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세시대 베긴공동체 여성들의 선교적 삶과 사역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109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세에 잘못된 교권에 저항하면서 말씀에 순종하기 위한 많은 여성들이 선교를 위해서 그리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서 어떤 선교적 삶을 살고 사역을 하였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 번째로 중세시대에 여성들이 전승된 여성관 으로 인해 매우 부정적인 대우를 받으며 가부장적 권위 아래서 가사를 돌보는 일에 전념하게 됨으로써 그 존재감이 매우 미약했음을 연구하였 다. 두 번째로는 12세기 이전세대로부터 전승되어온 여성들에 대한 교권의 견해를 살펴보고, 라테란 공의회 이전과 이후의 변화된 여성들 의 사역의 부흥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는 중세시대 여성사 역의 주요 기구인 베긴공동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베긴공동체 신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신비주의와 신앙적 소명을 통해 발전해가는 여성사 역을 연구하였다. 네 번째로 베긴공동체 여성들이 한 선교사역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통전적 관점에서 기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현대 여성들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모색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세에 잘못된 교권에 저항하면서 말씀에 순종하기 위한 많은 여성들이 선교를 위해서 그리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서 어떤 선교적 삶을 살고 사역을 하였는지 밝히는...

      본 연구는 중세에 잘못된 교권에 저항하면서 말씀에 순종하기 위한 많은 여성들이 선교를 위해서 그리고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서 어떤 선교적 삶을 살고 사역을 하였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 번째로 중세시대에 여성들이 전승된 여성관 으로 인해 매우 부정적인 대우를 받으며 가부장적 권위 아래서 가사를 돌보는 일에 전념하게 됨으로써 그 존재감이 매우 미약했음을 연구하였 다. 두 번째로는 12세기 이전세대로부터 전승되어온 여성들에 대한 교권의 견해를 살펴보고, 라테란 공의회 이전과 이후의 변화된 여성들 의 사역의 부흥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세 번째로는 중세시대 여성사 역의 주요 기구인 베긴공동체에 대해 연구하였다. 베긴공동체 신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신비주의와 신앙적 소명을 통해 발전해가는 여성사 역을 연구하였다. 네 번째로 베긴공동체 여성들이 한 선교사역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통전적 관점에서 기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현대 여성들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간략하게 모색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life and ministry were led by women in the Middle Ages, who resisted the wrong teaching and obeyed the Word, for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Therefore, this study is the first to study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Middle Ages and their presence. Secondly, before the 12th century, we looked at the views of the teaching authority on women that had been hand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Thirdly, we studied the Beguine Community, the main body of women’s ministry in the Middle Ages, and fourthly, the mission’s ministry these women were identified. The writer studied why such a pattern appeared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life and ministry were led by women in the Middle Ages, who resisted the wrong teaching and obeyed the Word, for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Therefore, this study is the first to study the pos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life and ministry were led by women in the Middle Ages, who resisted the wrong teaching and obeyed the Word, for the poor and the marginalized. Therefore, this study is the first to study the position of women in the Middle Ages and their presence. Secondly, before the 12th century, we looked at the views of the teaching authority on women that had been hand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Thirdly, we studied the Beguine Community, the main body of women’s ministry in the Middle Ages, and fourthly, the mission’s ministry these women were identified. The writer studied why such a pattern appeared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 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중세시대 여성들의 위치
      • 1. 전승된 여성관
      • 2. 중세 여성 사역의 부흥
      • 한글 초록
      • Ⅰ. 들어가는 글
      • Ⅱ. 중세시대 여성들의 위치
      • 1. 전승된 여성관
      • 2. 중세 여성 사역의 부흥
      • Ⅲ. 중세시대 여성사역, 베긴공동체
      • 1. 베긴의 신앙적 흐름, 신비주의
      • 2. 베긴공동체의 선교적 삶과 사역
      • Ⅳ. 통전적 관점으로 본 베긴공동체의 특성
      • Ⅴ. 나가는 글
      • 주제어
      • Abstract
      • 참고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경, "헤르만 프랑케(A. H. Franke)의 경건운동과 공동체 선교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58) : 239-265, 2020

