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후 위기의 해결방안을 위한 기독론적 존재론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Christology Ontological as solutions to the Climate Cri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7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climate crisis concerns the survival of all life on Earth. However, the cause of this crisis only pertains to humanity. This calls for a need for a fundamental analysis of the current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root cause of the crisis must be identified and removed by applying the Law of Causality. Otherwise, any technical solutions or political decisions to tackle the issue would be ineffective. Ultimately, the outcome of advanced technology or well-founded policies to overcome the issue would be dependent on the actions of human decision-making.
      The root cause of the climate crisis stems from human desires that are powerful enough to threaten the very existence of the Earth post-Industrialization. Furthermore, Industrialization combined with capitalism became even more powerful to pose a more significant threat. Nowadays, the desire for capital has dominated basic human desir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witch to the Christian desire structure as a solution to the climate crisis instead of the current secular structure of desire. The Christian desire structure refers to the structure based on Christian ontology.
      Applying the above concept, this study aims to present Kierkegaard’s Christian existentialism as a model of Christian ontology to reform the human desire structure to resolve the climate crisis.
      First, the study discusses three major aspects of Kierkegaard’s Christian existentialism to analyze the modern human desire structure.
      Secondly, the study then critically discusses Kierkegaard’s Christian existentialism to present an ontological stance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The core concept of Christianity, the way of Christ as analyzed by Kierkegaard, is a life for others. The direction of the desires is committed to others’ existential abundance rather than their own abundant life. Therefore, the author argues for the switch of the desire structure that is dedicated to others’ abundance and well-being i.e. Nature rather than pursuing capitalist human desires by implementing the way of Christ on an individual level.
      The author hopes that the shift in desires may reinforce the essence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 – life for others.
      번역하기

      The current climate crisis concerns the survival of all life on Earth. However, the cause of this crisis only pertains to humanity. This calls for a need for a fundamental analysis of the current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root cause of the crisi...

      The current climate crisis concerns the survival of all life on Earth. However, the cause of this crisis only pertains to humanity. This calls for a need for a fundamental analysis of the current phenomenon. In other words, the root cause of the crisis must be identified and removed by applying the Law of Causality. Otherwise, any technical solutions or political decisions to tackle the issue would be ineffective. Ultimately, the outcome of advanced technology or well-founded policies to overcome the issue would be dependent on the actions of human decision-making.
      The root cause of the climate crisis stems from human desires that are powerful enough to threaten the very existence of the Earth post-Industrialization. Furthermore, Industrialization combined with capitalism became even more powerful to pose a more significant threat. Nowadays, the desire for capital has dominated basic human desir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switch to the Christian desire structure as a solution to the climate crisis instead of the current secular structure of desire. The Christian desire structure refers to the structure based on Christian ontology.
      Applying the above concept, this study aims to present Kierkegaard’s Christian existentialism as a model of Christian ontology to reform the human desire structure to resolve the climate crisis.
      First, the study discusses three major aspects of Kierkegaard’s Christian existentialism to analyze the modern human desire structure.
      Secondly, the study then critically discusses Kierkegaard’s Christian existentialism to present an ontological stance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The core concept of Christianity, the way of Christ as analyzed by Kierkegaard, is a life for others. The direction of the desires is committed to others’ existential abundance rather than their own abundant life. Therefore, the author argues for the switch of the desire structure that is dedicated to others’ abundance and well-being i.e. Nature rather than pursuing capitalist human desires by implementing the way of Christ on an individual level.
      The author hopes that the shift in desires may reinforce the essence of Christianity and the church – life for ot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후 문제는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의 생존에 관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 원인은 모든 생명체가 아닌 인간의 문제로 국한된다. 이러한 상황을 근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인과율의 법칙에 따라 근원적 원인을 발견하고 극복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어떤 기술적 해결방안과 정책적 결정도 해결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아무리 좋은 기술과 해결방안도 결국 인간의 결정을 통해 행위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기후 문제의 근원적 원인은 인간의 욕망이 산업화 이후 지구의 생존 자체를 위협할 만큼 힘을 지닌데 있다. 그리고 이 산업화는 자본주의와 연합하면서 더 강력한 힘을 소유하게 되었다. 이제는 자본의 욕망이 인간의 욕망을 지배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욕망을 현시대적 욕망 구조에서 그리스도교적 욕망 구조로의 변경을 문제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스도교적 욕망 구조란 기독론에 근거한 존재론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론에 근거한 존재론으로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적 신앙 실존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키에르케고어의 기독론적 신앙 실존에 대한 논의를 위해, 그의 실존의 세 양태를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적 주체의 욕망 구조를 간략하게 분석한다.
      둘째, 키에르케고어의 기독론적 신앙 실존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통해 기후 위기의 극복을 위한 기독론적 존재론을 발견하고자 한다. 키에르케고어가 분석한 그리스도의 길, 즉 기독론의 핵심은 철저히 타자를 향한 삶이다. 욕망의 방향이 자기 삶의 풍족함이 아닌 타자의 존재적 풍족함으로 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을 기독교적 주체의 개별 삶으로 이행함으로 자본주의적 욕망 구조에서 벗어나 타자에 대한 풍요 즉, 자연에 대한 풍요를 위해 헌신하는 욕망 구조의 변경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욕망의 변경을 통해 그리스도교와 교회의 본질인 타자를 위한 교회로 나아가길 바란다.
      번역하기

      기후 문제는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의 생존에 관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 원인은 모든 생명체가 아닌 인간의 문제로 국한된다. 이러한 상황을 근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인과...

