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레일리 대기에서 단파 영역에서의 복사전달모델 결과들의 상호 비교 = Intercomparison of shortwave radiative transfer models for a Rayleigh atmosphe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63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ercomparison between eight radiative transfer codes used for the studies of COMS (Communications, Ocean,fluxes: 1) direct solar irradiance at the surface, 2) diffuse irradiance at the surface, 3) diffuse upward flux at the surface,and 4) difuse upward flux at the top of the atmosphere. The result (hereafter called the H15) from Halthore et al.’s study(2005) which intercompared and averaged 15 codes was used as a benchmark to examine the COMS models. Uncertaintyof the seven COMS models except STREAMER was ±4% with respect to the H15, comparable with ±3% of Halthore etal.’s (2005). The uncertainty increased under a large SZA = 75o. The SBDART model generally agreed with the H15better than the 6S model, but both models in the shortwave infrared region were equally good. The direct solar irradiance(12.1 Wm2). This reason was partially due to diferently installing the wavelength resolution in the flux integration. Thisstudy may be useful for selecting the optimum model in the shortwave region.......... intercomparison, radiative transfer model, Rayleigh atmosphere, SBDART, 6S(. . )
      번역하기

      Intercomparison between eight radiative transfer codes used for the studies of COMS (Communications, Ocean,fluxes: 1) direct solar irradiance at the surface, 2) diffuse irradiance at the surface, 3) diffuse upward flux at the surface,and 4) difuse upw...

      Intercomparison between eight radiative transfer codes used for the studies of COMS (Communications, Ocean,fluxes: 1) direct solar irradiance at the surface, 2) diffuse irradiance at the surface, 3) diffuse upward flux at the surface,and 4) difuse upward flux at the top of the atmosphere. The result (hereafter called the H15) from Halthore et al.’s study(2005) which intercompared and averaged 15 codes was used as a benchmark to examine the COMS models. Uncertaintyof the seven COMS models except STREAMER was ±4% with respect to the H15, comparable with ±3% of Halthore etal.’s (2005). The uncertainty increased under a large SZA = 75o. The SBDART model generally agreed with the H15better than the 6S model, but both models in the shortwave infrared region were equally good. The direct solar irradiance(12.1 Wm2). This reason was partially due to diferently installing the wavelength resolution in the flux integration. Thisstudy may be useful for selecting the optimum model in the shortwave region.......... intercomparison, radiative transfer model, Rayleigh atmosphere, SBDART, 6S(. .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레일리 ( 순수 기체 ) 대기 조건 하에서 국내 COMS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여덟 개 단파 복사전달 모델에서 산출된 네 종류 복사속 (flux) 성분을 상호비교함으로써 상대 오차를 조사하였다 . 이들 복사속 성분은 지표에서 의 직달 일사 , 하향 산란 , 상향 산란 , 그리고 대기 상부에서의 상향 산란이다 . 또한 국내 모델의 평가를 위하여 , 15 개 모델을 평균한 Halthore et al.(2005) 결과 ( 예 , H15) 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 동일한 태양천정각에서 모델 간의 불일치 는 열대 대기에서 수증기에 기인하였고 , 한대 대기에서는 오존에 기인하였다 . STREAMER 를 제외한 국내 7 개 모델의 지상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은 H15 에 대하여 ±4% 내에서 일치하였다 . 이러한 상대 오차는 태양천정각이 커질 때 증가 하였으며 , Halthore et al.(2005) 에서의 ±3% 와 근접하였다 . 네 종류 복사속 분석에서 SBDART 모델이 6S 모델에 비하 여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나 , 근적외 파장역에서는 서로 비교할만하였다 . 네개 기관의 연구자들이 같은 SBDART 모델 에서 산출한 지표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 간에도 12.1 Wm − 2 (1.4%) 의 불일치가 존재하였다 . 불일치의 원인은 부분적으 로 복사속 적분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파장 분해능에도 있었다 . 본 연구는 단파 영역에서 최적 모델을 선정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레일리 ( 순수 기체 ) 대기 조건 하에서 국내 COMS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여덟 개 단파 복사전달 모델에서 산출된 네 종류 복사속 (flux) 성분을 상호비교함으로써 상대 오차를 조...

