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탄력성의 매개 = Impact of Abuse Experi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Mediating Factor of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46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abuse experience affects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n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y redefined abuse experience,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from a literature review. Abuse experience of children was classified into witness and direct maltreatment. Resilience was classified into internal resilience (self-esteem and trust) and relational resilience (attachment to teacher and attachment to friend). School adjustment was operationalized as academic achievement and frequency of deviance. The study utilized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of 2009.
      Results show that 9.4% of children have witnessed their parents' verbal abuse and 5.5% of them have experienced direct physical abuse. Direct physical abuse negatively affected academic performance and deviance of children. Abuse experience (witness of parents' verbal abuse) also negatively affected self-esteem, self-trust, and attachment to friend. Self-esteem, trust, and attachment to friend were identified as mediators in the process of abuse experience and deviance of children.
      번역하기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abuse experience affects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n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y redefined abuse experience, resilience, and school...

      This study is to examine to what extent abuse experience affects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n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y redefined abuse experience, 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from a literature review. Abuse experience of children was classified into witness and direct maltreatment. Resilience was classified into internal resilience (self-esteem and trust) and relational resilience (attachment to teacher and attachment to friend). School adjustment was operationalized as academic achievement and frequency of deviance. The study utilized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of 2009.
      Results show that 9.4% of children have witnessed their parents' verbal abuse and 5.5% of them have experienced direct physical abuse. Direct physical abuse negatively affected academic performance and deviance of children. Abuse experience (witness of parents' verbal abuse) also negatively affected self-esteem, self-trust, and attachment to friend. Self-esteem, trust, and attachment to friend were identified as mediators in the process of abuse experience and deviance of childr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학대경험 수준을 파악한 후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업성취 및 일탈행동과 같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며, 이 과정에서 탄력성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하려는 것이다. 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직접적인 신체폭력 경험은 학업성취도를 저하시키고 일탈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학대경험은 자아존중감의 저하 등 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학대경험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탄력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었다. 경로분석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와 일탈행동에, 자기신뢰감과 친구와의 애착은 학업성취에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검증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학대경험 수준을 파악한 후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업성취 및 일탈행동과 같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며, 이 과정에서 탄력성이 매개변수로 작용...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학대경험 수준을 파악한 후 아동의 학대경험이 학업성취 및 일탈행동과 같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며, 이 과정에서 탄력성이 매개변수로 작용하는지 확인하려는 것이다. 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5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의 직접적인 신체폭력 경험은 학업성취도를 저하시키고 일탈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학대경험은 자아존중감의 저하 등 탄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학대경험은 아동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탄력성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고 있었다. 경로분석 결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와 일탈행동에, 자기신뢰감과 친구와의 애착은 학업성취에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검증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가족부,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보고서" 2009

      2 정익중,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23-244, 2006

      3 윤명숙, "청소년의 폭력경험유형이 우울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 가정폭력, 학교폭력, 중복폭력 피해경험 중심으로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29): 295-329, 2008

      4 윤혜미, "청소년의 위험행동 관련요인 : 심리정서적 특성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3 (23): 127-153, 2007

      5 이상준,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과 탄력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한국가족학회 19 (19): 147-171, 2007

      6 김정옥,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연구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7 (7): 93-115, 2002

      7 김재엽,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26 (26): 31-59, 2008

      8 주소영, "아동학대와 탄력성의 관계에서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9 (29): 127-156, 2008

      9 나은숙, "아동학대 유형별 우울성향,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8 (28): 35-49, 2007

      10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한국아동학회 29 (29): 79-95, 2008

      1 보건복지가족부, "한국아동청소년종합실태조사보고서" 2009

      2 정익중, "피학대아동이 비행에 이르는 발달경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223-244, 2006

      3 윤명숙, "청소년의 폭력경험유형이 우울 및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 가정폭력, 학교폭력, 중복폭력 피해경험 중심으로 -"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9 (29): 295-329, 2008

      4 윤혜미, "청소년의 위험행동 관련요인 : 심리정서적 특성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회 23 (23): 127-153, 2007

      5 이상준, "청소년의 가정폭력경험과 탄력성에 대한 보호요인의 매개효과" 한국가족학회 19 (19): 147-171, 2007

      6 김정옥,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학교폭력과의 관계 연구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7 (7): 93-115, 2002

