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명중,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의 동향과 과제" 8 (8): 64-, 2010
2 김원태, "일본에서의 가정법원의 역할과 기능" 한국가족법학회 22 (22): 67-104, 2008
3 배금자, "이혼소송에서의 문제점" (118) : 42-, 2003
4 신권철, "성년후견제도의 도입과 법원의 역할" 사법발전재단 1 (1): 3-38, 2010
5 사법지원연구재단, "성년후견제도 도입이 소송절차에 미치는 영향" 393-, 2007
6 성년후견제도연구회, "성년후견제도" 사법연구지원재단 2007
7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 도입을 위한 민법개정안의 검토" 한국가족법학회 24 (24): 31-74, 2010
8 "사법연감, 2007, 2010" 2007
9 김형석, "민법 개정안에 따른 성년후견법제" 한국가족법학회 24 (24): 111-166, 2010
10 김상일, "독일의 [가사사건 및 비송사건 절차법(FamFG)] 개관"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3 (13): 622-651, 2009
1 김명중, "일본의 성년후견제도의 동향과 과제" 8 (8): 64-, 2010
2 김원태, "일본에서의 가정법원의 역할과 기능" 한국가족법학회 22 (22): 67-104, 2008
3 배금자, "이혼소송에서의 문제점" (118) : 42-, 2003
4 신권철, "성년후견제도의 도입과 법원의 역할" 사법발전재단 1 (1): 3-38, 2010
5 사법지원연구재단, "성년후견제도 도입이 소송절차에 미치는 영향" 393-, 2007
6 성년후견제도연구회, "성년후견제도" 사법연구지원재단 2007
7 박인환, "새로운 성년후견제 도입을 위한 민법개정안의 검토" 한국가족법학회 24 (24): 31-74, 2010
8 "사법연감, 2007, 2010" 2007
9 김형석, "민법 개정안에 따른 성년후견법제" 한국가족법학회 24 (24): 111-166, 2010
10 김상일, "독일의 [가사사건 및 비송사건 절차법(FamFG)] 개관"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3 (13): 622-651, 2009
11 김상용, "독일가정법원의 기능과 역할" 한국가족법학회 22 (22): 105-150, 2008
12 반흥식, "독일 가사 및 비송사건절차법의 내용과 구조 – 비송사건을 중심으로 –"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5 (15): 44-81, 2011
13 양정자, "가정법원의 현황과 발전방향" (14) : 711-, 2000
14 김상규, "가정법원의 장기적 발전방향-인적․물적 구성을 중심으로" (10) : 749-, 2005
15 김상규, "가정법원의 새로운 역할과 운영개선의 필요성" 112 : 211-, 2007
16 이호윤, "가정법원의 발전방향에 관하여" 한국민사소송법학회 11 (11): 11-, 2007
17 이유정, "가정법원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가족법학회 22 (22): 1-66, 2008
18 문준필, "가사소송절차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가족법학회 18 (18): 259-288, 2004
19 박동섭, "가사소송의 몇 가지 문제점" (246) : 1997
20 선재성, "가사소송에서의 신모델의 향후 과제" 106 : 293-, 2005
21 윤진수, "美國 家庭法院의 現況과 改善 論議" 한국가족법학회 22 (22): 151-204, 2008
22 ジムニ―, "編譯(社)日本社會福祉士會, アメリカ成年後見ハンドブック" 勁草書房 2002
23 赤沼康弘, "日本の成年後見における最近の動向" 日本成年後見法學會 (5) : 87-,
24 Bumiller, "Freiwillige Gerichtsbarkeit" C.H.Beck 1990
25 Manfred Helbich, "Freiwillige Gerichtsbarkeit" Vahlen 1990
26 Bumiller, "FamFG Freiwillige Gerichtsbarkeit" C.H.Beck 2009
27 Friednethal, "Civil Procedure, 4th" 2005
28 Mary Kay Kane, "Civil Procedure in a nutshell(5th)"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