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湖叟 鄭世雅의 詩 硏究 = A Study on Ho soo(湖叟) Jeong Se-ah(鄭世雅)'s Poe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focuses o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Se-ah's poems. The poems of Ho soo were written after the age of 56 except for two. Jeong Se-ah's poems, written in old age, are divided into two main themes, around the Imran(壬亂). During the period around the Imran, there are a string of poems about vigor and loyalty. Poetry, which shows loyalty and vigor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Ho soo's reality, and is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 of loyalty's introverted spirit. Later poetry trends are mainly about the Confucianism spirit and harmony with nature, which is life as a scholar.
      In addition, human affection and life's perspective form the center of poetic tendency. Based on the space background of the pavilion, it shows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province along with the cultivation of its own, focusing on the nature. The other side of Ho soo's poem is a depiction of human affection. Not only does the human chastity concentrate on showing the deep affection of compassion, but also the simple and gentle gaze of the old scholar penetrates the entire poem as it unfolds calmly in the neighborhood or farewell.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s o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Se-ah's poems. The poems of Ho soo were written after the age of 56 except for two. Jeong Se-ah's poems, written in old age, are divided into two main themes, around the Imran(壬亂). Durin...

      This study focuses on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Jeong Se-ah's poems. The poems of Ho soo were written after the age of 56 except for two. Jeong Se-ah's poems, written in old age, are divided into two main themes, around the Imran(壬亂). During the period around the Imran, there are a string of poems about vigor and loyalty. Poetry, which shows loyalty and vigor i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Ho soo's reality, and is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 of loyalty's introverted spirit. Later poetry trends are mainly about the Confucianism spirit and harmony with nature, which is life as a scholar.
      In addition, human affection and life's perspective form the center of poetic tendency. Based on the space background of the pavilion, it shows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province along with the cultivation of its own, focusing on the nature. The other side of Ho soo's poem is a depiction of human affection. Not only does the human chastity concentrate on showing the deep affection of compassion, but also the simple and gentle gaze of the old scholar penetrates the entire poem as it unfolds calmly in the neighborhood or farewel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고는 정세아의 『호수선생실기』에 수록된 21제 23수를 대상으로 노년에 나타난 시적 특징이 무엇인지 고구했다. 호수의 시는 2수를 제외하고는 56세 이후에 지은 것이다. 노년에 지은 호수 시는 임란을 전후로 해서 주제적 측면에서 양분되는 경향을 보인다. 임란 발발을 전후로 한 시기에는 豪氣와 義氣를 다룬 시들이 한 줄기를 이룬다. 임란 의병장에서 물러난 이후의 시 경향은 유자로서의 삶인 도학적 기풍, 자연과의 和樂이 주를 이룬다. 또한 인간적 情理, 삶의 관조 등이 시적 경향의 주조를 이루고 있다.
      충정과 의기를 표방한 시에는 호수의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危難의 현실인식은 自己忠實이라는 충의 내향적 정신과 결부되어 충정의 호기와 실천이란 시적 특징으로 나타났다. 임란 의병장에서 벗어난 호수 시는 자연과 和樂하고 수도하며 참공부를 실천하는 도학적 면모를 보여준다. 누정을 공간배경으로 자연과의 和樂를 중심으로 修身行道과 安貧樂道라는 실천적 도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호수 시의 다른 일면은 인간적 정회를 읊은 것이다. 인간적 情懷에는 연민의 깊은 정을 객관적 상관물을 들어 농축할 뿐만 아니라 이웃이나 전별에서는 시종 담담하게 전개하여 老儒의 소박하고 온유한 시선을 시 전체에 관통했다.
      번역하기

      본고는 정세아의 『호수선생실기』에 수록된 21제 23수를 대상으로 노년에 나타난 시적 특징이 무엇인지 고구했다. 호수의 시는 2수를 제외하고는 56세 이후에 지은 것이다. 노년에 지은 호수...

      본고는 정세아의 『호수선생실기』에 수록된 21제 23수를 대상으로 노년에 나타난 시적 특징이 무엇인지 고구했다. 호수의 시는 2수를 제외하고는 56세 이후에 지은 것이다. 노년에 지은 호수 시는 임란을 전후로 해서 주제적 측면에서 양분되는 경향을 보인다. 임란 발발을 전후로 한 시기에는 豪氣와 義氣를 다룬 시들이 한 줄기를 이룬다. 임란 의병장에서 물러난 이후의 시 경향은 유자로서의 삶인 도학적 기풍, 자연과의 和樂이 주를 이룬다. 또한 인간적 情理, 삶의 관조 등이 시적 경향의 주조를 이루고 있다.
      충정과 의기를 표방한 시에는 호수의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危難의 현실인식은 自己忠實이라는 충의 내향적 정신과 결부되어 충정의 호기와 실천이란 시적 특징으로 나타났다. 임란 의병장에서 벗어난 호수 시는 자연과 和樂하고 수도하며 참공부를 실천하는 도학적 면모를 보여준다. 누정을 공간배경으로 자연과의 和樂를 중심으로 修身行道과 安貧樂道라는 실천적 도학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호수 시의 다른 일면은 인간적 정회를 읊은 것이다. 인간적 情懷에는 연민의 깊은 정을 객관적 상관물을 들어 농축할 뿐만 아니라 이웃이나 전별에서는 시종 담담하게 전개하여 老儒의 소박하고 온유한 시선을 시 전체에 관통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록, "임진전쟁시기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특징"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4) : 159-197, 2020

      2 최효식, "임진왜란기 영남의병연구" 국학자료원 2003

      3 계승범, "임진왜란 초기 倡義 명분과 조선왕조의 正體性" 인문과학연구소 (47) : 165-192, 2016

      4 이욱,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한국국학진흥원 (26) : 75-107, 2015

      5 우인수, "임란의병의 힘, 영천 호수 정세아 종가" 예문서원 2013

      6 구본욱, "대구 유림의 임진란 창의와 팔공산 회맹" 26 : 43-88, 2015

      7 李惟弘, "艮庭集"

      8 鄭世雅, "湖叟實記"

      9 柳汀, "松壕緪集"

      10 崔孝軾, "壬辰倭亂 중 永川城 탈환전투의 고찰" 大邱史學會 47 : 53-100, 1994

      1 김경록, "임진전쟁시기 영천성수복전투의 전개과정과 군사사적 특징"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4) : 159-197, 2020

      2 최효식, "임진왜란기 영남의병연구" 국학자료원 2003

      3 계승범, "임진왜란 초기 倡義 명분과 조선왕조의 正體性" 인문과학연구소 (47) : 165-192, 2016

      4 이욱, "임란초기 영천지역 의병 항쟁과 영천성 복성復城" 한국국학진흥원 (26) : 75-107, 2015

      5 우인수, "임란의병의 힘, 영천 호수 정세아 종가" 예문서원 2013

      6 구본욱, "대구 유림의 임진란 창의와 팔공산 회맹" 26 : 43-88, 2015

      7 李惟弘, "艮庭集"

      8 鄭世雅, "湖叟實記"

      9 柳汀, "松壕緪集"

      10 崔孝軾, "壬辰倭亂 중 永川城 탈환전투의 고찰" 大邱史學會 47 : 53-100,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0.93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