      7 김재엽,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회 26 (26): 31-59, 2008

      8 주소영, "아동학대와 탄력성의 관계에서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29 (29): 127-156, 2008

      9 나은숙, "아동학대 유형별 우울성향,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8 (28): 35-49, 2007

      10 정익중, "아동학대 경험이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소외로 이어지는 발달경로" 한국아동학회 29 (29): 79-95, 2008

      11 김미숙, "아동의 학습능력 저해요인으로서의 학대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5 (25): 29-40, 2004

      12 김재엽, "부부폭력가해자의 성장기아동학대경험이 자녀학대에 미치는 영향 - 부모역할만족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35): 291-312, 2007

      13 김원경, "부모양육행동, 아동의 우울 및 자기효능감과 아동의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모델" 한국아동학회 27 (27): 67-79, 2006

      14 정혜정,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 (41): 73-91, 2003

      15 조미숙, "가정폭력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7 (7): 75-88, 2003

      16 신혜섭, "가정폭력 요인과 가족구조 요인이남녀 학생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17 (17): 63-88, 2005

      17 신선인,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아동 ·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3 (23): 153-182, 2008

      18 Vissing Y., "Verbal aggression by parents and psychosocial problems of children" 15 : 223-238, 1991

      19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20 Grogan-Kaylor, A., "The effect of corporal punishment on antisocial behavior in children" 28 (28): 153-162, 2004

      21 McCloskey, L. A., "The contribution of marital violence to adolescence aggression across different relationships" 18 (18): 390-412, 2003

      22 Herrenkohl, E. C., "Risk factors for behavioral dysfunction:The relative impact of maltreatment, SES, physical health problems, cognitive ability, and quality of parent-child interaction" 19 : 191-203, 1995

      23 Perkins, D., "Risk behaviors and resiliency within physically abused adolescents" 28 : 547-563, 2004

      24 Heller, S. S., "Research on resilience to child maltreatment:empirical considerations" 23 (23): 321-338, 1999

      25 DuMont, K. A., "Predictors of resilience in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grown-up:The role of individual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31 : 255-274, 2007

      26 Claussen A. H., "Physical and psychological maltreatment:Relations among types of maltreatment" 15 : 5-18, 1991

      27 Kinard, E., "Perceived and actual academic competence in maltreated children" 25 : 33-45, 2001

      28 Bolger, K. E., "Pathways from child maltreatment to inter- nalizing problems:Perceptions of control as mediators and moderators" 13 : 913-940, 2001

      29 Pflieger, J. C., "Parenting processes and dating violence: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in low- and high-SES adolescents" 29 : 495-512, 2006

      30 Shonk, S. M., "Maltreatment, competency deficits, and risk for academic and behavioral adjustment" 37 : 3-17, 2001

      31 O'Keefe, M., "Linking marital violence, mother-child/father-child aggression, and child behavior problems" 9 (9): 63-78, 1994

      32 Belskey, J., "Etiology of child maltreatment:a developmental-ecological analysis" 114 (114): 413-434, 1993

      33 Howells, N. L., "Effects of perpetrator and victim gender on negative outcomes of family violence" 23 : 203-209, 2008

      34 Solomon, C. R., "Effects of parental verbal aggression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chool marks" 23 (23): 339-351, 1999

      35 Widom, C. S., "Does violence beget violence?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106 (106): 3-28, 1989

      36 Haskett, M. E., "Diversity in adjustment of maltreated children:Factors associated with resilient functioning" 26 (26): 796-812, 2006

      37 Perez, R. P., "Childhood victimization and long-term intellectual and academic outcomes" 18 : 617-633, 1994

      38 Jiménez, L., "Adjustment of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ing up in at-risk families:Relationships between family variables and individual, relational and school adjustment" 31 : 654-661, 2009

      39 Gold, S. R., "A cross-validation study of the Trauma Symptom Checklist:The role of mediating variables" 9 (9): 12-26, 1994

      40 보건복지가족부, "2008년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 Children's Rights -> 아동과 권리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 & Right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2 1.02 1.2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6 1.5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