      기후 문제는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의 생존에 관한 문제이다. 그러나 그 원인은 모든 생명체가 아닌 인간의 문제로 국한된다. 이러한 상황을 근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인과율의 법칙에 따라 근원적 원인을 발견하고 극복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어떤 기술적 해결방안과 정책적 결정도 해결의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아무리 좋은 기술과 해결방안도 결국 인간의 결정을 통해 행위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기후 문제의 근원적 원인은 인간의 욕망이 산업화 이후 지구의 생존 자체를 위협할 만큼 힘을 지닌데 있다. 그리고 이 산업화는 자본주의와 연합하면서 더 강력한 힘을 소유하게 되었다. 이제는 자본의 욕망이 인간의 욕망을 지배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의 욕망을 현시대적 욕망 구조에서 그리스도교적 욕망 구조로의 변경을 문제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스도교적 욕망 구조란 기독론에 근거한 존재론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독론에 근거한 존재론으로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적 신앙 실존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키에르케고어의 기독론적 신앙 실존에 대한 논의를 위해, 그의 실존의 세 양태를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적 주체의 욕망 구조를 간략하게 분석한다.
      둘째, 키에르케고어의 기독론적 신앙 실존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통해 기후 위기의 극복을 위한 기독론적 존재론을 발견하고자 한다. 키에르케고어가 분석한 그리스도의 길, 즉 기독론의 핵심은 철저히 타자를 향한 삶이다. 욕망의 방향이 자기 삶의 풍족함이 아닌 타자의 존재적 풍족함으로 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을 기독교적 주체의 개별 삶으로 이행함으로 자본주의적 욕망 구조에서 벗어나 타자에 대한 풍요 즉, 자연에 대한 풍요를 위해 헌신하는 욕망 구조의 변경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러한 욕망의 변경을 통해 그리스도교와 교회의 본질인 타자를 위한 교회로 나아가길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프랑스철학회, "현대 프랑스 철학사" 창비 2015

      2 리차드 E.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0

      3 한병철, "타자의 추방" 문학과지성사 2017

      4 표재명, "키에르케고어 연구" 지성의 샘 1998

      5 김종두,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사상과 현대인의 자아 이해" 새물결플러스 2015

      6 키에르케고어, "철학의 부스러기" 프리칭아카데미 2007

      7 자크 라캉, "자크 라캉 세미나 11권" 새물결출판사 2008

      8 키에르케고어, "자기 시험을 위하여" 샘솟는 기쁨 2018

      9 키에르케고어, "이방인의 염려" 카리스아카데미 2021

      10 앨 고어, "우리의 선택" 알피니스트 2010

      1 한국프랑스철학회, "현대 프랑스 철학사" 창비 2015

      2 리차드 E.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0

      3 한병철, "타자의 추방" 문학과지성사 2017

      4 표재명, "키에르케고어 연구" 지성의 샘 1998

      5 김종두, "키에르케고르의 실존사상과 현대인의 자아 이해" 새물결플러스 2015

      6 키에르케고어, "철학의 부스러기" 프리칭아카데미 2007

      7 자크 라캉, "자크 라캉 세미나 11권" 새물결출판사 2008

      8 키에르케고어, "자기 시험을 위하여" 샘솟는 기쁨 2018

      9 키에르케고어, "이방인의 염려" 카리스아카데미 2021

      10 앨 고어, "우리의 선택" 알피니스트 2010

      11 전혁신, "생태 사물 신학 : 팬데믹 이후 급변하는 생태신학" 대한기독교서회 2022

      12 키에르케고어, "사랑의 역사" 치우 2011

      13 박병철, "비트겐슈타인 철학으로의 초대" 필로소픽 2014

      14 김욱동, "바흐친과 대화주의" 나남 1990

      15 윤형철, "기후위기 시대와 그리스도인의 삼중적 생태 전환" 한국복음주의신학회 99 : 91-119, 2021

      16 키에르케고어, "공포와 전율" 치우 2011

      17 성석환, "공공 신학과 한국 사회" 새물결플러스 2019

      18 키에르케고어, "고난의 기쁨" 카리스아카데미 2021

      19 박병도, "SDGs와 인권 그리고 파리협정의 관계에 관한 소고(小考)" 법학연구소 (51) : 145-182, 2022

      20 가브리엘 워커, "HOT TOPIC" 조윤커뮤니케이션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04-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Christian Philosophy -> The society of christian philosophers in Korea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