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보행로 유형화를 통한 보행로 서비스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강남구를 대상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528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HCM suggested the criterion of LOS for the pedestrian walkway as the one simple standard. Therefore, current LOS estimation process can not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considering attributes by walkway type due to the lack of the diversity of criteria.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bdivided pedestrian walkway into the several categories and suggested criteria for pedestrian LOS by walkway type. This paper divided walkway into the 4 categories: pedestrian only walkway, shared space, social path and transfer area. For collecting data related to pedestrian behavior, we conducted field survey in Gangnam-gu,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pedestrian volume, walk speed and density were distinguished by the walkway type.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S threshold for the pedestrian only walkway is similar to the existing KHCM’s criteria. Threshold of shared space and social path are more strict than the KHCM’s standard. This is because shared space and social path have lots of interrupting and dangerous components than pedestrian only walkwa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e threshold for pedestrian LOS by type of walkway objectively.
      번역하기

      KHCM suggested the criterion of LOS for the pedestrian walkway as the one simple standard. Therefore, current LOS estimation process can not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considering attributes by walkway type due to the lack of the diversity of crit...

      KHCM suggested the criterion of LOS for the pedestrian walkway as the one simple standard. Therefore, current LOS estimation process can not provide a comprehensive review considering attributes by walkway type due to the lack of the diversity of criteria.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bdivided pedestrian walkway into the several categories and suggested criteria for pedestrian LOS by walkway type. This paper divided walkway into the 4 categories: pedestrian only walkway, shared space, social path and transfer area. For collecting data related to pedestrian behavior, we conducted field survey in Gangnam-gu, Seoul. The results showed that pedestrian volume, walk speed and density were distinguished by the walkway type.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S threshold for the pedestrian only walkway is similar to the existing KHCM’s criteria. Threshold of shared space and social path are more strict than the KHCM’s standard. This is because shared space and social path have lots of interrupting and dangerous components than pedestrian only walkway.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e threshold for pedestrian LOS by type of walkway obj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환, "퍼지근사추론을 이용한 보행 서비스수준 산정" 대한토목학회 26 (26): 241-250, 2006

      2 강희찬, "지체를 바탕으로 한 도로 횡단 보행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2012

      3 김건영, "주거지역 이면도로의 보행행태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2 (22): 197-205, 2002

      4 김대진,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공단 2012

      5 임진경,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대한토목학회 24 (24): 723-728, 2004

      6 김성규, "설문조사 및DGPS를 이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산정방법평가" 양재동 aT 센터 2011

      7 김용석, "보행자와 자동차를 동시에 고려한 도시 가로의 균형적 계획 및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4 (24): 55-64, 2006

      8 김응철,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 개선 연구" 대한교통학회 33 (33): 29-39, 2015

      9 김정현, "보행자 시설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20 (20): 149-156, 2002

      10 임정실, "보행자 도로의 용량산정" 대한교통학회 20 (20): 91-99, 2002

      1 김경환, "퍼지근사추론을 이용한 보행 서비스수준 산정" 대한토목학회 26 (26): 241-250, 2006

      2 강희찬, "지체를 바탕으로 한 도로 횡단 보행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2012

      3 김건영, "주거지역 이면도로의 보행행태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 22 (22): 197-205, 2002

      4 김대진,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도로교통공단 2012

      5 임진경, "유형별 보행자도로의 서비스수준 평가기준 설정" 대한토목학회 24 (24): 723-728, 2004

      6 김성규, "설문조사 및DGPS를 이용한 보행자도로 서비스수준 산정방법평가" 양재동 aT 센터 2011

      7 김용석, "보행자와 자동차를 동시에 고려한 도시 가로의 균형적 계획 및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4 (24): 55-64, 2006

      8 김응철, "보행자도로 서비스 수준 분석방법 개선 연구" 대한교통학회 33 (33): 29-39, 2015

      9 김정현, "보행자 시설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20 (20): 149-156, 2002

      10 임정실, "보행자 도로의 용량산정" 대한교통학회 20 (20): 91-99, 2002

      11 김숙희, "보행로 유형별 보행환경 평가척도 분석" 부산대학교 2012

      12 장성용, "도시철도 환승역의 환승보행시설의 서비스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13 (13): 339-348, 2010

      13 김태호, "네트워크분석기법을 이용한 보행자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211-222, 2009

      14 김경환, "국내 보행 서비스수준의 평가기준" 17 (17): 31-46, 1999

      15 신해미,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신도시 보행자 서비스 질 평가지표 개발 - 분당 신도시를 대상으로 -" 서울연구원 10 (10): 183-196, 2009

      16 최성택, "Social path를 반영한 보행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33 (33): 50-60, 2015

      17 Sheila, Sarkar,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fort Needs in Urban Walkways in Major Activity Centers" Washington Marriott Wardman Park 2003

      18 Soren, U. J., "Pedestrian and Bicycle Level of Service at Intersections, Roundabouts and other Crossings" Washington Marriott Wardman Park 2013

      19 Frank, J., "Pedestrian Level of Service Based on Trip Quality"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0

      20 Bruce, W. L., "Modeling The Roadside Walking Environment:A Pedestrian Level of Servic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7

      21 Muraleetharan, T., "Method to Determine Pedestrian Level-of-Service for Crosswalks at Urban Intersections" 6 : 127-136,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6-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Planner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4 1.3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