      2 최영숙, "함께 오르는 길" 토비아 107-150, 2020

      3 이충범, "창조적 여성들의 조직 베긴공동체" 51 : 204-218, 2007

      4 하희정, "중세의 침몰과 함께 여성들의 반격이 시작되다" 160-170, 2012

      5 이상봉, "중세의 ‘사변적 신비주의’와 ‘여성 신비주의’" 새한철학회 90 (90): 291-312, 2017

      6 차용구, "중세유럽 여성의 발견, 이브의 딸 성녀가 되다" 도서출판 한길사 2011

      7 Holze, Heinrich, "중세 전성기의 서방교회(12-13세기)" 호서대학교출판부 2019

      8 Bevans, S. B, "예언자적 대화의 선교" 크리스천헤롤드 2007

      9 이종경, "여성의 경험과 사회적 지위 : 서유럽 중세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07) : 245-270, 2008

      10 Pizan, Christine de, "숙녀들의 도시"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1 이은경, "헤르만 프랑케(A. H. Franke)의 경건운동과 공동체 선교 연구" 한국선교신학회 (58) : 239-265, 2020

      2 최영숙, "함께 오르는 길" 토비아 107-150, 2020

      3 이충범, "창조적 여성들의 조직 베긴공동체" 51 : 204-218, 2007

      4 하희정, "중세의 침몰과 함께 여성들의 반격이 시작되다" 160-170, 2012

      5 이상봉, "중세의 ‘사변적 신비주의’와 ‘여성 신비주의’" 새한철학회 90 (90): 291-312, 2017

      6 차용구, "중세유럽 여성의 발견, 이브의 딸 성녀가 되다" 도서출판 한길사 2011

      7 Holze, Heinrich, "중세 전성기의 서방교회(12-13세기)" 호서대학교출판부 2019

      8 Bevans, S. B, "예언자적 대화의 선교" 크리스천헤롤드 2007

      9 이종경, "여성의 경험과 사회적 지위 : 서유럽 중세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연구회 (107) : 245-270, 2008

      10 Pizan, Christine de, "숙녀들의 도시"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1

      11 강일휴, "수정주의적’ 관점에서 본 중세 여성" 역사학회 (210) : 421-427, 2011

      12 이형기, "세계교회사 Ⅰ" 한국장로교출판사 2011

      13 김정자, "서양 중세여성의 역할과 지위 : 새로 쓰는 여성의 역사" 1 : 242-281, 1990

      14 조은식, "사회변혁과 기독공동체의 통일준비" 한국선교신학회 (52) : 293-321, 2018

      15 길희성, "마에스터 엨카르트의 영성 사상" 분도출판사 2003

      16 정미현, "또 하나의 여성신학 이야기" 한들출판사 2007

      17 이충범, "대충보는 교권과 세밀하게 보는 남성" 51 : 198-208, 2007

      18 정용석, "기독교 여성관의 역사" 한국대학선교학회 (13) : 309-339, 2007

      19 손숙영, "기독교 공동체 변화를 위한 선교적 방향 연구: 요더의 선교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선교신학회 (55) : 196-220, 2019

      20 Bosch, David J., "Transforming Mission" Orbis Books 1991

      21 Anderson, Elizabeth, "The Voices of Mechthild of Magdeburg" Peter Lang 2000

      22 McGuine, Bernard, "The Flowering of Mysticism(1200-1350)" Crossroad Pub 1998

      23 Howard, Evan B., "The Beguine Option: A Persistent Past and a Promising Future of christian Monasticism" 10 : 1-25, 2019

      24 Durant, Will, "The Age of Faith" Simon and Schuster 1950

      25 Petroff, Elizabeth A, "Medieval Women’s Visionary Litera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26 Schaff, Philip, "History of the Christina Church. vol.6" Eerdmands 1979

      27 Suydam, Mary, "Book Reviews of “Cities of Ladies Beguine Communities in the Medieval Low Countries, 1200-1565" 88 : 764-765, 2002

      28 Harline, Craig, "Actives and Contemplatives: The female religious of the Low Countries Before and After Trent" 81 : 541-567, 1995

      29 이필은, "13∼16세기 여성들의 거룩한 금식" 효원사학회 45 : 109-132,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Mission Studies ->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1 0.84 0.56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