      본 연구에서는 레일리 ( 순수 기체 ) 대기 조건 하에서 국내 COMS 연구자들이 사용하는 여덟 개 단파 복사전달 모델에서 산출된 네 종류 복사속 (flux) 성분을 상호비교함으로써 상대 오차를 조사하였다 . 이들 복사속 성분은 지표에서 의 직달 일사 , 하향 산란 , 상향 산란 , 그리고 대기 상부에서의 상향 산란이다 . 또한 국내 모델의 평가를 위하여 , 15 개 모델을 평균한 Halthore et al.(2005) 결과 ( 예 , H15) 를 기준값으로 사용하였다 . 동일한 태양천정각에서 모델 간의 불일치 는 열대 대기에서 수증기에 기인하였고 , 한대 대기에서는 오존에 기인하였다 . STREAMER 를 제외한 국내 7 개 모델의 지상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은 H15 에 대하여 ±4% 내에서 일치하였다 . 이러한 상대 오차는 태양천정각이 커질 때 증가 하였으며 , Halthore et al.(2005) 에서의 ±3% 와 근접하였다 . 네 종류 복사속 분석에서 SBDART 모델이 6S 모델에 비하 여 전반적으로 우수하였으나 , 근적외 파장역에서는 서로 비교할만하였다 . 네개 기관의 연구자들이 같은 SBDART 모델 에서 산출한 지표에서의 하향 직달일사값 간에도 12.1 Wm − 2 (1.4%) 의 불일치가 존재하였다 . 불일치의 원인은 부분적으 로 복사속 적분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설정된 파장 분해능에도 있었다 . 본 연구는 단파 영역에서 최적 모델을 선정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상연구소,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상자료 처리시스템(II)" 846-, 2005

      2 이광목, "대기복사(장파복사와 응용)" 시그마프레스 174-, 2000

      3 Underwood S.J, "multiple-case analysis of nocturnal radiation-fog development in the central valley of California utilizing the GOES nighttime fog product" 43 : 297-310, 2004

      4 Key J.R, "Streamer User’s Guide" NOAA/NESDIS 108-, 2002

      5 Vermote E.F,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6S: An overview" 35 (35): 675-686, 1997

      6 Peixoto, "Physics of Climate" 520-, 1992

      7 Chou M.D, "Parameterizations for the absorption of solar radiation by water vapor and ozone" 53 : 1203-1208, 1996

      8 Yoo J.M, "Optical characteristics of fog from satellite observation (MODIS) and numerical simulation" 42 (42): 291-305, 2006

      9 Berk A, "MODTRAN-4 Version 3 Revision 1 User’s Manual, Air Force Research Laboratory" 91-, 2003

      10 Halthore R.N, "Intercomparison of shortwave radiative transfer codes and measurements" 110 : 2005

      1 기상연구소, "통신해양기상위성 기상자료 처리시스템(II)" 846-, 2005

      2 이광목, "대기복사(장파복사와 응용)" 시그마프레스 174-, 2000

      3 Underwood S.J, "multiple-case analysis of nocturnal radiation-fog development in the central valley of California utilizing the GOES nighttime fog product" 43 : 297-310, 2004

      4 Key J.R, "Streamer User’s Guide" NOAA/NESDIS 108-, 2002

      5 Vermote E.F, "Second simulation of the satellite signal in the solar spectrum, 6S: An overview" 35 (35): 675-686, 1997

      6 Peixoto, "Physics of Climate" 520-, 1992

      7 Chou M.D, "Parameterizations for the absorption of solar radiation by water vapor and ozone" 53 : 1203-1208, 1996

      8 Yoo J.M, "Optical characteristics of fog from satellite observation (MODIS) and numerical simulation" 42 (42): 291-305, 2006

      9 Berk A, "MODTRAN-4 Version 3 Revision 1 User’s Manual, Air Force Research Laboratory" 91-, 2003

      10 Halthore R.N, "Intercomparison of shortwave radiative transfer codes and measurements" 110 : 2005

      11 Knapp K.R, "Aerosol optical depth retrieved from GOES-8: Uncertainty study and retrieval validation over South America" 107 : 4055-4059, 2002

      12 Ricchiazzi P, "A research and teaching software tool for plane-paral lel radiative transfer in the earth′s atmosphere" 79 : 2101-2114, 1998

      13 Cermak J.B, "A microphysics-based approach to fog/low stratus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using satellite data" COST 722 Midterm Workshop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2 0.909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