguish dyslexia among children in its full-swing time, and to find their perception gaps. In order to gain result,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par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resided in metropolis,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village, with the total number of 623 people, and analyzed their answers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earch shows that awareness on dyslexia depends on their jobs, residence, gender, knowledge on dyslexia, and experience in encountering a person in dyslexia.
      번역하기

      Dyslexia is an obstacle for reading that should be found and treated in the early stage. Although dyslexia is not a common symptom appeared many people, they are alienated group which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and support. Yet the government...

      Dyslexia is an obstacle for reading that should be found and treated in the early stage. Although dyslexia is not a common symptom appeared many people, they are alienated group which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and support. Ye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low awareness and interests on dyslexia. This study aims to survey on measuring the awareness of par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who should sensitively distinguish dyslexia among children in its full-swing time, and to find their perception gaps. In order to gain result, this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paren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kindergarten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resided in metropolis,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and farming and fishing village, with the total number of 623 people, and analyzed their answers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earch shows that awareness on dyslexia depends on their jobs, residence, gender, knowledge on dyslexia, and experience in encountering a person in dyslexi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경란, "우리 아이 공부가 안되는 진짜 이유 난독증" 라온북 2014

      2 김민정, "발달성 난독증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8 (8): 259-278, 2009

      3 박세근, "박세근 칼럼"

      4 한윤옥,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한국도서관협회 2008

      5 Sally Shaywitz, M.D., "난독증의 진단과 치료" 하나의학사 2011

      6 장영건, "난독증 학습장애자를 위한 보조기술" 32 (32): 315-, 2005

      7 이윤녕, "난독증 집중취재"

      8 김윤옥,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99-128, 2014

      9 김선호, "공공도서관의 난독인 정보봉사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183-206, 2009

      10 김윤옥, "‘양가’집 도련님: 읽기장애(난독증) 사례연구" 교육과학사 2014

      1 서경란, "우리 아이 공부가 안되는 진짜 이유 난독증" 라온북 2014

      2 김민정, "발달성 난독증에 대한 신경학적 연구 고찰" 특수교육연구소 8 (8): 259-278, 2009

      3 박세근, "박세근 칼럼"

      4 한윤옥,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한국도서관협회 2008

      5 Sally Shaywitz, M.D., "난독증의 진단과 치료" 하나의학사 2011

      6 장영건, "난독증 학습장애자를 위한 보조기술" 32 (32): 315-, 2005

      7 이윤녕, "난독증 집중취재"

      8 김윤옥,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11 (11): 99-128, 2014

      9 김선호, "공공도서관의 난독인 정보봉사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183-206, 2009

      10 김윤옥, "‘양가’집 도련님: 읽기장애(난독증) 사례연구" 교육과학사 2014

      11 Wiley Online Library, "What Do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USA and the UK Know about Dyslexia?"

      12 The International Dyslexia Association, "Dyslexia Basics"

      13 김선호, "DFL(Dyslexia Friendly Library)을 위한 서비스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6 (46): 201-221,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7 0.95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