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경록, "임진전쟁시기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특징"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4) : 159-197, 2020
2 최효식, "임진왜란기 영남의병연구" 국학자료원 2003
3 계승범, "임진왜란 초기 倡義 명분과 조선왕조의 正體性" 인문과학연구소 (47) : 165-192, 2016
4 이욱,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한국국학진흥원 (26) : 75-107, 2015
5 우인수, "임란의병의 힘, 영천 호수 정세아 종가" 예문서원 2013
6 구본욱, "대구 유림의 임진란 창의와 팔공산 회맹" 26 : 43-88, 2015
7 李惟弘, "艮庭集"
8 鄭世雅, "湖叟實記"
9 柳汀, "松壕緪集"
10 崔孝軾, "壬辰倭亂 중 永川城 탈환전투의 고찰" 大邱史學會 47 : 53-100, 1994
1 김경록, "임진전쟁시기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특징"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4) : 159-197, 2020
2 최효식, "임진왜란기 영남의병연구" 국학자료원 2003
3 계승범, "임진왜란 초기 倡義 명분과 조선왕조의 正體性" 인문과학연구소 (47) : 165-192, 2016
4 이욱,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한국국학진흥원 (26) : 75-107, 2015
5 우인수, "임란의병의 힘, 영천 호수 정세아 종가" 예문서원 2013
6 구본욱, "대구 유림의 임진란 창의와 팔공산 회맹" 26 : 43-88, 2015
7 李惟弘, "艮庭集"
8 鄭世雅, "湖叟實記"
9 柳汀, "松壕緪集"
10 崔孝軾, "壬辰倭亂 중 永川城 탈환전투의 고찰" 大邱史學會 47 : 53-100,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