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인정보 오․남용 방지 및 보호를 위한 정보공유센터 프레임워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15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개인정보보호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 시, 개인정보 오·남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한다. 특히, 유출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 및 관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 공유분석센터의 체계와 역할에 집중하였다. 공유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유출된 기업과 유사한 산업군에 있는 기업들이 보다 높게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동일한 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보호 조처를 취할 수 있다. 개인정보 공유분석센터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제공에 있어 유출된 기업의 자발적 또는 의무적 제공과 서비스 형태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하고 센터가 적극적으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일 채널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매칭 기술 활용 가능으로 매칭 정확도가 상승할 수 있고, 질 높은 서비스를 통하여 2차 개인정보 오남용의 피해 축소와 효과적인 관리 지원이 가능하다.
      번역하기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개인정보보호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 시, 개인정보 오·남용으로 발생할 �...

      최근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개인정보보호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 시, 개인정보 오·남용으로 발생할 수 있는 2차 피해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체계를 제안한다. 특히, 유출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 및 관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 공유분석센터의 체계와 역할에 집중하였다. 공유된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유출된 기업과 유사한 산업군에 있는 기업들이 보다 높게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동일한 ID와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이용자들에게 적절한 정보보호 조처를 취할 수 있다. 개인정보 공유분석센터는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 제공에 있어 유출된 기업의 자발적 또는 의무적 제공과 서비스 형태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 개인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하고 센터가 적극적으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할 때, 단일 채널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매칭 기술 활용 가능으로 매칭 정확도가 상승할 수 있고, 질 높은 서비스를 통하여 2차 개인정보 오남용의 피해 축소와 효과적인 관리 지원이 가능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center for private information, which can manage and share the personal data from data breach incidents. Especially, this study addresses 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for preventing secondary misappropriation of breached personal data and private information. The database of breached personal data can be used for reducing privacy worries of potential victims of secondary misuse of personal data. Individuals who use the same IDs and passwords on multiple websites may find this service more effective and necessary. The effectiveness of this breached data center on reducing secondary privacy infringemen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extend of data being shared and the conditions of data submission. When businesses experienced data breach and submission of data to this center is required by the law,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is service can be enhanced. In addition, centralized database with high quality data set can increase matching for privat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secondary misappropriation of personal data or private information better.
      번역하기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center for private information, which can manage and share the personal data from data breach incidents. Especially, this study addresses 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for preven...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the center for private information, which can manage and share the personal data from data breach incidents. Especially, this study addresses 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for preventing secondary misappropriation of breached personal data and private information. The database of breached personal data can be used for reducing privacy worries of potential victims of secondary misuse of personal data. Individuals who use the same IDs and passwords on multiple websites may find this service more effective and necessary. The effectiveness of this breached data center on reducing secondary privacy infringemen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extend of data being shared and the conditions of data submission. When businesses experienced data breach and submission of data to this center is required by the law,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this service can be enhanced. In addition, centralized database with high quality data set can increase matching for private information and control the secondary misappropriation of personal data or private information bet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개인정보 유출 시 개인정보 공유분석시스템 모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개인정보 유출 시 개인정보 공유분석시스템 모형
      • Ⅳ. 개인정보 공유분석 센터의 효과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재현, "인터넷 사용자들의 아이디/패스워드 사용실태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009 (2009): 859-864, 2009

      2 김범수, "스마트 시대 정보보호 전략과 법제도Ⅰ" 한국학술정보 2011

      3 이근영,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보안을 위한 CERT와 ISAC의 역할" 한국정보보호학회 21 (21): 109-128, 2011

      4 한국금융연구원, "미국 은행들의 온라인 해킹범죄공동대응 강화" 21 (21): 2012

      5 김동진, "국가 DB기반의 국내외 보안취약점 관리체계 분석" 1 (1): 130-147, 2010

      6 이충훈, "개인정보 유출 시 통지·신고 프레임워크 및 가이드라인" 한국정보보호학회 21 (21): 169-180, 2011

      7 권영준, "개인신용평가에서의 비금융정보의 경제적 효과"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81-107, 2011

      8 Davenport, T. H, "Working Knowl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

      9 Choi, S. Y., "The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active Memory Systems on Knowledge Sharing, Application, and Team Performance : A Field Study" 34 (34): 855-870, 2010

      10 Otto, P. N., "The ChoicePoint dilemma-How databrokers should handle the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5 (5): 15-23, 2007

      1 안재현, "인터넷 사용자들의 아이디/패스워드 사용실태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2009 (2009): 859-864, 2009

      2 김범수, "스마트 시대 정보보호 전략과 법제도Ⅰ" 한국학술정보 2011

      3 이근영, "스마트 모바일 오피스 보안을 위한 CERT와 ISAC의 역할" 한국정보보호학회 21 (21): 109-128, 2011

      4 한국금융연구원, "미국 은행들의 온라인 해킹범죄공동대응 강화" 21 (21): 2012

      5 김동진, "국가 DB기반의 국내외 보안취약점 관리체계 분석" 1 (1): 130-147, 2010

      6 이충훈, "개인정보 유출 시 통지·신고 프레임워크 및 가이드라인" 한국정보보호학회 21 (21): 169-180, 2011

      7 권영준, "개인신용평가에서의 비금융정보의 경제적 효과"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81-107, 2011

      8 Davenport, T. H, "Working Knowle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

      9 Choi, S. Y., "The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active Memory Systems on Knowledge Sharing, Application, and Team Performance : A Field Study" 34 (34): 855-870, 2010

      10 Otto, P. N., "The ChoicePoint dilemma-How databrokers should handle the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5 (5): 15-23, 2007

      11 Bélanger, F., "Privacyin the Digital Age : A review of InformationPrivacy Research in InformationSystems" 35 (35): 1017-1041, 2011

      12 Alavi, M, "KnowledgeIntegration in Virtual Teams : Thepotential Role of KMS" 53 (53): 1029-1037, 2002

      13 Pee, L. G., "Knowledge Sharing in InformationSystems Development : A Social InterdependencePerspective" 11 (11): 550-575, 2010

      14 Wiant, T. L., "Information SecurityPolicy's Impact on Reporting SecurityIncident" 24 : 448-459, 2005

      15 Romanosky, S., "Do DataBreach Disclosure Laws Reduce IdentityTheft?" 30 (30): 256-286, 2011

      16 Sheehan, K. B., "Dimensions of Privacy Concern amongOnline Consumers" 19 (19): 62-73, 2000

      17 Hoffman, D. L., "Building Consumer Trustin Online Environments : The Case forInformation Privacy" 42 (42): 80-85, 1999

      18 Bock, G. W., "Behavioral intention formation in knowledge sharing: Examining the roles of extrinsic motivators, social-psychological forces, and organizational climate" SOC INFORM MANAGE-MIS RES CENT 29 (29): 87-111, 200503

      19 보안뉴스, "230만명 개인정보 해킹, 도박광고에활용 일당 구속"

      20 방송통신위원회, "2011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2012

      21 방송통신위원회, "2011국가정보보호백서" 17-18, 2011

      22 방송통신위원회, "2010 정보보호 실태조사-개인편"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 0.50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